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역 간 특성차이가 서울시 청년층 이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s of Regional Characteristic Differences on the Migration

  • 투고 : 2019.06.12
  • 심사 : 2019.06.27
  • 발행 : 2019.06.30

초록

생애주기단계에서 청년층은 그 사회적위치가 빠르게 변화하는 연령대로, 본 연구는 청년층의 인구이동에 주목하고 주택시장요인을 포함한 지역특성요인과 청년층 인구이동의 관계를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년층의 이동은 거리와 일자리는 중요한 이동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외에 주택시장에서의 전세가격이나 주택공급이 청년층 이동에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서울시내 개별 지역과 이동의 기원지간의 전세가격과 같은 가격의 차이가 커질수록, 주택공급 차이가 커질수록 서울시 청년층의 순전출이 지속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일자리의 경우, 청년층 유입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어 고용중심지 주변에서의 청년층 주거수요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현재 서울시나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일자리가 많은 지역주변이나 역세권 주변에서의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공공주택을 비롯한 민간의 주택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거주할 수 있는 공적 주택이나 민간임대 주택 공급이 지속된다면, 서울시 청년층 전출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young generation in life cycle that social position is rapidly changing is play an important role in a regional development because they can increase social and natural population in the reg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 of young generation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housing market characteristics in Seoul. As the results, the movement of young generation was influenced by commuting distance and location of jobs as the gravity model has suggested. In addition, housing supply and housing price (or Jeonse price)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movement of young generation. It can be inferred that the more price gap such as Jeonse price and housing supply gap are increased, the more out-migration of young generation in Seoul is increased. However, the housing demand of young generation in employment centers will be increased because jobs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inflow of young people. Therefore, the policies of central and Seoul government that supply housing in job rich and high accessibility areas are needed for young generation. In addition, if public housing and affordable housing are supplied in the other areas, it can contribute to reduce the out-migration of young people in Seoul.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은택, 2014, 지역별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 결과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제32권 제2호, pp.35-46.
  2. 김동수.장재홍.이두희, 2009, 지역별 인구이동 분석, 경제발전연구, 제15권 1호, pp.133-152.
  3. 김리영, 2013, 연령별 인구이동이 주택가격 변동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제48권 제2호, pp.341-356.
  4. 김리영.양광식, 2013, 인구유입과 유출을 결정하는 지역특성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제25권 제3호, pp.1-20.
  5. 김현아, 2008, 지역간 인구이동의 실증분석, 응용경제, 제10권 제2호, pp.75-103.
  6. 마강래, 2008, 공간적 분산화과정에서 고용과 인구이동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0권 제4호, pp.283-300.
  7. 민보경.변미리, 2017, 서울인구는 어떻게 이동하고 있는가?, 서울도시연구, 제18권 제4호, pp.85-102.
  8. 서원석.김성연.양광식, 2010, 주거환경이 주택 거주기간에 미치는 결정요인 분석: 미국 중부오하이오 지역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23권2호, pp.3-22.
  9. 이성우, 2002, 지역특성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계속이동과 회귀이동,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13권 제3호, pp.19-44.
  10. 이성우.임형백.고금석, 2004, 기회편익으로 측정한 도농간 이동자의 고용기회, 지역학회.
  11. 이외희, 2010, 경기도 이동인구 및 가구 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연구원.
  12. 이희연, 2003, 인구학: 인구의 지리학적 이해, 서울: 법문사.
  13. 이희연.노승철, 2010, 위계선형모형을 이용한 인구이동 흐름 분석, 국토연구, 제67권, pp.123-142.
  14. 통계청, 2018.8.27, 2017년 인구주택총조사, 보도자료.
  15. 하상근, 2005, 지역간 인구이동의 실태 및 요인에 관한 연구: 경상남도의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9권 제3호. pp.309-332.
  16. 하성규, 2006, 주택정책론, 서울: 박영사.
  17. 허재완, 1993, 도시경제론, 서울: 박영사.
  18. 홍성효.유수영, 2012, 세대별 시군구 간 인구이동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서울연구, 제13권 제1호. pp.1-19.
  19. Brueckner, J. and H. Kim, 2001, Land Markets in the Harris-Todaro Model: A New Factor Equilibrating Rural-Urban Migration, Journal of Regional Science, 41(3), pp.507-520. https://doi.org/10.1111/0022-4146.00228
  20. Chen, Y. and S. Roenthal, 2008, Local Amenities and Life Cycle Migration : Do People Move for Jobs or Fun?, Journal of Urban Economics, 65(3), pp.519-537. https://doi.org/10.1016/j.jue.2008.05.005
  21. Gabriel, S. and Rodenthal, S., 2004, Quality of the Business Environment Versus Quality of Life: Do Firms and Households Like the Same Cities?,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86(1), pp. 438-444. https://doi.org/10.1162/003465304774201879
  22. Lewis, A., 1954, Economic Development with Unlimited Supplies of Labor, Manchester School of Economic and Social Studies, 22, pp.139-191. https://doi.org/10.1111/j.1467-9957.1954.tb00021.x
  23. Porell, F., 1982, Intermetropolitan Migration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Regional Science, 19(3), pp.137-158. https://doi.org/10.1111/j.1467-9787.1982.tb00741.x
  24. Tibout, C., 1956, A Pure Theory of Local Public Expenditure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64, pp.416-424. https://doi.org/10.1086/257839
  25. Todaro, P., 1969, A Model of Labor Migration and Urban Unemployment in Less Developed Countries, American Economic Review, 59, pp.138-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