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mprovement of Perception on Teaching Professionalism through Early Childhood Teaching Practice Experience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 유아교사들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변화 탐색 연구

  • Lee, Seung Eu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ongshin University)
  • 이승은 (동신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Received : 2019.04.29
  • Accepted : 2019.06.12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 and its improvement of pre-service teachers regarding teaching professionalis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ing early childhood teaching practice and 41 their cooperating teachers. Methods: In order to examine perception and its improvement on teaching professionalism, teaching professionalism scale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PSECT) that was 33 items was administrated. Data were analysed paired t-test and contents analysis. Results: First, early childhood teaching practice experience affected positive effects on the four subordinate areas of teaching professionalism: , , , and improved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Second, student teachers were developing teaching professionalism, in a course of early childhood teaching practice which consisted of performing teaching real children in the field, evaluating and feedback of cooperating teacher, self-reflection and re-instruction. Conclusion/Implications: For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professionalism, except a teaching practice subject, it is necessary to open various subjects that provide practical experiences, such as, teaching real children, observing actual class. This suggests that more experiential and practical in-service education program will be demanded.

본 연구는 수업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으로서 교육실습 과정을 경험한 예비 유아교사들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변화를 탐색하고, 예비 교사들의 수업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과정을 운영을 위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N시의 4년제 대학 유아 교육학과에서 "교육실습"을 이수한 유아교육학과 4학년 학생 41명 및 지도 교사 41명이었고 예비 교사들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하였고,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서 개방형 문항을 내용 분석을 통하여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업전문성 인식 총점 및 하위요인들의 평균값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실습 초반에는 실제 수업의 진행 및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다소 어려움을 겪지만 실습기간 중, 지도교사의 안내를 받으며 다양한 유형의 실전수업을 경험하면서, 실습이 마무리 될 무렵에는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변화하여 교육실습 경험이 예비교사들의 수업전문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전문성 인식 변화를 탐색하기 위하여 예비교사들이 기술한 개방형 설문을 내용분석 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실습과정에서 실제 수업을 처음 수행한 후에는 자신의 부족한 점 보완해야 할 점 등을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장 마지막으로 이루어진 수업에서는 첫번째 수업에서 나타난 문제점의 발전 방안을 찾고, 적용해보는 과정을 통해 발전된 모습을 스스로 발견하면서 수업전문성 발달이 이루어지는 모습이 드러났다. 셋째 실습 지도교사가 강조한 수업전문성을 내용 분석한 결과, 지도교사들은 수업의 청사진으로서의 수업계획안 작성, 수업의 흐름을 매끄럽게 하기 위한 발문 구성, 철저한 준비를 바탕으로 한 융통성 있는 수업의 운영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은정(2007). 특수아를 위한 체제적 교수설계 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곽호완, 박창호, 이태연, 김문수, 진영선(2008). 실험심리학용어사전. 서울: 시그마프레스.
  3. 교육과학기술부(2011). 만3-5 세 연령별 누리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 김경철, 김안나(2010) 예비 유아교사의 모의수업을 통한 수업분석의 경험. 유아교육학논집, 14(1), 399-424.
  5. 김영옥(2001). 유치원 교육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 한국교원교육연구, 18(1), 15-43.
  6. 김영천(2016). 수행평가: 이론과 설계.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7. 김은심(2005).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동작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9(3), 31-56.
  8. 김인경(2017). 예비수학교사가 학교현장실습에 참여 후 자신의 수업실습에 관한 반성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4(4), 213-234. doi:10.24211/tjkte.2017.34.4.213
  9. 김재우(2014). 교육실습경험이 사회과 예비교사의 수업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 석사학위논문.
  10. 김정숙, 이종향, 박영숙, 조현정(2011). 유치원 교사, 학부모, 일반인이 인식하는 유치원 교사의 직업 이미지. 유아교육학논집, 15(3), 459-284.
  11. 김정원, 조혜선(2012). 보육실습 전.후 예비보육교사의 교사 이미지 변화: 교사 자화상 그리기와 심층면담을 통한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2), 1-19.
  12. 김현자(2007). 실천적 지식 형성에 비추어 본 예비유아교사의 보육실습 경험. 영유아교육연구, 10, 77-102.
  13. 김혜윤, 강유진(2018) 반성적 저널을 통한 유아교육과 교육실습생의 수업경험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8), 547-556. doi:10.21742/AJMAHS.2018.08.55
  14. 마지순, 고은현(2010).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과 현장수업 경험에 대한 의미탐색. 유아교육연구, 30(1), 251-273. https://doi.org/10.18023/KJECE.2010.30.1.010
  15. 박성덕, 김은정, 김경철(2015).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반성적 모의수업에 대한 실행연구. 어린이미디어연구, 14(4), 197-228.
  16. 박은혜(2013).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17. 박은혜(2016. 5). 유아교육에서 교권관련 쟁점과 과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07-123.
  18. 박창현, 전경화(2014).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교육실습 역량분석: 면담자료 및 개념 연결망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8(4), 289-306.
  19. 박혜경(2010). 교육실습을 통해 살펴본 예비교사들의 경험. 아동교육, 19(2), 103-113.
  20. 배성아, 안정희(2014). 예비교사의 반성적 저널에서 나타난 수업시연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의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1), 393-417.
  21. 손승남(2005). 교사의 수업전문성 관점에서 본 교사교육의 발전방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2(1), 89-108.
  22. 송주연, 황해익(2010). 좋은 수업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이야기. 열린유아교육연구, 15(3), 399-423.
  23. 신광수, 안정은(2017. 5). 유아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원양성정책과 방안.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춘계전국학술대회 자료집, 33-35.
  24. 신은수, 박은혜(2012). 2011 국제표준교육분류(ISCED)에 의한 유아교육단계의 교원제도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7(3), 265-282.
