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Gyeongridangil and Its Related Commercial Streets from the Perspective of Place Branding

장소 브랜드 관점에서 본 경리단길 및 유사상권의 특성

  • 김주일 (한동대학교 공간환경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19.05.03
  • Accepted : 2019.05.29
  • Published : 2019.06.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ppearance of Gyeongridangil and its related commercial streets, which seemingly serve as a place brand. Internet trend data, locational conditions, and commercial composition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formation. Result showed that, as the commercial streets developed because of social network services, the street names tended to be considered as place images. In terms of locational conditions, they chose rather remote places, risking the disadvantages for their own spatial style. Interpreted within the framework of place branding, these streets seemed to identify themselves with a unique streetscape using spatial restraints as an advantage. They positioned in a niche area to avoid conflict with other commercial types and attract consumers with the image of "suppliers of trendy lifestyle", thus successfully becoming a place brand.

경리단길을 필두로 유사명칭 상권이 발생하여 브랜드처럼 작동하는 현상을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인터넷 트렌드와 입지 여건, 업체 구성을 분석하여 상권 형성과정 및 현황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해당 상권들은 인터넷 SNS 활성화에 힘입어 성장하면서 명칭 자체가 웹상에서 장소 이미지를 담은 브랜드처럼 변해갔음을 알 수 있었다. 입지 특성으로 볼 때 이들은 기존 중심상권과는 적절히 분리되고 제약요인이 많은 위치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체 구성에 있어서는 기존상권과는 달리 요식업, 개별 창업 위주의 구성을 가지고 있었다. 장소 브랜딩 개념으로 특성들을 해석해보면, 이 상권들은 제약요인을 통해 오히려 독특한 장소성을 정체성화하고, 기존에 없던 소규모, 개성적 상권 영역에 포지셔닝하며, 이용자들에게 트렌디한 라이프스타일의 공급처라는 이미지로 다가감으로 효과적으로 브랜딩 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Keywords

CCTHCV_2019_v19n6_334_f0001.png 이미지

그림 1. 경리단길 위치 및 주변여건

CCTHCV_2019_v19n6_334_f0002.png 이미지

그림 2. 경리단길 포스팅수 변화(왼쪽), 경리단길의 G사 트렌드 변화(오른쪽)

CCTHCV_2019_v19n6_334_f0003.png 이미지

그림 3. 경리단길·망리단길 SNS 반응도(좌), 유사 명칭상가 증가 추세(우)

CCTHCV_2019_v19n6_334_f0004.png 이미지

그림 4. 경리단길 및 유사상권의 SNS 상 반응도 추세

CCTHCV_2019_v19n6_334_f0005.png 이미지

그림 5. 상권의 업체분포, 영역 분포 및 주변 상권 여건

CCTHCV_2019_v19n6_334_f0006.png 이미지

그림 6. 상권별 업종의 전체적 구성 비율

CCTHCV_2019_v19n6_334_f0007.png 이미지

그림 7. 장소 브랜드 형성과정의 3요소

CCTHCV_2019_v19n6_334_f0008.png 이미지

그림 8. 상권 특성 분포에 있어서 ☐리단길 상권의 포지셔닝

CCTHCV_2019_v19n6_334_f0009.png 이미지

그림 9. 중심성 개념의 변화

표 1. 유사상권 사례 및 그 여건

CCTHCV_2019_v19n6_334_t0001.png 이미지

표 2. 유사 명칭 상권 주요 사례 선정

CCTHCV_2019_v19n6_334_t0002.png 이미지

표 3. 각 리단길 상권 입지 관련 특성

CCTHCV_2019_v19n6_334_t0003.png 이미지

표 4. 주요 5개 업종 구성 비율

CCTHCV_2019_v19n6_334_t0004.png 이미지

표 5. 각 상권별 프랜차이즈 구성 비율

CCTHCV_2019_v19n6_334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정연승, 최순화, "한국형 스트리트형 상권(문화쇼핑거리)의 현황과 발전방안," 유통연구, 제21권, 제2호, pp.125-151, 2016.
  2. 김민정, 서울 경리단길 젠트리피케이션 과정에서 물리적 환경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학위논문, 2016.
  3. 양희은, 손용훈, "경리단길 창조계급의 유입과정과 문화경관 형성요인," 한국조경학회지, 제41권, 제6호, pp.158-171, 2013. https://doi.org/10.9715/KILA.2013.41.6.158
  4. 한상후, 소셜 미디어를 통한 상업가로의 인지와 공간 변화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5. 이민정, 김승인, "특화장소의 정체성 지속을 위한 전략으로서의 장소 브랜딩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4권, 제4호, pp.1031-1040, 2014.
  6. 이경화 김주연, "장소 브랜딩을 통한 공간의 브랜드 정체성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제8권, 제4호, pp.59-71, 2013.
  7. M. Kavaratzs and G. J. Ashworth, "City Branding: An Effective Assertion of Identity or a Transitory Marketing Trick?," Tijdschrift voor Economische en Sociale Geografie, Vol.96, No.5, pp.506-514, 2005. https://doi.org/10.1111/j.1467-9663.2005.00482.x
  8. 구동희, "도시문화전략으로서의 장소 마케팅과 삶의 질," 국토지리학회지, 제38권, 제3호, pp.215-226, 2004.
  9. 농림축산식품부, 2018 국내 외식트렌드 조사 보고, 2018.
  10. 인터넷 트렌드 관련 빅데이터 분석 사이트 (유료 회원제), http://startag.io, 2019.4.12.
  11. www.yeongnam.com/mnews/newsview.do? mode=newsView&newskey=20151016.010410853250001, 2019.4.12.
  12.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061010323433752, 2019.4.12.
  13. www.gurc.or.kr/?p=362, 2019.4.12.
  14. blog.naver.com/PostList.nhn?blogId=mungy eongsi, 2019.4.12.
  15. http://www.joongdo.co.kr/main/view.php?key=20180408010003443, 2019.4.12.
  16. B. Stephen, "Micro-scale Retail Location: Cinderella or Ugly Sister?,"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Vol.21, No.7, pp.10-19, 1993. https://doi.org/10.1108/09590559310046013
  17. M. Cadwallader, Analytical Urban Geography, Prentice-Hall, pp.83-87, 1985.
  18. 최수영, 인터넷 도메인이름의 법적 문제 및 그 보증과 분쟁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2-14, 2006.
  19. 조성광, 브랜드 네이밍과 상표권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20. 김주일, "SNS 등 모바일 인터넷 매체의 활성화가 이용자의 장소선택과 요식업체 입지분포에 미치는 영향," 도시설계, 제19권, 제4호, pp.125-139, 2018.
  21.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72924&cid=43659&categoryId=43659, 2019.4.12.
  22. 황준기,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의한 장소성 변화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학위논문, 2015.
  23. 하태환 역, 시뮬라시옹(Baudrillard, Jean, Simulacres et Simulation, Editions Galilee, 1981) , 민음사, pp.19-28, 2001.
  24. https://smartplace.naver.com/, 2019.4.12.
  25. http://sg.sbiz.or.kr, 2019.4.12.
  26. 김희정, 창의적 소매점의 문화적 가치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7. http://www.foodbank.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910, 2019.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