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Affecting Falls of Demented Inpatients

치매 입원환자의 낙상 영향 요인

  • Kim, Sang-Mi (Dept. of Big Data Analytics, Ewha Womans University) ;
  • Lee, Seong-A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Medical Science. Soonchunhyang University)
  • 김상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빅데이터 분석학과) ;
  • 이성아 (순천향대학교 의료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19.02.26
  • Accepted : 2019.05.14
  • Published : 2019.05.30

Abstract

The study aime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falls as well as hospitalization status according to diseas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emented inpatients by investigating the in-depth Injury Patient Surveillance System data collected b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KCDC). Older adults over 60 years old who were diagnosed with dementia were included(n=1,732). Their data were analyzed after being assigned to either a fall group or a non-fall group. STATA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χ2) test, and logistics regression. It was found that 8.0% of the demented inpatients experienced falls.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category of fall and non-fall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and Charlson Comorbidity Index(CCI) and bone density deficiency. Based o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falls, older adults over 80 are 2.386 times more likely to fall and based on a target with a CCI of 0, the risk of falls is 0.421 times lower, finally based on those without bone density disorder, the fall risk for those with bone density disorder was 3.581 times higher.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important about the factors relating to falls identified in this can not only be found valuable for educating inpatients with dementia and care-givers, but also be used as reference that supports clinical professionals to make decisions on falls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dementia.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부터 2015년까지의 질병관리본부의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병원에 입원한 치매환자 중 낙상과 관련된 특성과 낙상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의 질병 코드를 사용하여 치매로 진단 받은 60세 이상 환자를 선정하여, 낙상(W00-W19) 유무에 따라 낙상군과 비낙상군으로 구분한 총 1,732건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TATA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chi-square test)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치매 입원환자 중 낙상은 8.0%에서 발생하였다. 낙상군과 비낙상군의 범주별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연령에서 있었다. 질환 특성에서는 CCI(Charlson Comorbidity Index) 및 골밀도장애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낙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60-69세 대상자를 기준으로 했을 때, 80세 이상의 노인은 낙상위험이 2.386배 높고, CCI가 0점인 대상자를 기준으로 했을 때, 3점 이상인 대상자의 낙상 위험이 0.421배로 낮으며, 골밀도장애가 없는 대상자를 기준으로 했을 때, 골밀도장애가 있는 대상자의 낙상위험이 3.581배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 치매 입원환자는 연령이 80세 이상인 경우 약 2.3배, 골밀도장애가 있는 경우 약 3.5배 이상 낙상이 높을 수 있으며, 반면에 CCI가 3점인 경우 약 0.4배로 낙상이 낮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입원한 치매환자의 낙상 관련 영향 요인은 입원한 치매환자 및 돌봄자들에 대한 낙상 예방 교육에 도움이 되고 의료진의 치매환자 낙상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에 기초자료로 사용되길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순천향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으로 수행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