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스트레스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tress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Self-Respect

  • 김봉금 (한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투고 : 2019.04.02
  • 심사 : 2019.05.28
  • 발행 : 2019.06.28

초록

본 연구는 스트레스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만 65세 이상으로 종합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485명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문제, 건강문제, 경제문제, 상실감은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스트레스와 우울 간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의 가족문제, 경제문제, 상실감은 우울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문제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와 우울 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의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self-respect in the impact of stress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485 people aged 65 or above who use a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 First, in the effect of stress on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family issues, health issues, economic issues, and feeling of los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Second, in the impact of self-respect in the elderly on their depression, family issues, economic issues, and feeling of loss were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depression, but not with health issues. Third, in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to the elder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tress and depressi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valu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on social welfare in reducing depression experienced by the elderly.

키워드

CCTHCV_2019_v19n6_281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표 1.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CCTHCV_2019_v19n6_281_t0001.png 이미지

표 2.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검증 (스트레스, 우울)

CCTHCV_2019_v19n6_281_t0002.png 이미지

표 3.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CCTHCV_2019_v19n6_281_t0003.png 이미지

참고문헌

  1. 통계청, 2018년 고령자 통계, 2018.
  2. 송진영, 노인복지론, 나눔의 집, 2010.
  3. 통계청, 2016년 국가통계포털 국내통계, 2017.
  4. 김경배, 노인의 고독감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 감에 미치는 영향 : 여가활동 만족의 매개효과,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5. 남향자, 노인의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에 대한 사회적지지와 대처의 조절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6. 김정엽, 이재모, "저소득 여성노인과 일반여성노인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39권, pp.397-418, 2008.
  7. 엄인숙, "노인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복지행정논총, 제22권, 제1호, pp.73-90, 2012.
  8. 강해자, 노인의 스트레스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선택.최적화보상 대처전략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9. 윤정선, 노인의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0. 김태경, "노인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학회지, 제9권, 제3호, pp.81-108, 2017.
  11. 김미례,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박사학위논문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2. 김현순, 김병석, "자아존중감이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27권, 제1호, pp.23-37, 2007.
  13. 권태연, "노년기 연소노인, 중고령노인, 초고령노인집단의 스트레스요인과 자아존종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2 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0권, 제1호, pp.163-196, 2009.
  14. 손은경,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5. 송수정,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 공원이용자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6. 김승연, 고선규, 권정혜, "노인 집단에서 배우자의 사별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제26권, 제3호, pp.573-596, 2007.
  17. 박미진, "여성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강점과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제12권, 제2호, pp.197-211, 2007. https://doi.org/10.18205/KPA.2007.12.2.007
  18. 기백석,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 신경정신의학, 제35권, 제2호, pp.293-307, 1996.
  19. 양옥남, 노인과 부양자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20. 이선혜, 고정은, "노인의 우울식별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제29권, 제2호, pp.529-546, 2009.
  21. 이인정, "초고령 노인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응 방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4호, pp.264-294, 2014.
  22. 정순둘, "시설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한국노년학, 제18권, 제3호, pp.1-18, 2004.
  23. S. Cohen and T. A. Will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e, Vol.98, No.2, pp.310-357, 1985. https://doi.org/10.1037/0033-2909.98.2.310
  24. 고승덕, 손애리, 최윤신,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6권, 제1호, pp.3-15, 2001.
  25. 김오남, "농촌노인의 건강수준, 사회적 지지와 우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8권, 제2호, pp.5-22, 2003.
  26. 이평숙, 생활사건과 관련된 스트레스량 측정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4.
  27. 노병일, 모선희, "사회적 지지의 수준과 차원이 노인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제27권, 제1호, pp.53-69, 2007.
  28. 김희영, 정봉교,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제32권, 제4호, pp.183-204, 2016.
  29. 서경석, "노인의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사회참여욕구가 사회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연구, 제23권, pp.97-125, 2012.
  30. 김정엽, 여성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31. 정신섭, 하규수, "노년기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족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5권, 제9호, pp.5525-5533, 2014.
  32. 송유미, 이선자,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스트 레스와 우울 간 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의 조절효과," 한국노년학, 제31권, 제3호, pp.795-811, 2011.
  33. 김정유, 최유석, "사회적 지지가 중소도시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제15권, 제4호, pp.208-219,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4.208
  34. Jerome A. Yesavage, T. L. Brink, Terence L. Rose, Owen Lum, Virginia Huang, Michael Adey, and Von Otto Leire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ger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Vol.17, No.1, pp.37-49, 1983. https://doi.org/10.1016/0022-3956(82)90033-4
  35. M. Rosenberg,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New york,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36. 임성숙, 노인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및 생활 만족도와의 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7. G. D. Zimet, N. W. Dahlem, S. G. Zimet, and G. K. Farley, "The multidement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52, pp.30-41, 1988.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38. 장연식, 모선희, "독거노인의 우울, 죽음불안, 사회적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37권, 제3호, pp.527-547, 2017.
  39.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1, No.6, pp.1173-118, 1986.
  40. 이은령, 강지혁, 정재필, "노인 우울에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290-30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