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ersonalized Emotion Recognition in Forest Healing Space - Focus on Subjective Qualitative Analysis and Bio-signal Measurement -

산림 치유 공간에서의 개인 감정 인지 효과에 관한 연구

  • Lee, Yang-Woo (Department of Emotion Engineering, Sangmyung University, Emotional Communications Ltd.) ;
  • Seo, Yong-Mo (Department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U1 University) ;
  • Lee, Jung-Nyun (Department of Emotion Engineering, Sangmyung University, Emotional Communications Ltd.) ;
  • Whang, Min-Cheol (Department of Intelligent Engineering Informatics for Human, Sangmyung University)
  • 이양우 (상명대학교 감성공학과) ;
  • 서용모 (유원대학교 교양융합학과) ;
  • 이정년 (상명대학교 감성공학과) ;
  • 황민철 (상명대학교 휴먼지능정보공학과)
  • Received : 2019.01.23
  • Accepted : 2019.02.25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is study is a scientific approach to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emotional stability among various effects of forest resources.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subjects by setting the forest healing space as various spaces.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were the students in their twenties and the average age was 22±1.25 years. The subjects were assessed for emotional words through subjective sequence evaluation in different designated forest healing spot. In addition, the emotional states that they actually perceived were measured by measuring the bio-signals to their perceived emotions. BMP, SDNN, VLF, LF, HF, Amplitude, and PPI were used for the bio-signal reaction experiment applied to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were measured by Friedman test and Wilcoxon test for statistical analysis. n this study, 'good', 'clear', and 'uncomfortable' words w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spot of forest healing space for subjective emotional vocabulary. In addition, SDNN, HF and Amplitud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sults of quantitative bio-signal measurement at each spot in the forest healing spa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suggest the application direction and strategic utilization plan of forest healing spot and forest resource utilization field. This is not only a guide for the users who use the facility through the spatial facilities and physical requirements for the emotion based forest-healing, but also can be used as a personalized emotional space design aspect.

본 연구는 산림 자원의 다양한 효과 중에서 정서적인 안정과 같은 심리적 요인에 대한 과학적 접근이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산림 치유공간을 다양한 공간으로 설정하여 피실험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 참여한 피실험자들은 20대 대학생들로 평균 나이가 22±1.25세였다. 피실험자들은 지정된 각기 다른 산림치유공간에서 주관적 서열평가를 통해 감성 단어들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들의 인식하는 감성에 대한 생체반응을 측정하여 실제로 인지하고 있는 감성적 상태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생체신호반응 실험으로는 심박이 나타내는 BMP, SDNN, VLF, LF, HF, Amplitude 및 PPI를 활용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통계적 처리를 위해여 Friedman 검증과 Wilcoxon 검증을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감성어휘별에 대해서는 '좋은', '맑은' 및 '불편한' 단어가 산림치유공간의 지점별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산림 치유공간 각 지점에서의 정량적 생체신호 측정결과는 SDNN, HF 및 Amplitude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산림치유공간의 다양한 지역적 공간에서 인간이 인지하는 감성적 차원을 측정하였다. 산림 공간에 있어서도 공간적 입지가 인간의 감성적 차원을 유도하는 분위기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산림치유공간 및 산림 자원의 활용 분야에 대한 적용방향과 전략적 활용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이는 감성 기반의 산린 치유에 대한 공간적 시설 및 물리적 요건들을 통해 시설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에게 가이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개인 맞춤형 감성 공간 디자인적 측면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산림청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