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gulation of negative emotions in the Ultimatum Game: Comparison between Korean older and young adults

최후통첩게임 상황에서의 부정정서 조절에 관한 연구: 한국 노인과 청년 비교

  • Jeon, Dasom (Department of Psych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Ghim, Hei-Rhee (Department of Psych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Hur, Ahjeong (Department of Psych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Park, Sunwoo (Department of Psych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Moongeol (Department of Psych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9.09.26
  • Accepted : 2019.11.14
  • Published : 2019.11.30

Abstract

According to the social selectivity theory (SST), despite the disadvantages of life conditions, older adults experience less negative emotions because they regulate their emotions by avoiding negative stimuli or situations. Based on the SST,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whether older adults are better able to regulate negative emotions than young adults in the Ultimatum Game (UG). In an UG, if the proposer proposes to distribute a portion of the money to the responder, the responder must decide whether to accept or reject it. If the responder accepts the offer, the proposer and the responder can each have their own share as proposed, but if s/he reject the offer, both get nothing. Thus, if the responder considers own economic benefits, it is a more reasonable decision to accept the unfair offer no matter how low, than to reject it. To accept an unfair offer, the responder must regulate the anger felt at the proposer. If older adults could regulate anger better than young adults, they would be less likely to reject the unfair offer than young adults. Fifty-seven olders and 60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oth the older and young adults accepted most of the fair offers. In contrast, older adults accepted unfair offers at a significantly higher rate than young adults. In addition, compared to young adults, older adults reported anger less frequently at the unfair offers. Accepting unfair offer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nger report,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emotion regulation measured by ERQ. The ERQ scor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nger report. Emotion regul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e groups and acceptance of unfair offers. The present results showed that older adults accepted the unfair offers at a higher rate than young adults because they could regulate the negative emotions felt at the unfair offer better than young adults. This study provided new evidence for the claim that improving emotional regulation is a major developmental change in adulthood.

노화와 함께 심리사회적 여건이 불리해지는 데도 불구하고 노인이 청년보다 부정적 정서를 덜 경험하는 것을 사회정서적 선택이론은 노인이 부정 정서가 경험될 수 있는 상황을 선택하지 않거나 부정 정서를 유발하는 자극으로부터 주의를 돌려서 사전에 정서조절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정적 정서가 경험되는 상황에서도 노인이 청년보다 부정적 정서를 더 잘 조절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최후통첩게임을 사용하였다. 최후통첩게임에서 제안자가 한정된 자원의 일부를 응답자에게 분배하겠다고 제안했을 때, 응답자가 이를 수락하면 둘 다 각자의 몫을 가질 수 있으나 거절하면 둘 다 아무것도 가질 수 없다. 따라서 자신의 경제적 이득을 고려한다면 제안자의 불공평한 제안에 대해 화가 나더라도 이를 조절하고 제안을 받아들여야 한다. 노인이 청년보다 정서조절을 더 잘 한다면 불공평한 제안을 받았을 때 분노를 덜 경험할 것이므로 청년보다 더 많이 수락할 것이다. 57명의 노인과 60명의 대학생이 연구에 참가하였다. 연구결과 노인과 청년 모두 공평한 제안은 80% 이상으로 수락하였으나, 불공평한 제안 수락률은 노인이 청년보다 더 높았다. 불공평한 제안에 대해 분노를 보고한 비율은 노인이 더 낮았다. 불공평한 제안 수락률은 분노 보고율과 부적 상관이, 정서조절 점수와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정서조절과 분노 보고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연령집단과 불공평한 제안 수락률 간의 관계를 정서조절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이 청년보다 불공평한 제안을 더 많이 수락하는 것은 노인이 분노를 더 잘 조절하는 것으로 일부 설명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 결과는 정서조절의 향상이 성인기의 주요한 발달적 변화라는 주장에 대한 새로운 증거가 됨을 논의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 (NRF-2018S1A5A2A01028959)과 2018년도 충북대학교 연구년제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