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terminants of Private R&D Investment by Firms' Innovation Strategies - A Case study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Busan -

기업의 혁신전략에 따른 민간 연구개발 투자 영향 연구 - 부산지역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

  • 박문수 (한국뉴욕주립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 박세희 (한국뉴욕주립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 손원배 (한국전자부품연구원 기업협력총괄실) ;
  • 김보미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 공존.협력 연구센터)
  • Received : 2019.04.17
  • Accepted : 2019.08.22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This research studied the determinants of private R&D investment by examining the innovation strategies of 481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their employee size is 5 or more and less than 300) in Busan, South Korea. The data is derived from the Technology Survey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2001 and 2003. Three explanatory variables for the innovation strategies are the R&D portfolio, the organization (personnel) for R&D, and the strategic role of CEO for innovation. The technological levels of industries are controlled in the linear regression model.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total private R&D investment of a firm in the given fiscal year.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private R&D investment positively correlates with the complexity of the R&D portfolio, the formal organization for R&D team, and the increase of R&D personnel. The formal organization for R&D team and the number of R&D personnel are correlated with the increase of private R&D investment across the four group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but not in the service secto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novation policy needs to target firms who have complex R&D portfolios, the formal organization of R&D teams, and sufficient R&D personnel in order to increase the private R&D investment of SMEs in regions, with consideration of industrial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2011년과 2013년 중소기업기술통계 조사에 응답한 4,000개 기업 중 본사가 부산에 소재한 중소기업(5인 이상 300인 미만) 481개사를 대상으로 기업의 혁신전략에 따른 민간 연구개발 투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기업의 혁신전략과 관련해서는 R&D 포트폴리오, 연구개발조직 및 인력, 조직의 혁신전략 방향 설정자로서의 CEO 역할을 독립변수로 제시하였다. 또한, 산업을 제조업 기술수준별 4개 그룹과 지식서비스업 등 총 5개로 구분하고, 종속변수 민간 연구개발 투자비에 대한 영향을 선형 회귀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 결과는 기업의 혁신전략 중 복합적인 R&D포트폴리오, 체계적인 연구조직 보유, 연구인력 증가는 모두 민간 연구개발비 투자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이를 산업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여도 연구개발 조직과 연구인력 보유가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살펴볼 때, 지역 중소기업의 민간 연구개발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R&D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체계적인 연구개발 조직과 충분한 연구인력을 확보한 기업을 중심으로 R&D 투자가 확대할 수 있도록 산업별 특성을 고려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감혜미.서민우.서찬수 (2018). "중점기술 선정을 위한 관계분석형 R&D 포트폴리오 방법",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9권 제6호
  2.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4). 민간 R&D 투자 활성화를 위한 방안 연구. STEPI 정책연구 2014-22.
  3.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민간 R&D투자 활성화 대책.
  4. 김영조 (2007). "최고경영자의 전략적 리더십, 연구개발 투자, 인사제도와 기술혁신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사관리연구 제81집 4권, pp.49-88.
  5. 김중현 (2018). "부산 민간R&D 혁신잠재력 분석 및 발전방안", R&D Brief 2018-1, 부산과학기술기획평가원.
  6. 산업통상자원부 (2015). 2013년 연구개발(R&D) 투자 1000대 기업에 39.4조원 투자 -전년대비 10.5% 증가, 전체 민간 연구개발비의 84.5% 점유-
  7. 성태경 (2003). "기업규모와 기술혁신활동의 연관성: 우리나라 제조업에 대한 실증적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25권 제2호, pp. 1-18.
  8. 손희전, 박문수 (2013). "산업별 기술혁신패턴에 따른 기업의 R&D 역량 비교 연구", 정보기술아키텍처연구. 제10권 제1호, pp. 47-62.
  9. 송하율 (2009). 지역기업 R&D역량의 비교분석과 시사점, KIET 산업경제. 2009년 10월호, pp. 50-60.
  10. 신준석 (2012). 기업 R&D 포트폴리오 구축모형 연구 보고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1. 이상규, 하준, 최동원, & 빙현지. (2017). 저성장 경제 극복을 위한 민간 연구개발 투자지출 활성화 방안. 세종: 산업연구원.
  12. 이상규, & 김수동. (2016). 신산업 발전을 위한 민간 연구개발투자 활성화 방안. 세종: 산업연구원.
