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노후 소득수준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준거집단의 상대소득 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Old-age Income Level on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Effects of the Relative Income of Reference Groups

  • 김학주 (동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Kim, Hakju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Dongguk University)
  • 투고 : 2018.11.30
  • 심사 : 2019.02.12
  • 발행 : 2019.02.28

초록

본 연구에서는 12개년의 종단면 시계열 자료를 활용하여 절대소득과 상대소득을 포함한 노후의 소득수준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자산분위별, 지역별 및 학력기준에 따른 각 준거집단의 상대소득이 노인 자신의 절대소득보다 노후의 생활만족도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횡단자료를 이용한 상관관계 분석에서도 상대소득은 생활만족도와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단자료를 이용한 패널분석모형에서 준거집단의 상대소득 수준은 노후의 생활만족도 수준결정에 있어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고 있었다. 비교대상이 되는 준거집단의 소득수준보다 상대적으로 자신의 소득수준이 높을 경우에 노후의 삶의 만족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과거 시점의 생활만족도 수준도 현재 노인의 평균 생활만족도 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단자료 분석에서 나타난 이러한 분석결과는 중장기적 관점에서의 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과정에서 기존의 절대소득가설보다는 상대소득가설이 보다 타당하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 구체적인 학문적 및 실천적 함의로는 정책당국의 경제적 지원만으로는 충분치 않으며 노인일자리를 창출·보급함으로써 노인들의 사회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다양한 형태의 비경제적 사회참여 확대 및 이를 보장하기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author utilizes longitudinal data of the recent 12 years to verify whether the absolute versus relative income of old ag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of lif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of old age according to respondents' relative income of three reference groups based on their asset quintile and residental area and education. In the 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cross-sectional data, the absolute and relative income level was closely related to the life satisfaction. In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12 years longitudinal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Labour Panel dataset, the income level of counterparts in those reference groups appeared highly significant in determining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However, some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and marital statu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the long-term perspective. The income of reference groups in terms of asset levels, education and region as well as their own past life satisfaction lev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lders' life satisfaction determin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lative income hypothesis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is more valid than the previous absolute income hypothesi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