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일반적으로 전문대학 졸업자들은 현장적응능력이 우수한 반면에 시간이 지날수록 기술변화에 따른 유연성 부족과 관리능력 부족으로 계속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Kim, 2001). 이러한 이유로 전문대학 졸업자들은 4년제 대학 편입 등의 방법으로 계속교육을 받아왔으나, 현실적으로 위와 같은 교육은 전공이나 직무와의 연계성이 부족하거나 만족할만한 교육효과를 얻기에는 부족하기에 전공심화 과정이 개설되었다(Lee et al, 1998).
전공심화과정은 실무중심의 학사학위 과정으로, 전문대학 졸업자에게 전공분야의 계속교육을 통한 학사학위 취득의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학교와 산업체의 연계를 강화하고, 심화된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자 만들어진 제도이다. 또한 학교와 일터의 순환교육체제를 구축하여 산학일체형, 미래지향적인 선진국형 평생교육의 체제를 구축하고자 설치되었다(Yang et al, 2008).
전공심화과정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은 주로 성인학습자들이다. 성인학습자들은 주로 정규 학생들보다 높은 연령층이고, 직업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직장과 과정에서의 책임을 유지하면서 학교에서 수업을 받게 된다(Seok & Na, 2010). 전공심화과정 학습참여자들은 일반 학습자들과는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데, Yang et al.(2008)과 Gwon(2009)의 연구에 따르면 전공심화과정의 학습자는 전문대학 출신의 학습자가 대부분이며, 대개 학업과 직장 일을 병행하고 있었다. 또한 교육만족도에 따라서 학습참여를 지속할 지 결정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성인학습자들은 본인이 학습하고 있는 분야를 왜 배워야 하는지 명확히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가 이루어지면 자발적으로 학습 참여를 추구한다. 또한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준비가 되어 있는 학습자들은 학습참여가 높아질 수 있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자기 주도적이고 자발적인 특성을 가진 성인 학습자들은 다양한 학습을 통해서 학습의 참여를 추구한다(Yu, 2011).
학습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습자의 연령이나 성별, 직업 및 수입과 같은 인구학적 특성 외에 개인적 학습 환경도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또한 교육비 부담, 시간 부담, 가족 및 직장 동료와 상사 등의 지원 정도도 학습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Darkenwald & Merriam, 1981; Bean & Metzner, 1985; Harvey, 1995).
Houle(1961)의 연구에 따르면 참여 동기도 학습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 중의 하나이다. 동기란 행동을 취하게 하는 준비 태세로서, 학습 참여자들이 목표에 도달할 수 있게 하는 에너지원이다. 성인 학습자들의 경우 사회에서의 경험 축적을 통해 다양한 특성을 지닌 사람들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이들의 참여 동기는 매우 복잡하다고 볼 수 있다(Byun, 2009).
Lee(2003)는 교육기관의 특성이 학습자의 학습참여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학습 환경이 학습자들의 학습참여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하였다. 특히, 전공심화 학습자들은 직장 일을 병행하면서 교육을 받고 있는 만큼, 교육 기관의 접근성이나 수업시간 및 실무중심교육과정 등의 교육기관에 대한 기대 정도가 학습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Yu, 2011).
교육만족도란 교육의 질과 서비스에 대한 학생들의 주관적 반응이다. 학생들은 학교교육이 자신의 기대에 미치지 못 할 경우 불만을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불만이 지속 될 경우 자퇴나 편입 및 휴학 등을 하게 된다(Choi & Kang, 2008). 때문에 교육 만족도도 학습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현재까지 전공심화 학습자의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치위생과(Yu, 2011)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고, 치기공학과 전공심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학습 참여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 지지 않았기 때문에 학습참여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 째, 치기공학과 전공심화 학습자들의 참여동기를 파악한다.
둘 째, 치기공학과 전공심화 학습자들의 교육기관 기대를 파악한다.
셋 째, 치기공학과 전공심화 학습자들의 교육만족도를 파악한다.
넷 째, 치기공학과 전공심화 학습자들의 학습참여를 파악한다.
다섯 째, 치기공학과 전공심화 학습자들의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및 만족도와 학습참여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8년 12월 4일부터 2019월 3월 12일까지 전국에 치기공학과 전공심화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4개 대학교의 재학생 100명을 편의 표본 추출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불응답 및 불성실한 설문지 19부를 제외한 81명을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2. 연구도구
본 연구는 전공심화 과정을 듣는 치기공학과 재학생의 학습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및 교육만족도에 관하여 Yu(2011)의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참고하여 수정 및 보완하였다.
