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User Benefits for Activating Lifestyle Sports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이용자 편익에 관한 연구

  • Choi, Seung-Jae (Dept. of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Mokpo Science University)
  • 최승재 (목포과학대학교 운동건강과)
  • Received : 2019.01.23
  • Accepted : 2019.02.25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lifelong physical activity and the role of leader capacity, to provide practical basic data on intangible benefits and to suggest ways to activate the value of lifelong physical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2018 to September 30, 2018, with a total of 206 questionnaires centering on men and women participating in sports in Jeollanam do. The two-step approach proposed by Anderson & Gerbing (1988) was us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benefits, social benefits, mental benefits, self efficacy benefits, leisure cultural benefits, physical effects, mental effects, Respectivel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hysical and leisure cultural benefits have a positive(+) direct effect on leader capacity. Second, self-efficacy benefits, physical benefits, and leisure cultural benefits have positive direct effects on physical effects. Third, self-efficacy and leisure culture benefits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mental effects. Fourth, leadership competence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ultural benefits and physical effects. In addition, it ha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ultural benefits and mental effects. In order to maximize the quantitative expansion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living sports and to enhance intangible value of participants in sports for all, the private capital investment such as the training of competent leaders,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and the investment support in the public sector, We hope that the role of the new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shared with welfare will be provided.

본 연구는 생활체육 이용자의 무형적 편익과 생활 체육 활동의 신체적, 정신적 효과 검증과 지도자 역량의 역할을 살펴보고 무형적 편익의 실질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생활체육의 가치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 남성과 여성을 중심으로 신체적 편익, 정신적 편익, 사회적 편익, 자아 효능적 편익, 여가문화적 편익, 신체적 효과, 정신적 효과, 지도자 역량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Anderson & Gerbing(1988)이 제시한 2단계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중심으로 연구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편익과 여가문화적 편익은 지도자 역량에 정(+)의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적 편익, 자아효능적 편익, 여가문화적 편익은 신체적 효과에 정(+)의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효능적 편익과 여가문화적 편익은 정신적 효과에 정(+)의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도자 역량은 여가문화적 편익과 신체적 효과와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문화적 편익과 정신적 효과와의 관계에서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체육의 양적 확대 및 질적 향상과 생활체육 이용자의 무형적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체육시설 확충, 역량 있는 지도자 양성,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등의 민간 자본 투자와 공공분야의 투자 지원으로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 함양의 복지가 함께 공유되는 새로운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역할이 제공되길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8학년도 목포과학대학교 학술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