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quiring the Possibility of Critical Pedagogy as Discourse for 'Zeitgeist'

시대정신을 위한 교육 담론으로서 비판교육학의 가능성 탐구

  • Received : 2019.04.01
  • Accepted : 2019.05.20
  • Published : 2019.06.28

Abstract

Korean society is now in the 2017 system. The zeitgeist is now hoping to move into a society where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centered on democracy, human rights, and peace is recognized, and to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aradigm shifts in the education arena began before the start of this socio-political system. The educational autonomy centered on the progressive education superintendent is accelerating the influx of alternative education, which is part of the civic education movement, through public school reforms. It can be seen that not only the progressive camp but also the conservative government emphasized educational policies such as the liberal semester system, which was gradually adopted by the government. For education that is appropriate for a rapidly changing society, it is necessary to discuss about educational grand-discourse that can alternate current public education. Although it does not mean only one discourse, it is a necessary process to systematically consider alternate education of public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future educ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discourse that can produce critical consciousness and creativity that emphasize the praxis and practice through critical pedagogy and bricolage.

한국 사회는 2017년 체제를 맞이하고 있다. 시대정신은 이제 민주주의, 인권, 평화를 중심으로 하는 행복추구권이 인정되는 사회로 그리고 4차 산업혁명 시대로 나아가길 희망하고 있다. 교육 영역에서 패러다임의 이동이 이러한 사회 정치적 체제의 시작 이전부터 시작되었다. 진보 성향의 교육감이 중심이 된 교육 자치는 시민 교육 운동의 일환인 대안 교육이 공교육에 학교 혁신 등을 통한 유입이 가속되고 있다. 진보 진영 뿐 아니라 '이명박근혜' 정부에서도 조금씩 이를 받아들인 자유학기제 등과 같은 교육 정책을 강조했다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급변하는 사회에 적합한 교육을 위해서는 현 공교육을 대안 할 수 있는 교육적 거대 담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본 논의 교육의 전환의 시대라고 할 수 있는 현시점에서 시대정신에 타당한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목적으로 갖고 진행되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1) 어떤 이론적 담론이 시대정신을 포함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지? 2) 제안하고 있는 이론적 담론에 기초한 실천적 방향으로 어떤 담론이 있는지? 이에 대한 답변을 위해 관련 문헌들을 해석적으로 분석하여 활용하였다. 본 논의는 시대정신을 반영할 수 있는 것으로 비판교육학과 브리콜라주라는 실천 또는 실행을 강조하는 비판적 의식과 창의성을 생산할 수 있는 담론을 소개하고 그의 실천적 방향을 함께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노자, 전환의 시대, 한겨례출판사, 2018.
  2. 손호철, 촛불혁명과 2017년 체제: 박정희, 87년, 97년 체제를 넘어서, 서강대학교출판부, 2017.
  3. K. Schwab, The Fouth Industrial Revolution, 2016, 송경진 옮김,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 현재, 2016.
  4. 류태호, 4차 산업혁명 교육이 희망이다,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5. 손화철, 이광식, 이정모, 이정엽, 임태훈, 장은수, 한기호, 4차 산업혁명이라는 거짓말, 북바이북, 2017.
  6. https://en.wikipedia.org/wiki/Industry_4.0
  7. 류태호, 성적 없는 성적표,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8.
  8. 김은진, "4차 산업혁명 시대 사범대학 예비교사의 교육패러다임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9호, pp.248-259,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9.248
  9. 최광만, 조선시대 교육사 탐구,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10. 尹健次, 朝鮮近代教育の思想と運動, 1982, 이명실, 심성보 옮김, 다시 읽는 조선근대교육의 사상과 운동, 살림터, 2016.
  11. 정진화, 교사, 학교를 바꾸다, 살림터, 2017.
  12. 송순재, 손동빈, 강민정, 윤우현, 이부영, 김정안, 이상우, 손유미, 백화현, 구민정, 이주영, 최미숙, 김세희, 엄미경, 혁신학교, 한국 교육의 미래를 열다, 살림터, 2017.
  13. 박근영, "전국 시.도별 혁신학교 지정 및 운영 수의 변화 추이," 교육정책포럼, 제297호, 통권, pp.37-39, 2018.