연구 모형은 다음과 같다. 종속변인으로는 학습참여도가 있고, 독립변인으로는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교육만족도가 있다.
참여 동기에 관한 설문 문항은 성인학습자의 참여 동기를 활동지향형, 학습지향형으로 범주화한 Houle(1961)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였다. 참여 동기의 하위문항으로는 활동지향 8문항, 학습지향 6문항으로 총 2개의 하위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부터 ‘매우 그렇다’의 5점까지로, 점수가 높을수록 참여 동기 지수가 높음을 의미한다. 참여 동기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Alpha 값은 활동지향이 0.86, 학습지향은 0.70으로 나타났다.
교육기관 기대를 측정하기 위해 Lee(2003)와 Kim(2004)의 측정도구를 참고하였다.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교육기관에 대한 기대가 높음을 의미한다. 설문지는 학교환경 6문항, 행정지원 3문항으로 총 2개의 하위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교육기관 기대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Alpha값은 학교환경이 0.80, 행정지원은 0.86으로 나타났다.
교육만족도는 Park(2001)의 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였다.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교육 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설문지는 교수요인 3문항, 교육내용 10문항, 교육환경 5문항, 효과요인 6문항으로 총 4개의 하위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교육기관 기대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Alpha 값은 교수요인이 0.83, 교육내용이 0.95, 교육환경이 0.89, 효과요인은 0.95로 나타났다.
학습참여도는 Yu(2011)의 연구를 참고하였다.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학습참여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설문지는 수업요인 5문항, 수업참여 2문항, 수업준비 4문항으로 총 3개의 하위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교육기관 기대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Alpha 값은 수업요인이 0.83, 수업참여가 0.75, 수업준비는 0.71로 나타났다.
설문지의 구성 내용은 학교, 성별, 연령, 근무지, 경력, 전공 일치도에 관한 일반적 특성 6문항과 참여 동기 14문항, 교육기관 기대 9문항, 학습 참여도 11문항, 교육만족도 24문항으로 총 6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연구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2.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 처리를 위해 사용한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자료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 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 교육기관 기대 및 만족도와 학습 참여도는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참여동기, 교육기관 기대 및 만족도와 학습 참여도와의 연관성을 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를 실시하였고, 참여동기, 교육기관 기대 및 만족도가 학습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은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결과
1. 일반적 특성
연구에 참여한 치기공학과 전공심화과정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분석 결과는 (Tabel 1)과 같다. 성별은 여자가 남자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25 ∼27세, 22∼24세, 28세 이상의 순으로 나타났다. 근무지는 기타가 64.2%로 과반 수 이상이 근무지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치과기공소가 30.9%로 높게 나타났다. 경력은 2년 미만인 학습자가 82.7%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2년 이상은 17.3%로 나타났다. 전문학사와의 전공일치도는 91.4%가 전공이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2.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및 만족도와 학습참여도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및 만족도와 학습참여도에 관한 분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참여 동기는 ‘학습 지향’, ‘활동 지향’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기관 기재는 ‘행정지원’, ‘학교 환경’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만족도는 ‘교수요인’이 가장 높았고, ‘효과 요인’, ‘교육 환경’, ‘교육 내용’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습 참여는 ‘수업 참여’, ‘수업 요인’, ‘수업 준비’의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2. Participation Motivation, Educational institution expectation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n Learning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및 만족도와 학습참여도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및 만족도와 학습참여도는 연령과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및 만족도와 학습참여도에 관한 분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연령에 따라서 ‘학습 지향’, ‘행정지원’, ‘교육 환경’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able 3. Participation Motivation, Educational institution expectation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n Learning according to Age
* p<.05
경력에 따른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및 만족도와 학습참여도에 관한 분석 결과는 (Table 4)과 같다. 경력에 따라서 ‘활동 지향’, ‘학습 지향’, ‘학교 환경’, ‘행정지원’, ‘교육 환경’, ‘수업 요인’ 및 ‘수업 지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able 4. Participation Motivation, Educational institution expectation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n Learning according to Career
* p<.05
4.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및 만족도와 학습참 여도의 상관관계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및 만족도와 학습참여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5). 전반적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형성하고 있고, 유의한 차이를 보인 값은 다중공선성의 기준인 .80보다 작으므로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able 5.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Job Seeking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5.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및 만족도가 학습참 여도에 미치는 영향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및 만족도가 학습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참여도 중에서 ‘참여요인’에 미치는 영향은 49.5%로, ‘수업준비’에 미치는 영향은 51.5%로 나타났다.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및 만족도가 ‘참여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Table 6), 교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참여요인이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Table 6. The participation in classes affect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Educational institution expectations, Educational Satisfaction
R² = 49.5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및 만족도가 ‘수업 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Table 7), 활동을 위해 참여한 학습자들과, 학교 환경에 대한 기대가 높고, 교육 내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수업 준비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반면에 학교의 지원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수업 준비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Table 7. The preparation for classes affect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Educational institution expectations, Educational Satisfaction
R² = 51.5
Ⅳ. 고찰
전문대학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고등직업교육기관으로, 현장 실무형 인재양성이 교육목표이다. 최근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가치창출의 원천이 정보와 지식으로 변화하면서, 전문대학은 기존의 노동집약적인 인재 양성에서 창의성과 독창성을 갖춘 인력을 양성해야 하는 역할과 비중이 증가하였다(Na et al, 2001). 특히 평생학습 패러다임의 도래와 더불어 전문대학은 전공의 계열성을 유지하면서 실무능력을 향상하고, 직장생활과 학업이 병행 가능한 전공심화 과정을 개설하였다(Jeong, 2008).
