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소통 중심의 수학 쓰기 학습 전략이 수학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Communication-oriented Mathematical Writing Strategies Effect on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Propensity

  • 투고 : 2019.07.12
  • 심사 : 2019.08.26
  • 발행 : 2019.08.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중심의 수학 쓰기 학습 전략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와 수학적 성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동질성이 검증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자신의 생각과 느낌 쓰기, 문제해결 과정쓰기, 개념 설명쓰기 등 3가지 유형의 의사소통 중심 수학 쓰기 학습 전략을 활용한 수업을 하고, 비교집단에서는 교과서 및 지도서에 준한 일반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비교집단에 비교하여 실험집단의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수학적 성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 oriented mathematical writing strategies on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propens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ree types of communicative math writing learning strategies such as writing their own thoughts and feelings, writing problem solving process, and explaining the mathematical concepts. In the comparative group, general lessons based on textbooks and tutorials were conducted. As the results,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mathematics achievement and a positive effect on the mathematical propensity as compared with the comparison group.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2015).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지 제 2015-74호 [별책1].
  2. 구자옥, 조성민, 이소연, 박혜영, 구남욱(2017).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5 결과 심층 분석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7-9.
  3. 구혜영, 박현숙(2011). 수학동화를 이용한 수학일지쓰기 활동이 수학 교과학습부진아의 수학 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13(1), 243-263. https://doi.org/10.21075/KACSN.2011.13.1.243
  4. 김민정, 노은환(2007). 학습 노트를 활용한 쓰기 활동이 수학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3), 289-302.
  5. 김보영, 김민경(2003). 초등수학에서 쓰기 활동이 수학적 개념 이해 및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34(1), 55-72.
  6. 김상화(2010). 초등학교 수업에서 수학적 의사소통의 목표 설정 및 지도의 실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혜정, 정동권(2008). 초등학교 수학 학습부진아의 수학일지쓰기 활동 효과. 과학교육논총, 21(1), 7-19.
  8. 박현숙(2000). 수학과 평가도구로서 수학일지 쓰기의 개발과 그 적용 효과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현철, 박만구(2015). 과정중심 수학 동시 쓰기가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2), 187-201.
  10. 서종진(2007). 피드백 방법에 따른 수학 학습의 효과.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1), 71-89.
  11. 설정현, 백석윤(2007). 수학동화 쓰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특성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1(2), 137-160.
  12. 성민정(2016).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수학의 필요성과 유용성 인식 및 태도 연구: 수학 에세이를 통해.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신상민(2015). 수학일기를 활용한 개방형 문제해결에서 나타나는 초등 영재학생의 수학적 사고 특성 사례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안병곤(2011). 초등수학의 수학적 의사소통에 관한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1), 161-178.
  15. 이선명(2010). 상호글쓰기 활동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 및 성향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승운, 정은실(2005). 생활중심 수학보고서 쓰기가 수학학업성취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 28(2), 21-37.
  17. 이영순, 이상수(2016). 동료 릴레이 피드백 전략이 수학과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A-수학교육, 55(4), 503-522.
  18. 이종희, 김선희, 채미애(2001).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평가 기준 개발. 수학교육학연구, 11(1), 207-221.
  19. 이종희, 김선희(2002). 수학적 의사소통의 지도에 관한 실태 조사. 학교수학, 4(1), 63-78.
  20. 이화연, 김응환(2016).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노트쓰기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9(3), 277-289.
  21. 임태민, 백석윤(2009). 초등수학 수업에서의 피드백 유형 및 학생의 반응. 한국초등교육, 20(1), 37-54.
  22. 임현주(2014). 수학 학습 부진아에 대한 의사소통중심 수업이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조현자, 강완(2012). 쓰기와 읽기 중심의 의사소통 활동이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 23(3), 127-143.
  24. 조현철(2011). 내외적 학습동기, 자기결정성, 목표지향, 자기지각,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 요인들의 학습태도, 학습행동 및 학업성취에 대한 효과. 교육심리연구, 25(1), 33-60.
  25. 주형미, 최정순, 유창완, 김종윤, 임희준, 주미경(2016). 미래 사회 대비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비전 연구(I) : 초.중등학교 교과 교육의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16-10.
  26. 지은림(2009). 교사의 피드백 수행을 위한 구성요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0(3), 77-102. https://doi.org/10.15753/AJE.2009.10.3.004004
  27. 하은영(2008). 수학저널쓰기를 활용한 수학 학습 부진학생의 기하학적 사고 수준 및 수학적 태도 변화 사례 연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한화균(2012). 초등수학영재의 수학 쓰기를 통해 나타난 수학적 의사소통과 수학적 성향 및 태도 분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허가은, 신항균(2017). 상호피드백을 통한 형성평가가 수학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E-수학교육 논문집, 31(4), 409-432.
  30. 허성은(2010). 수학 일지쓰기를 활용한 수학학습이 수학 학습부진아의 연산능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황창훈(2017). 수학일기 쓰기활동이 학습자들의 수학적 성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4학년, 다문화학생의 사례중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Albert, L. R. (2000). Outside-in-inside-out: Seventh-grade students' mathematical thought process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1(2), 109-141. https://doi.org/10.1023/A:1003860225392
  33. Dardani, Elise L. (2018). How connecticut educators encourage secondary students to apply creativity. Ed.D. Dissertations. 99.
  34. Griffiths, R., & Clyne, M. (1994). Language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talking, representing, recording. Heinemann Educational Publishers.
  35. Sadler, D. R. (1998). Formative assessment: revisiting the territory. Assessment in Education 5(1) : 77-84. https://doi.org/10.1080/096959598005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