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도국 과학기술 정책 자문 사업의 성과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Factors on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Consultation Project for Developing Countries

  • 투고 : 2018.12.17
  • 심사 : 2019.02.13
  • 발행 : 2019.04.30

초록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 규모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ODA 사업의 수행 방법과 효과성에 대한 비판은 계속 제기되고 있다. 과학기술 분야도 ODA 규모는 늘어나는 추세이지만 여러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 국내외적으로 과학기술 ODA에 대한 정의가 명확하게 확립되어 있지 않고 학문적 논의도 미흡한 편이다. 둘째, 과학기술 ODA 사업의 성과에 대한 분석도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과학기술 ODA 사업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획 관리 역량이 전반적으로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기술 정책 자문 사업을 대상으로 하여 과학기술 ODA 사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학기술 지식을 이전하는 이전역량뿐만 아니라 이를 흡수 활용하는 흡수역량이 중요함을 발견하였다. 이런 점에서 보면, 과학기술정책 자문 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이전역량과 상대 개도국의 흡수역량을 동시에 고려하여 사업을 기획, 관리하는 체제가 요구된다.

While the amount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there are some criticism about the effectiveness and management of ODA itself. The ODA in the area of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STI) is also increasing but seems to have many problems. First, there is not clearly defined or agreed definition for STI ODA internationally as well as domestically. Second, the evaluation on the STI ODA performance is not enough. Third, the planning and management capability to implement ODA project is generally lacking. In this background, the issue of performance factors of STI policy consultation project was analyzed using the case studies and expert interviews. It is concluded that not only STI knowledge transferring capacity but also the absorptive capacity is important for the success of STI policy consultation project. In this sense, it is suggested to plan and manage the STI ODA project with the consideration of both transferring capacity and absorptive capac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희종.임덕순 (2014), "과학기술.ICT ODA 현황 및 정책 방향", STEPI Insight,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45): 1-37.
  2. 김구 (2010), "정부조직의 지식흡수역량과 혁신역량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논의", 한국거버넌스학회 2010년도 동계학술대회.
  3. 김귀원 (2014), "학습, 혁신역량과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7(2): 380-420.
  4. 김왕동 (2016), "과학기술혁신 ODA 현황과 과제", 과학기술정책, 26: 18-23.
  5. 김인수 (1995), "기업의 흡수 능력과 국제경쟁력 : 조직이론에 비춰 본 거시경제 진단", 경영학연구, 24(1): 1-28.
  6. 김창완.김정포.이율빈 (2006), "지식이전 파트너간 관계 특성과 지식이전성과간의 관계",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06년도 추계 국제학술대회.
  7. 김환진.김병근 (2014), "사회적 네트워크와 흡수역량이 기술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비교분석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17(4): 629-650.
  8. 서민교.정재휘 (2015), 다국적기업의 지식이전역량이 해외자회사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07-122.
  9. 송윤아.이재은 (2014), "국제합작 파트너 기업 간 지식공유와 관계몰입이 지식이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학습발표대회 발표논문집, 4-28.
  10. 윤지웅.이호규 (2013), "과학기술 연구개발(R&D)에 대한 공적개발원조(ODA)의 측정범위와 효과 분석", 사회과학연구, 39(1): 143-161.
  11. 임덕순 (2015가), "한국형 과학기술 ODA 모델 가능한가 - In search of Korean STI ODA model", 제4차 과학기술 ODA 포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2. 임덕순 (2015나), "개도국과 한국의 과학기술 발전 경험 공유-혁신클러스터를 중심으로", 2015년도 혁신클러스터학회 춘계학술대회, 혁신클러스터학회.
  13. 이우성.이명진.장용석.정도채.성경모.박선희.김성아.김보현.정유성.윤성빈.김아람 (2015), "UN의 Post-2015 개발의제와 과학기술혁신 국제협력 방안", 정책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434.
  14. 이정협 (2011), "글로벌 플랫품 리더십을 달성하기 위한 한국형 과학기술혁신 ODA 전략", 과학기술정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85: 24-36.