  14. 허창수, "비판교육학에 의한 세계시민교육의 이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9호, pp.225-234,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225
  15. https://en.wikipedia.org/wiki/Pedagogy
  16. 한낱, 최형규, 조영선, 정용주, 임동헌, 이형빈, 이혁규, 이정희, 이수광, 오혜원, 오동석, 배경내, 박복선, 공현, 가장 인권적인 가장 교육적인, 교육공동체벗, 2012.
  17. https://en.wikipedia.org/wiki/Education
  18. P. Freire, Pedagogy of the Oppressed, The Continuum Publishing Company, 1970.
  19. J. L. Kincheloe, "Critical Pedagogy in the Twenty-First Century: Evolution for Survival," M. Nikolakaki (Ed.), Critical Pedagogy in the New Dark Ages: Challenges and possibilities, pp.147-183, Peter Lang Publishing, 2012.
  20. P. McLaren, "Critical Pedagogy: A Look the Major Concepts," A. Darder, M.P. Baltodano, & R.D. Torres(Eds, 2nd Ed.), The Critical Pedagogy Reader, pp.61-83, Routledge, 2009.
  21. J. L. Kincheloe, P. McLaren, and S. Steinberg, "Critical Pedagogy and Qualitative Research," N. Denzin and Y. Lincoln (Eds. 4th Ed.), The Sage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163-177, SAGE Publications, 2011.
  22. S. W. Cho, Critical Pedagogy Social Change, 2013, 심성보. 조시화 옮김, 비판적 페다고지는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 살림터, 2014.
  23. P. McLaren, Che Guevara, Paulo Freire, and The Pedagogy of Revolution, 1999, 강주헌 옮김, 체 게바라, 파울로 프레이리, 혁명의 교육학, 아침이슬, 2008.
  24. C. Levi-Strauss, La Pensee Savage, 1966, 안정남 옮김, 야생의 사고, (주)도서출판 한길사, 2011.
  25. N. Denzin and Y. Lincoln, "Introduction: The Discipline and Practice of Qualitative Research," N. Denzin and Y. Lincoln (Eds), The Sage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s, pp.1-28, 2000.
  26. 허창수, "브리콜라주로서 질적 연구의 이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2호, pp.278-287,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2.278
  27. J. L. Kincheloe, "Describing the Bricolage: Conceptualizing a New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Qualitative Inquiry, Vol.7, No.6, pp.679-692, 2001. https://doi.org/10.1177/107780040100700601
  28. J. L. Kincheloe, "On to the Next Level: Continuing the Conceptualization on the Bricolage," Qualitative Inquiry, Vol.11, No.3, pp.323-350, 2005. https://doi.org/10.1177/1077800405275056
  29. J. L. Kincheloe, P. McLaren, and S. Steinberg, "Critical Pedagogy and Qualitative Research," N. Denzin and Y. Lincoln (Eds. 4Th Ed.), The Sage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s, pp.163-177, 2011.
  30. H. Giroux, Teachers as Intellectuals, Bergin & Garvey, 1988, 이경숙 옮김, 교사는 지성인이다 , 아침이슬, 2001.
  31. A. Gramsci, Selections from the Prison Books, Lawrence and Wishart, 1982.
  32. K. Crehan, Gramsci's Common Sense: Inequality and Its Narratives, Duke University Press, 2016.
  33. A. R. Janmohamed, "Some Implications of Paulo's Freire's Border Pedagogy," Giroux, H. & McLaren, P. (Eds). Between Borders: Pedagogy and the Politics of Cultural Studies, pp.242-252, Routledge, 1994.
  34. H. A. Giroux, "Paulo Freire and the politics of postcolonialism," Journal of Advanced Composition, Vol.12 No.1, pp.15-26, 1992.
  35. E. W. Said, The World the Text and the Critic, Harvard University Press, 1983.
  36. 허창수, "Wee스쿨 교사 체험을 통해서 본 경계지성의 실존적 가능성 탐구," 교육인류학연구, 제21권, 제2호, pp.1-31, 2018.
  37. 유양석, "4차 산업혁명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과 준비 여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3호, pp.566-575,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3.566
  38. 진성희, "4차 산업혁명 관련 융합기술교육에 대한 사례조사 및 산업체 수요조사: 전자, 소프트웨어, 자동차중심의 융합교육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2호, pp.36-48,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2.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