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OP 모델을 적용한 한국어학습자의 수학 학습 지도 방안 연구

A Study on Teaching Methods of Mathematics Using SIOP Model for KLLs

  • 투고 : 2019.07.16
  • 심사 : 2019.08.22
  • 발행 : 2019.08.31

초록

국제결혼 및 이민으로 인한 급격한 인구학적 변화로 우리나라는 다문화 사회로 이미 이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문화 학생을 위한 교육적 관심의 필요성이 야기되었다. 특히, 모국어가 타언어이면서 한국어로 학습하는 한국어학습자(Korean Language Learners)를 위한 교과학습 지원의 필요성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영어학습자(English Language Learners)를 위해 미국에서 개발된 SIOP 모델 중 우리나라의 교실 상황에 적합한 전략을 선택하고 이를 한국어학습자에게 적용하여 수학적 의사소통의 특징과 수학적 오류의 변화 가능성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5학년 2학기 합동과 대칭 단원의 7차시에 걸쳐 SIOP 모델을 적용한 후에 나타나는 한국어학습자의 수학적 의사소통 양상과 수학적 오류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향후 교과 학습에 대한 방향성을 설정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Rapid demographic changes such as international marriages and immigration have led to the transition of Korea 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reby causing the need for education for multicultural students. In particular, there is a growing need to support Korean Language Learners (KLLs) who learn in Korean in their classrooms and whose native language is a foreign language. This study aims to adapt some teaching strategies of the SIOP model developed in the U.S.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ELLs) to fit classroom situations in Korea and apply them to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to analyze the features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a change in mathematical errors. Specifically, three KLLs in 5th grade participated in seven geometry lessons adapting some characteristics of SIOP model and then, their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mathematical error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didactical implications for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KLLs and for setting direction for teaching them mathematic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민정(2012). 한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학습자를 위한 수학 지도 방법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소영(2014). SIOP 모델을 활용한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학습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노영아(2007). 도형 영역의 오류 유형과 원인 분석에 관한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유상휘(2013). 사다리꼴 넓이 구하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의사소통과 유추적 사고과정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이보혜(2014). 초등 수학 영재의 수학적 의사소통 양상 분석 : 개방형 문제 해결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합의 과정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종희, 김선희(2003). 수학적 의사소통. 서울: 교우사.
  7. 장영은(2003). 도형과 관련된 문제해결과정에서 초등학생의 오류 유형과 원인 분석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최민기(2012).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수학 학습에서 겪는 장애요인과 지도방안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Echevarria, J., & Short, D. & Vogt, M.(2008). Making content comprehensible for english learners: The SIOP Model. New York : Pearson.
  10. Echevarria, J., & Short, D. & Vogt, M.(2010). The SIOP model for teaching mathematics to english learners, New Jersey : Pearson.
  11. I, J. Y., & Chang, H. (2014). Teaching mathematic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based on ELL education models. ZDM, 46(6), 939-951. https://doi.org/10.1007/s11858-014-0631-x
  12. Miner, K. A. (2006). Fostering teacher efficacy for teaching elementary English language learning students using the sheltered instruction observation protocol and systems-level supports, a case study. University of Oregon.
  13. NCTM(2007).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공역. 학교 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경문사.
  14. Radatz, H.(1979). Error analysis in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0, 163-172. https://doi.org/10.5951/jresematheduc.10.3.0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