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내·외 식품용 유전자변형미생물 안전성 심사 현황 및 전망

Status and prospect of safety evalu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microorganism (GMM) for domestic and foreign food application

  • 김성보 (씨제이제일제당 식품연구소 미래혁신센터) ;
  • 김양희 (씨제이제일제당 식품연구소 미래혁신센터)
  • Kim, Seong-Bo (Future Innovation Center, CJ CheilJedang Food Research Institute) ;
  • Kim, Yang Hee (Future Innovation Center, CJ CheilJedang Food Research Institute)
  • 투고 : 2019.05.15
  • 심사 : 2019.06.04
  • 발행 : 2019.06.30

초록

바이오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식품산업에서도 유전자변형미생물을 이용한 효소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를 실제 산업에 이용하기 위한 식품 및 식품첨가물에 대한 적합한 법적 규제수준과 심사관리 현황에 대한 사례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식품 생산을 목적으로 한 유전자변형미생물의 심사 승인사례는 총 6건으로 그 용도가 기능성 감미료 제조에 국한되어 있다. 생산공정이용 또는 밀폐환경이용을 목적으로 개발한 유전자변형미생물이더라도 식품에 적용하는 경우 안전성 심사 시 환경위해성 심사를 포함해야 하며,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식품 및 식품첨가물은 식품원료 등의 한시적기준 심사를 별도로 진행해야 한다. 반면, 해외에서 유전자변형미생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제품을 단순 수입 판매하고자 하는 경우 최종 제품에 대한 심사만 요구되고 있어, 국내에서 직접 제조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 비하여 인허가 심사에 소요되는 비용 기간에서 유리한 구조이다. 기술 선진국인 미국 유럽은 직접 섭취가 아닌 식품가공을 목적으로 하고 최종 제품에 유전자변형 미생물 및 유래물질이 잔존하지 않을 경우, 다양한 법규 제도를 통하여 합리적인 수준에 안전성 심사의 기준을 세분화하고 단계별로 완화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적 장치들은 '제조'의 관점에서 자국의 개발자가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기술 상업화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크게 기여한다. 국내에서도 2013년부터 안전등급 1등급에 해당하는 유전자변형미생물을 생산공정에만 이용하는 경우는 안전성 평가 자체보다는 밀폐시설의 설치 및 운영을 체계화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보완 제도는 아직까지 산업용 LMO에 국한하여 시행되고 있어, 앞으로 그 범위를 식품용 LMO까지 확대하기 위한 산 학 연의 관심과 논의가 필요하다. 본 기고문에서는 식품용 유전자변형미생물의 국내와 선진국의 심사사례, 법규체계 및 심사기준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국내 관련 법규제도개선의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With the breathtaking stride beingmade in the field of biotechnology, biocatalyst research using genetically modified microorganism (GMM) is actively being pursued in food industry. However, domestic food and food additive regulation standards and the number of examination management examples currently used in industry is lacking significantly. Up till now, there are only 6 examples of domestic GMM examination and approval cases for food production purposes and furthermore they are limited to the production of functional sweeteners. Domestically, although GMM is developed as a processing aid (contained use), if they are used in the production of food, the safety of GMM, including environmental safety, is evaluated. Also the produced food or food additives using GMM need to be separately examined and approved as a novel food. On the other hand, imported products produced using GMM need to gain approval for the final product only. Thus the expense and the time to obtain regulatory approval is advantageous for imported products versus domestically produced products. This commentary is written to create the opportunity to reform the current domestic food GMM regulation by comparing and discussing domestic and foreign case analyses of safety evaluation of GMM and related regula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EFSA BIOHAZ Panel. Update of the list of QPS-recommended biological agents intentionally added to food or feed as notified to EFSA 7: suitability of taxonomic units notified to EFSA until September. EFSA Journal. 16(1): 5131 (2018)
  2. European Union,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Union, L354: 7-15 (2008)
  3. 식품의약품안전처. 유전자변형식품 등의 안전성 심사규정 해설서 (민원인 안내서) (2017)
  4. 식품의약품안전처. 유전자변형식품 승인 현황 (2019. 3. 29 기준) (2019)
  5.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유전자변형식품 관련 법령집. 유전자변형 식품등의 안전성 심사 등에 관한 규정, 별표 2 (2018a)
  6.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유전자변형식품 관련 법령집.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통합고시, 별표 10-1 (2018b)
  7.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유전자변형식품 관련 법령집. 식품등의 한시적 기준 및 규격 인정 기준, 별표 6 (2018c)
  8. 이종훈.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제외국의 식품미생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 시스템 및 기준규격 조사 연구. 2013년 기초연구과제총서. 616-635 (2013)
  9. 이진규. 식품의약품안전처 용역연구개발과제최종보고서. 바이오 기술을 이용한 식품첨가물 제조 동향 및 지원방안 연구 (2018)
  10.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유전자변형유기체/생물체(GMO/LMO) 기술개발 동향 (2010)
  11.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산업용 LMO 동향. 16(4): 21-27 (2015)
  12.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국내이벤트승인현황. Available from : https://www.biosafety.or.kr/approval/list.do?m=030201&s=kbch Accessed May 13.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