4차 산업 혁명과 더불어 치과기공 산업에도 디지털 기술 및 3D printing 기술 등이 접목되면서 전공심화 과정을 개설한 치기공학과들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치기 공학과 전공심화 학습자들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치기공학과 전공심화 학습자들의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및 만족도가 학습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서 알아보았다.
치기공학과 전공심화과정 학습자들의 참여 동기는 주로 학습을 지향하는데 있었다. 설문 문항 중에서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서 참여했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전문학사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생각되어서, 새로운 경험을 위해서, 사회적 인정을 받고 싶어서 라는 응답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점은행제를 선택한 동기가 학위 취득이 가장 높은 것이라는 Beak(2005)의 연구와도 일치한다. 이를 통해 치기공학과 전공심화 학습자들의 일차적 목표는 학위취득지만, 부수적으로는 고등교육 영역의 참여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기슬을 습득하여 사회적 인정을 받으려는 내재적 동기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육기관 기대에 관해서는 학교의 최신식 교육시설이 가장 중요하다고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경제적 등록금 및 실무중심의 교육과정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교육만족도에 있어서는 교수가 학습자의 질문이나 의견표현에 관심을 기울이고 적절히 답했을 경우, 교수가 열정적인 강의를 하고, 전문성이 우수할 경우 교육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치위생학 및 호텔조리학과 전공심화 학습자 및 피부미용과 헤어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Kim 2011; Yu, 2011; Kim, 2018). 이를 통해 치기공학과 전공심화 학습자들은 수업의 질을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업의 질은 교수, 학습자, 교재 및 교육 시설 환경에 좌우된다. 특히 교수는 수업활동에서 주체적인 역할은 맡은 동시에 수업의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것을 관장하고 있기 때문에, 수업의 질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는 교수 능력이라고 하였다(Won, 2002).
연령은 20대 중반 학습자들이 후반이나 초반 학습자들보다 교육기관의 교육시설이나 행정적 지원에 대한 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은 2년 이상의 경력이 있는 학습자들이 2년 미만 경력의 학습자들보다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및 학습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치위생학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Yu(2011)의 연구와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전공 및 직업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통해 2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학습자들이 2년 미만 경력의 학습자보다 학사 학위 취득뿐만 아니라 전공에 대한 심화교육에 더 의욕적이고 주체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전공심화 교육이 경력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무 중심형 교육에 비중을 둔다면 학습자의 학습 참여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교육 만족도 중에서는 교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습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만족도가 높으면 학습참여 성과영역 또한 높아진다는 Choi(2010)의 연구와 교수자 및 교수학습내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수업참여도가 높아진다는 사이버강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도 일치한다(Lee, 2006). Kaye(1990)에 의하면, 교수는 학습자들에게 지식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이 학습 과정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을 해결해주고, 문제해결에 함께 참여하여, 학습 과정을 적절히 조정해주는 코치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의미 있는 교육이란, 교수가 학습자에게 일방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것 보다는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때 이루어진다고 하였다(Shin, 2002). 따라서 학습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전문성을 갖춘 교수 및 산업체 교수를 확보하고, 교수와 학생 간에 상호작용이 적절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학습 참여도 중, 수업 준비도는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및 만족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선행연구와도 일치한다(Yu, 2011). 특히 실무중심의 교육과정과 학교 접근성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수업 준비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교육기관의 환경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이 학습 참여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교육내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수업 준비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치기공학과 전공심화 학습자들이 실무 중심형 교육과 그 교육 내용의 질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전국에 치기공학과 전공심화 과정을 듣는 학습자들이 많지 않은 관계로 표본을 편의 표본 추출했다는 데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치기공학과 전공심화정의 향후 발전방향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결과 전공심화과정 학습자의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및 만족도가 학습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치기공학과 전공심화 과정 학생들의 학습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좀 더 구체적인 참여 동기를 파악하여 이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특히 수업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교수자 임용 및 교수 교육 프로그램 및 관련 지원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론
전국에 치기공학과 전공심화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4개 대학교의 재학생 81명을 대상으로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및 만족도가 학습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2년 이상의 경력이 있는 학습자들과 2년 미만 경력의 학습자들 간에 참여 동기, 교육기관 기대 및 학습 참여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둘 째, 교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습 참여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셋 째, 참여 동기 및 교육기관 기대와 만족도가 높을수록 수업 준비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러므로 치기공학과 전공심화 학습자들의 학습 참여를 높이고자 한다면 수업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Beak US. Study on actual condition of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of academic credit bank system.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5.