  25. 심현애, 김경연(2012) 티칭포트폴리오를 통한 반성 활동에 관한 연구. 학습과학연구, 6(3), 43-71.
  26. 안부금(2014).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일일교육계획안 설계원리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9(4), 53-74.
  27. 양옥승(2002). 유치원교사 양성체제와 유아교육의 전문성 신장. 한국교원교육연구, 19(1), 25-43.
  28. 엄은나(2013).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유치원 현장 실습의 어려움. 아동보육연구, 9(1), 45-64.
  29. 엄은나, 서동미, 이경민(2010). 유치원에서의 '좋은수업' 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14(2), 271-298.
  30. 염지숙(2011).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의 유치원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유아교육학논집, 15(6), 295-310.
  31. 오선영, 이옥임(2006).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적응의 변화과정 연구 사전실습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6(2), 139-156.
  32. 오채선(2017. 5). 4차 산업혁명시대 유아교사의 전문성 강화 전략.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7 춘계전국학술대회 자료집, 57-84.
  33. 유구종, 김은아(2015). 좋은 수업 에 대한 예비교사의 개념도 및 구조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4), 589-616.
  34. 이미경, 이시자(2014).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4), 137-161.
  35. 이미화(2017. 5).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유아교원정책의 쟁점과 과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7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59-77.
  36. 이성희(2015). 예비유아교사의 예측하지 못한 수업상황과 대응 및 사후대처에 대한 탐색. 한국보육학회지, 15(3), 231-249.
  37. 이성희(2018). 유치원 예비원장의 수업지도성 신념과 실제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5(1), 345-367. doi:10.24211/tjkte.2018.35.1.345
  38. 이은희, 이일랑(2016).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수업 경험에 관한 탐색 유아과학 교수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6(2), 83-103. doi:10.21213/kjcec.2016.16.2.83
  39. 이춘자(2008). 사전실습에서 예비교사들이 경험한 교육 내용 및 정서 분석. 육아지원연구, 3(2), 75-97.
  40. 이혁규, 김남수, 김병수, 신지혜(2011. 11). <최고의 교사> 수업사례를 활용한 수업 전문성 신장방안.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학술대회 자료집, 97-139.
  41. 이희경(2013). 누리과정 도입에 따른 전문성 제고방안. 실천유아교육, 18(1), 1-23.
  42. 이혜정(2010). 웹기반 수업설계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
  43. 임규혁, 임웅(2007). 교육심리학. 서울: 학지사.
  44. 임부연, 최계령, 류미향(2010). 유아교실에서 교수 자료의 의미와 활용에 관한 교사의 인식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4(6), 203-226.
  45. 임찬빈(2006). 수업평가 기준 개발연구 II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I 2006-3.
  46. 임찬빈, 이화진(2006). 수업전문성 일반기준과 활용 방안.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ORM 2006-24-1.
  47. 정남미(2013). 예비유아교사와 실습지도교사의 발문 교육에 대한 요구조사. 유아교육학논집, 17(6), 75-98.
  48. 정남미(2016). 좋은 수업의 관점과 특징에 대한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비교. 유아교육학논집, 20(5), 201-222.
  49. 정남미, 연혜민(2018).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분석.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3(3), 117-134. doi:10.20926/ETPIYC.2018.3.3.6
  50. 조석훈, 나민주, 김병찬, 양성관, 김운종(2007). 교원자격 및 양성에 관한 법령 제정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7-공모-10.
  51. 조운주(2018). 유치원 교육실습생의 수업평가 및 지도교사의 피드백 분석. 육아지원연구, 13(4), 81-99. doi.10.16978/ecec.2018.13.4.004
  52. 진영은, 함영기(2009). 수업 전문성 재개념화 연구 동향 및 과제. 열린교육연구, 17(2), 47-71.
  53. 차정주, 강호수(2015). 예비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 전문성 탐색.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1), 6-25.
  54. 최예린(2016).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이야기.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1), 189-211.
  55. 최현주, 김정원(2012). 유아교육과정 연구의 최근 동향: 2000년-2011년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6(4), 115-135.
  56. 추광재(2004).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평가 준거의 이론적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4(1), 1-20.
  57. 하정수(2005). 초등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한국교육개발원(2019. 2). 5주기 교원양성기관 역량 진단 지표(안). 한국교육개발원 교원양성기관 평가센터 2019 토론회 자료집, 11-25.
  59. 홍찬의, 박찬옥(2015). 교육 계획에 내재된 유치원교사의 수업 전문성 탐구. 유아교육학논집, 19(5), 5-28.
  60. Liston, D., Whitcomb, J., & Borko, H. (2006). Too little or too much: Teacher preparation and the first years of teaching.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7(4), 351-358. https://doi.org/10.1177/0022487106291976
  61. Lowenkaupt, M. A., & Stephanik, C. E. (1999). Making student teaching work: Creating a partnership. IN: Phi Delta Kappa International.
  62. Meyer, H. (2011). Was ist guter unterricht?.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손승남, 정창호 역). 서울: 삼우반(2004 원저 발간).
  63. Murphy, P. K., Delli, L. A., & Edwards, M. N. (2004). The good teacher and good teaching: Comparing beliefs of second-grade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72(2), 69-92. doi:10.3200/JEXE.72.2.69-92
  64. O'Brian, M., Stoner, J., Appel, K., & House, J. J. (2007). The first field experience: Perspective of preservice and cooperation teachers. Teacher Education and Special Eduction, 30(4), 264-275. doi:10.1177/088840640703000406
  65. Sweigard, T. L. (2009). Initial impressions: Reflections of pre-service educations. Contemporary Issues in Early Childhood, 10(1), 78-82. doi:10.2304/ciec.2009.10.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