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수도권 도시 스프롤 평가에 따른 도시성장관리 및 도시재생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asuring Urban Sprawl and Its Policy Implications for Urban Growth Management and Urban Regeneration in Seoul Capital Region

  • 전혜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
  • 우명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 투고 : 2019.03.09
  • 심사 : 2019.03.14
  • 발행 : 2019.03.31

초록

도시 스프롤 현상은 녹지와 오픈스페이스의 잠식, 교통 혼잡 및 대기오염의 증가, 중심도시 쇠퇴의 촉진, 사회적 자본의 감소, 도시기반시설 비용에 대한 납세부담의 형평성 등 부정적 효과로 인해 비판을 받아왔다. 이 연구는 미국 대도시 지역에서 확인되는 도시 스프롤 특성과 다른 것으로 알려진 한국 수도 지역에서의 도시의 무질서한 확장을 측정한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수도권 지역이 교외지역의 저밀도 주택개발 확대로 중심도시의 쇠퇴 경험 여부를 조사한다. 인구밀도의 스프롤 지수, 인구 변화에 대한 도시화 지역의 변화 비율, 인구밀도 변화율 등 세 가지 척도를 채택하였으며, 도시 스프롤 현상을 측정하기 위해 GIS 지도와 서술적 분석을 사용하여 중심 도시의 쇠퇴와 교외지역의 개발 패턴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수도 지역이 중앙 도시의 쇠퇴와 교외지역의 단독주택의 증가로 미국식 스프롤형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정책 입안자들이 도시스프롤과 미국 대도시들이 겪고 있는 도시스프롤의 부정적 영향을 예방하기 위해 성장관리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Urban sprawl has been criticized due to its negative effects, including the encroachment of farmland and open spaces, the increase in traffic congestion and air pollution, the decline of central city, the decrease in social capital, and the unfairness of tax burdens on infrastructure and public services. This study measures urban sprawl in the capital region of South Korea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rawl have been known to be different from those identified in the U.S. metropolitan areas. In particular, the study examines whether the capital region has experienced the decline of the central city with an expansion of low density residential development in suburban areas. Three measurements, the sprawl index with population density, the ratio of changes in urbanized areas to changes in population, and the population density gradient, were employed to measure urban sprawl, and GIS mapping and descriptive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the central city decline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patterns in suburban areas. The results show that the capital region of South Korea is moving to the American style sprawled development with the decline of the central city and an increase of single detached homes in suburban areas, implying that policy makers need to develop growth management strategies to prevent urban sprawl and its negative effects that many U.S. metropolitan areas have suffered from.

키워드

참고문헌

  1. 경기개발연구원, 2007, 경기도 시가지확산 지표와 도시계획 시사점 연구, 수원.
  2. 경기개발연구원, 2008, 경기도 시가지확산에 따른 공간적 영향 연구, 수원.
  3. 국토연구원, 2000,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이용한 국토자원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안양.
  4. 국토연구원, 2006,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공간구조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외연확산형과 압축형 도시측정을 중심으로, 안양.
  5. 김태진.사공호상, 2006, 수도권지역의 시가화 확산 결정요인 분석, 서울도시연구, 7(2), pp.95-116.
  6. 사공호상, 2004,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수도권 도시화지역 확산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40, pp.53-69.
  7. 신정엽.김진영, 2012, 도시 스프롤에 대한 논의 재조명과 공간 분석 방법론에 토대한 도시 스프롤 측정 연구: 수도권을 사례로, 서울법학, 19(3), pp.317-354.
  8. 임은선.이종열.이희연, 2006,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공간구조의 확산-압축패턴 측정, 국토연구, 51, pp.223-247.
  9. 장영호, 2010, 도시의 내연적 성장과 외연적 성장에 따른 공간구조변화 측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0. 정현욱.김재익, 2003, 대도시권역 난개발의 공간적 분포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8(5), pp.7-20.
  11. 진영환, 1987, Centrographic 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도시공간구조 분석, 국가발전과 공공행정, 서울: 박영사.
  12. 진장익.진은애.이우종, 2013, 도시스프롤이 통근통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수도권 도시를 대상으로, 국토계획, 48(5), pp.269-283.
  13. 최남희, 1996, 수도권 공간구조의 동태적 변화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Balchin, P.N., Isaac, D., & Chen, J., 2001, Urban Economics: A Global Perspective, New York: Palgrave.
  15. Bank of America, 1995. Beyond Sprawl: New Patterns of Growth to Fit the New California, San Francisco: Bank of America.
  16. Brueckner, J. K., 2000, Urban Sprawl: Diagnosis and Remedies, International, Regional, Science Review, 23(2), pp.160-171. https://doi.org/10.1177/016001700761012710
  17. Cox, W., 2000. The Anti-Sprawl War on the Suburbs: False Diagnosis, Hopeless Policies, A Quarterly Publication of Public Policy in Texas, 1(1), pp.18-31, Retrieved from http://www.texaspolicy.com/pdf/2000-veritas-1-1-sprawl.pdf.
  18. DiBari, J. N., 2007, Evaluation of five landscape-level metrics for measuring the effects of urbanization on landscape structure: The case of Tucson, Arizona, US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9(3-4), pp.308-313.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6.04.004
  19. Ewing, R. H., 1994, Characteristics, Causes, and Effects of Sprawl: A Literature Review, Environmental and Urban Issues, 21(2), pp.1-15.
  20. Fallah, B. N., Partridge, M. D., & Olfert, M. R., 2010, Urban sprawl and productivity: Evidence from US metropolitan areas, Papers in Regional Science, 90(3), pp.451-472. https://doi.org/10.1111/j.1435-5957.2010.00330.x
  21. Feng, L. & Hui, L., 2012, Spatial Pattern Analysis of Urban Sprawl: Case Study of Jiangning, Nanjing, China, Journal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138(3), pp.263-269. https://doi.org/10.1061/(ASCE)UP.1943-5444.0000119
  22. Frenkel, A. & Ashkenazi, M., 2008, Measuring urban sprawl: how can we deal with it?, Planning and Design, 35(1), pp.56-79. https://doi.org/10.1068/b32155
  23. Galster, G., Hanson, R. X, Ratcliffe, R., Wolman, H., Coleman, S. & Freihage, J., 2001, Wrestling Sprawl to the Ground: Defining and Measuring an Elusive Concept, Housing Pilicy Debate, 12(4), pp.681-717. https://doi.org/10.1080/10511482.2001.9521426
  24. Li, X., Liu, L. & Dong, X., 2011. "Quantitative Analysis of Urban Expansion Using RS and GIS, A Case Study in Lanzhou, Papers in Regional Scienc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37(4), pp.459-469.
  25. Turner, M. G., Gardner, R. H., & O'Neill, R. V., 2001, Landscape ecology in theory and practice: Pattern and Process, New York: Springer-Verlag.
  26. Woo, M. & Guldmann, J., 2011. "Impacts of Urban Containment Policies on the Spatial Structure of U.S. Metropolitan Areas, Urban Studies, 48(16), pp.3504-3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