- Bean JP & Metzner BS. Aconceptual models of nontraditional undergraduate student attrition. Revies of Educational Research, 55(4), 485-540, 1985. https://doi.org/10.3102/00346543055004485
- Byun ZS. Structural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outcomes in ceramic education programs at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es.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of Education Chung-Buk,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9.
- Choi GY.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time education satisfac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adult learners.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10.
- Choi MS & Kang JH. Qualitative study about experience of students' dropping ou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5(7), 203-225, 2008.
- Darkenwald GG & Merriam SB. Adult education: Foundation of practice. New York: Harper & Row, 1981.
- Gwon CU. How to activate the degree program in bachelor degree major. Korean Higher Voc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8, 87-129, 2009.
- Harvey C. The inquiring mind: A study of the adult who continues to learn.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95.
- Houle CD. The inquiring mind: A study of the adult who continues to learn.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1.
- Jeong JJ. Moderating effect of employee turnover r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vestment on HRD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 case of manufacturing industry in the republic of korea.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Competency, 11(2), 193-214, 2008.
- Kaye AR. Computer conferencing and mass distance education. Mitton Keynes: Institution of Instructional Technology, CITE report NO.98, 1990.
- Kim AR. A study on learning outcome perceived by adult learners in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institutions.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10(2), 129-165, 2004.
- Kim CW. A subjectivity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intensive major course in bachelor degree major college. stud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9), 648-660,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9.648
- Kim EH. A study of skin and hair care department graduates' satisfaction with their jobs and processes of beauty care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eokyeong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11.
- Kim HD, Completion of vocational education system centering on junior colleges. Korean Higher Voc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21(4), 2001.
- Lee CG. Soo UY, Ahn HG, Lim GS, Cha SR, Ha JH and et al A study on the establish and management of advanced course of architectural design in college.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College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1998.
- Lee JY.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learner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in online course.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9(4), 27-61, 2006.
- Lee SW. An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adult learners' persistence in university attach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e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3.
- Na SI, Ahn KH, Shin YH, Baek JH,Kim BH, Kim JS.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s Relevant to the Junior College Education.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1.
- Park MG. A study on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social education programs of community welfare center. The Graduate School Seongkyunkwan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1.
- Seok YM.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enrollment valence,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ttribution for academic success and failure of learners in bachelor's degree courses at junior colleges.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10.
- Seok YM, Na SI,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enrollment valence, self-efficacy, goal orientation, attribution for academic success and failure of learners in bachelor's degree course at junior college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42(4), 125-147, 2010. https://doi.org/10.23840/agehrd.2010.42.4.125
- Shin HS. Improving the web bulletin board system to enhance participation of instructors and learners. Hanyang University, Unpublished mater's thesis, 2002.
- Yang HJ, Han JS, Yoon SM, Hwang GM.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operation of deepening course in bachelor degree.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College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8.
- Yu JS. A study of the effects of motive,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upon the participation level of the students of the advanced course for bachelor of dental hygiene. Graduate School of Hannam University, Unpublished docter's thesis, 2011.
- Won HH. Techer's self-assesment ot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activity.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19(3), 147-168,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