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교육부(2015).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지 제 2015-74호 [별책1].
- 구자옥, 조성민, 이소연, 박혜영, 구남욱(2017).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5 결과 심층 분석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7-9.
- 구혜영, 박현숙(2011). 수학동화를 이용한 수학일지쓰기 활동이 수학 교과학습부진아의 수학 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13(1), 243-263. https://doi.org/10.21075/KACSN.2011.13.1.243
- 김민정, 노은환(2007). 학습 노트를 활용한 쓰기 활동이 수학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3), 289-302.
- 김보영, 김민경(2003). 초등수학에서 쓰기 활동이 수학적 개념 이해 및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34(1), 55-72.
- 김상화(2010). 초등학교 수업에서 수학적 의사소통의 목표 설정 및 지도의 실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혜정, 정동권(2008). 초등학교 수학 학습부진아의 수학일지쓰기 활동 효과. 과학교육논총, 21(1), 7-19.
- 박현숙(2000). 수학과 평가도구로서 수학일지 쓰기의 개발과 그 적용 효과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현철, 박만구(2015). 과정중심 수학 동시 쓰기가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2), 187-201.
- 서종진(2007). 피드백 방법에 따른 수학 학습의 효과.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1), 71-89.
- 설정현, 백석윤(2007). 수학동화 쓰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특성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1(2), 137-160.
- 성민정(2016).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수학의 필요성과 유용성 인식 및 태도 연구: 수학 에세이를 통해.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상민(2015). 수학일기를 활용한 개방형 문제해결에서 나타나는 초등 영재학생의 수학적 사고 특성 사례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안병곤(2011). 초등수학의 수학적 의사소통에 관한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1), 161-178.
- 이선명(2010). 상호글쓰기 활동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 및 성향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승운, 정은실(2005). 생활중심 수학보고서 쓰기가 수학학업성취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 28(2), 21-37.
- 이영순, 이상수(2016). 동료 릴레이 피드백 전략이 수학과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A-수학교육, 55(4), 503-522.
- 이종희, 김선희, 채미애(2001).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평가 기준 개발. 수학교육학연구, 11(1), 207-221.
- 이종희, 김선희(2002). 수학적 의사소통의 지도에 관한 실태 조사. 학교수학, 4(1), 63-78.
- 이화연, 김응환(2016).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노트쓰기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9(3), 277-289.
- 임태민, 백석윤(2009). 초등수학 수업에서의 피드백 유형 및 학생의 반응. 한국초등교육, 20(1), 37-54.
- 임현주(2014). 수학 학습 부진아에 대한 의사소통중심 수업이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현자, 강완(2012). 쓰기와 읽기 중심의 의사소통 활동이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 23(3), 127-143.
- 조현철(2011). 내외적 학습동기, 자기결정성, 목표지향, 자기지각,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 요인들의 학습태도, 학습행동 및 학업성취에 대한 효과. 교육심리연구, 25(1), 33-60.
- 주형미, 최정순, 유창완, 김종윤, 임희준, 주미경(2016). 미래 사회 대비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비전 연구(I) : 초.중등학교 교과 교육의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16-10.
- 지은림(2009). 교사의 피드백 수행을 위한 구성요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0(3), 77-102. https://doi.org/10.15753/AJE.2009.10.3.004004
- 하은영(2008). 수학저널쓰기를 활용한 수학 학습 부진학생의 기하학적 사고 수준 및 수학적 태도 변화 사례 연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화균(2012). 초등수학영재의 수학 쓰기를 통해 나타난 수학적 의사소통과 수학적 성향 및 태도 분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허가은, 신항균(2017). 상호피드백을 통한 형성평가가 수학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E-수학교육 논문집, 31(4), 409-432.
- 허성은(2010). 수학 일지쓰기를 활용한 수학학습이 수학 학습부진아의 연산능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황창훈(2017). 수학일기 쓰기활동이 학습자들의 수학적 성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4학년, 다문화학생의 사례중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Albert, L. R. (2000). Outside-in-inside-out: Seventh-grade students' mathematical thought process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1(2), 109-141. https://doi.org/10.1023/A:1003860225392
- Dardani, Elise L. (2018). How connecticut educators encourage secondary students to apply creativity. Ed.D. Dissertations. 99.
- Griffiths, R., & Clyne, M. (1994). Language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talking, representing, recording. Heinemann Educational Publishers.
- Sadler, D. R. (1998). Formative assessment: revisiting the territory. Assessment in Education 5(1) : 77-84. https://doi.org/10.1080/096959598005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