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Study on Barriers and Promotion to Older Adults' Online Use for Health Information Search and Health Management

노인들의 온라인 건강 정보 탐색 및 건강관리의 장애요인과 증진방안에 대한 연구

  • An, Soontae (Division of Communication and Media, Ewha Womans University) ;
  • Kang, Hannah (Department of Politics, Communication Studies, Hannam University) ;
  • Chung, Soondool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Ewha Womans University)
  • 안순태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 학부) ;
  • 강한나 (한남대학교 정치.언론학과) ;
  • 정순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8.11.30
  • Accepted : 2019.01.27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factors that prevent older adults from using computers and/or smartphones for their health information search and health management. This study conducted face-to-face survey of a total of 240 older adults aged over 65. Based on the responses of open-ended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low level of perceived usefulness(PU) (e.g., information I want to find, detailed information, and trustworthi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PEOU) (e.g., how to search for information, how to install applications, and visibility) are main factors that prevent older adults from using computers and/or smartphones for their health information search and health management. Furthermore, based on the results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furthe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at PU and PEOU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tention to use mobile application. Thus, the results imply that increasing older adults' PU and PEOU can promote their intention to use mobile application.

본 연구는 노인들의 온라인 건강 정보 탐색 및 건강관리를 막는 주요 장애 요인을 살펴보고 증진방안을 검토하였다.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면대면 설문이 이루어졌고, 총 240명이 참여하였다. 정성적인 자료 검토를 위해 의미 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실행하였고, 정량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 검색을 막는 주요 장애 요인과 건강관리를 막는 주요 장애 요인으로는 유용성(예, 원하는 정보 없음, 상세정보 부족, 신뢰성)과 이용용이성(예, 검색방법, 앱설치, 잘 안보임)으로 나타났다.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에서 제시하는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이용용이성이 노인들의 모바일 앱 이용의도와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즉 유용성과 이용용이성을 높이는 것이 노인들의 모바일 앱의 이용의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6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인문사회역량강화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16-S1A3A2924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