  13. 이우성.변인수.김보현.박종혜 (2009). R&D투자 GDP 대비 5% 달성을 위한 민간 R&D 투자 촉진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4. 이재근 (2009).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전략적 포트폴리오 관리모형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정부학연구 제15권 제3호. 95-117
  15. 임재현, 신진교 (2012).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관리요소에 관한 실증연구", 기술혁신연구 제20권 제2호, pp. 75-108.
  16. 전국경제인연합회 (2012). 기업 R&D 투자현황 및 조세지원제도 개선과제.
  17. 전국경제인연합회,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대한상공회의소, 한국중견기업협회, 중소기업중앙회, 벤처기업협회 (2012). 기업R&D 투자 활성화를 위한 산업계 의견.
  18. 정효정 (2018). 한굴연구의 동향 및 정책과의 상호관계 분석: 중소기업 기술혁신정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제26권 제4호, pp. 146-172. https://doi.org/10.14386/sime.2018.26.4.146
  19. 조가원.조용래.강희종.손수아.김민재 (2016). 2016 한국기업혁신조사: 제조업 부문, 조사연구 2016-15-01,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 중소벤처기업부.중소기업중앙회 (2017). 2017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 보고서
  21. 최상현.김병근 (2015). 기술혁신 중소기업의 조직양면성 구축과 운영에 대한 다차원적 연구, 기술혁신연구 제23권 제4호, pp. 205-244. https://doi.org/10.14383/SIME.2015.23.4.205
  22.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7). 2016 연구개발활동조사
  23.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8). Regional R&D Indicators 2017
  24.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1). "주요국의 민간 R&D 활성화정책 동향", 산업기술정책동향. 2011-16.
  25.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5). "민간 R&D투자 현황 분석", 산업기술통계브리프. 2015-02.
  26.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11), 2011 산업기술백서
  27.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2016). 2016 산업기술지원정책 산업계 종합의견
  28.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2017a). 기업연구소 통계
  29.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17b). "4차 산업혁명을 통한 성장동력 확충 방안 산업기술 지원정책방향 건의(II)", KOITA 정책.연구.정보. 2017-007.
  30.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2017c) "기업 R&D 현장애로 개선의견 산업기술 지원정책방향 건의(IV)", KOITA 정책.연구.정보 2017-011
  31.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18b). "KOITA R&D INDEX", KOITA 조사통계. 2018-003.
  32. 한국조세연구원 (2006), OECD 주요 회원국의 조세지출 현황 및 비교분석.
  33. 현대경제연구원 (2009). "R&D투자 활성화 방안 : G7국가와의 R&D투자 비교 분석", VIP Report 09-29 (411).
  34. 황석원, 정기철, 김지훈 (2017). 2017 "민간 R&D투자 전망: "전망은 밝지 않으나, R&D투자 의지는 살아있다", STEPI Insight(209).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5. 통계청 (2018) e나라지표 국내총생산 및 경제성장률 (GDP) 2018.
  36. Barney, J.(1991) "Firm Resources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Management, Vol. 17, No. 1, pp.99-12 https://doi.org/10.1177/014920639101700108
  37. Christensen, C. (2000). "Using Aggregate Project Planning to Link Strategy, Innovation, and the Resource Allocation Process", Harvard Business School Background Note 301-041, September 2000. (Revised January 2017.)
  38. Cohen, W. (1995). "Empirical Studies of Innovative Activity", in Stoneman, P. (ed), Handbook of the Economics of Innovation and Technological Change. Oxford: Blackwell, pp.182-264.
  39. OECD (2017). OECD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Scoreboard 2017: the Digital Transformation. Paris: OECD publishing.
  40. Schilling, M. (2017). 기술경영과 혁신전략 (김길선, 역) 5판. 서울 : 맥그로힐에듀케이션 유한회사.
  41. Solow, R. (1956). "A Contribution to the Theory of Economic Growth", in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70, No. 1, pp. 65-94. https://doi.org/10.2307/1884513
  42. Solow, R. (1994). "Perspectives on Growth Theory", in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Vol. 8 No. 1, pp. 45-54. https://doi.org/10.1257/jep.8.1.45
  43. Teece, D. J. (2007), "Explicating Dynamic Capabilities: The Nature and Microfoundation of (Sustainable) Enterprise Performanc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28, No. 13, pp. 1319-1350. https://doi.org/10.1002/smj.640
  44. Wheelwright, S. and Clark, K. (1992). "Creating Project Plans to Focus Product Development", Harvard Business Review Vol. 70, No. 2, pp.70-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