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Economic Evaluation and Spread Effects on the Establishment of Public Sports Facilities

공공스포츠시설 건립의 경제성 평가 및 파급효과 분석

  • Kim, Jin-Kook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Korea University) ;
  • Jang, Won-Yong (Department of Sports Industry Studies, Yonsei University) ;
  • Choi, Kyoung-Ho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 Sports Science, Hallym University)
  • 김진국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
  • 장원용 (연세대학교 스포츠응용산업학과) ;
  • 최경호 (한림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8.11.22
  • Accepted : 2019.01.24
  • Published : 2019.01.31

Abstract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valuate the economic evaluation of Chuncheon curling stadium. In oder to estimate economic evaluation, benefit/cost ratio, net present value and internal rate of return were used. Additionall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ocio-economic spread effect, literature review and input-output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mand for curling stadiums in Chuncheon, it was believed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stadium will attract athletes from the Chuncheon region as well as athletes from Seoul, Incheon, Gyeonggi Province and North Chungcheong Province. Second, economic validity analysis showed that the initial investment did not make sense, but the players' training and competitions and the advantages of the potential experience of curling events for citizens in nearby areas, including Chuncheon, make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reasonable. Third, as a result of the review of the social and policy validity of the curling stadium, the project to build a curling stadium in Chuncheon was secured with a policy validity as a public sports facility necessary for both professional and living athletes. Finally, the analysis of socio-economic spread effect of curling stadiums had shown that it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the discovery of elite athletes.

본 연구는 춘천컬링경기장 건립에 대한 경제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수행을 위해 통계자료 및 선행연구를 검토하는 문헌조사방법이 사용하였으며, 경제적 타당성의 분석과정에서 재무적 타당성 확보를 위해 편익비용비율법(B/C), 순현재가치법(NPV)과 내부수익율법(IRR)을 활용하였으며, 정책적 타당성의 분석은 국가 정책 및 상위 관련 계획과의 문헌 검토를 통해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산업연관 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춘천 컬링경기장 수요분석 결과로 경기장 건립을 통해 춘천권 내의 선수 및 동호인들 외에 서울, 인천, 경기 및 충북권 내의 선수들까지 유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경제적 타당성 분석 결과, 초기 투자금액으로 인하여 타당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선수들의 훈련 및 대회, 그리고 춘천을 비롯한 인근 지역의 시민들의 컬링 종목의 경험 가능성에 대한 장점으로 인해 건립 및 운영이 타당하다고 나타났다. 셋째, 컬링경기장의 정책적 타당성 검토 결과, 춘천 컬링경기장 건립사업은 전문체육인과 생활체육인 모두에게 필요한 공공체육시설로서 정책적으로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마지막으로 컬링경기장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분석결과, 일반 국민들의 만족도는 물론 엘리트 선수의 발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