  15. 이창근 (2017), "개도국 기술혁신을 위한 선진국의 역량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6. 이창근.김종주.정선양 (2017), 기술혁신역량의 개도국 전수를 위한 전략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20(3): 709-731.
  17. 장용석 (2012), "신 과학기술외교 전략으로서의 패키지형 과학기술 ODA 모형", STEPI Insight, 86: 1-29.
  18. 정갑연 (2014), "역지식이전(Reverse Knowledge Transfer)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43(3): 993-1025.
  19. 정진섭.이민재 (2012), "공유가치창출(CSV)에 기반을 둔 한국의 ODA 전략", 국제경영리뷰, 18(4): 75-99.
  20. 정재휘 (2014), "한국 본사의 지식이전능력이 해외자회사 흡수역량과 기술이전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학습발표대회 논문집, 513-537.
  21. 조황희.임덕순.송치웅.김왕동.백서인.정하영 (2017), "현장에서 바라본 ODA 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기획재정부 위탁 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2. 홍사균 (2000), "지식흡수의 학습과정 모형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3. Cho, Y. S. (2015),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Cultural Similarity in the Path of Technology Transfer between the Parent Firm and the Foreign Subsidiary", 대한경영학회지, 28(9): 2277-2302.
  24. Cohen, W. M. and Levinthal, D. A. (1990), "Absorptive Capacity: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nd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5: 128-152. https://doi.org/10.2307/2393553
  25. Han, Y. J. (2018), "Science and Technology ODA in Africa", 한국아프리카학회지, 54: 125-149.
  26. Kim, L. (1999), Learning and Innovation in Economic Development, Edward Elgar Publishing.
  27. Kim, L. (1998), "Crisis Construction and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Building in Catching-up at Hyundai Motor", Organization Science, 9(4): 506-521. https://doi.org/10.1287/orsc.9.4.506
  28. Kim, L. (1997), Imitation to Innovation: The Dynamics of Korea's Technological Learning, Harvard Business Press.
  29. Majidpour, M. (2016), "International Technology Transfer and the Dynamics of Complementarity: A New Approach", Technology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30. Martin, X. and Solomon, R. (2003), "Knowledge Transfer Capacity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Theory of the Multinational Corporation",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34(4): 356-373. https://doi.org/10.1057/palgrave.jibs.8400037
  31. Minbaeva, D. B. (2007), "Knowledge Transfer in Multinational Corporations", Management International Review, 47(4): 567-593. https://doi.org/10.1007/s11575-007-0030-4
  32. Minbaeva, D., Park, C. and Vertinsky, I. (2013), "The Influence of Foreign Partners' Disseminative Capacities on Knowledge Transfer to International Joint Ventures", SMG Working Paper, 2: 2-44.
  33. ODA Korea (2019), ODA 형태 및 유형 소개, http://www.odakorea.go.kr/ODAPage_2012/T01/L02_S02_04.jsp (검색일 2019. 1. 17.).
  34. Parent, R., Roy, M. and St-Jacques, D. (2007), "A Systems-based Dynamic Knowledge Transfer Capacity Model", Journal of Knowledge Management, 11(6): 81-93. https://doi.org/10.1108/13673270710832181
  35. Park, B. I. and Ghauri, P. N. (2011), "Key Factors Affecting Acquisition of Technological Capabilities from Foreign Acquiring Firms by Small and Medium Sized Local Firms", Journal of World Business, 46(1): 116-125. https://doi.org/10.1016/j.jwb.2010.05.023
  36. Teece, D. J. (2009), Dynamic Capabilities and Strategic Management: Organizing for Innovation and Growth,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37. Zahra, S. A. and George, G. (2002), "Absorptive Capacity: A Review, Re-conceptualization, and Extens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7(2): 185-203. https://doi.org/10.5465/amr.2002.6587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