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reatment Effect with Weekly Teriparatide in the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in Patients with Severe Osteoporosis

심한 골다공증 환자에서 발생한 척추체 압박골절에 대한 주 단위 테리파라타이드(Teriparatide)의 투여 효과

  • Received : 2018.07.26
  • Accepted : 2018.11.06
  • Published : 2019.12.30

Abstract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weekly teriparatide on the change in vertebral compression ratio, back pain, and vertebral fracture healing in osteoporosis patients with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d induced by low energy trauma.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17, 57 patients with severe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with a T score of -3.5 or les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the vertebral compression ratio, visual analogue scale (VAS),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for at least 6 months were examined. The morphology of bone marrow edema and the presence of intervertebral cleft, osteocalcin, and N-terminal telopeptide (NTx) were also investigated. Results: The mean compression ratio was 20% in the experimental group (teripratide group) at 3 months, and 38% in the control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ression ratio of the vertebral body over time was observed (p<0.05; t-test). A comparison of the compression ratio of the vertebral body with the follow-up duration in each group showed no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ompression (p=0.063)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ontrol group (p<0.05). The mean time to reach the plateau of the compression rate was one month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ree months in the control group. The VAS score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as 0.39 and 1.07 points, respectively. The ODI score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as 33.72 and 39.52, respectively. At the last follow-up radiographs, there were no cases with an intervertebral cleft (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 case (2.2%) in the control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steocalcin level was observed between the injury and 6 months after the injury (p=0.003).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Tx level between the injury and 6 months after injury (p=0.960). Conclusion: In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patients with severe osteoporosis, a weekly teriparatide can promote the union of fractures, prevent further collapse of the vertebral body, and reduce the back pain faster.

목적: 저에너지 손상에 인한 척추체 압박골절이 발생한 골다공증 환자들에서 척추체 압박률의 변화, 요추부 동통 및 척추체 골절 치유에 테리파라타이드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골밀도 검사상 T 점수가 -3.5 이하인 심한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골절 환자 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소 6개월간 척추체 압박률의 변화, 시각통증지수(visual analogue scale, VAS) 및 Oswestry disability index(ODI)를 조사하였고 수상 후 자기공명영상에서 손상된 척추체의 골수 부종의 형태, 최종 추시 방사선 사진에서 추체내열의 유무, osteocalcin, N-terminal telopeptide (NTx) 등 골 형성 표지자의 변화 및 실험군 및 대조군에서 인구통계적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과: 실험군(테리파라타이드군)에서 3개월 후 평균 압박률은 20%, 대조군에서 38%였고 시간에 따른 척추체 압박률 변화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t-test). 각 군 내에서 추시 기간에 따른 척추체 압박률의 변화 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실험군에서는 척추체 압박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으며(p=0.063), 대조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척추체의 평균 압박률이 변화하지 않는 평형기에 도달하는 시기는 실험군에서 1개월, 대조군에서 3개월이었다. 실험군에서 VAS가 0.39점, 대조군에서 1.07점으로 실험군에서 VAS의 호전 정도가 우수하였다. 실험군에서 ODI가 33.72점, 대조군에서 39.52점으로 실험군에서 ODI가 우수하였다. 최종 추시 방사선 사진에서 추체내열이 있는 증례가 실험군에서는 없었고(0%), 대조군에서는 1명이었다(2.2%). 실험군에서 osteocalcin 평균은 수상 직후 17.15 ng/ml, 6개월 후 24.20 ng/ml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3), NTx 평균은 수상직후 49.54 nMBCE/mMCr, 6개월 후 49.98 nMBCE/mMCr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960). 결론: 심한 골다공증 환자에서 발생한 척추체 압박골절의 치료 약제로서 주 단위 테리파라타이드는 골절의 유합을 촉진하여 척추체 붕괴를 방지하며 요추부 동통을 더 빠르게 경감시킨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