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mart Region Strategy in Yellow Sea Rim

환황해권 스마트리전 구축방안 연구

  • 임동성 (중국 심양건축대학 시정환경공정학원) ;
  • 김준봉 (중국 심양건축대학 시정환경공정학원) ;
  • 임윤택 (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19.08.28
  • Accepted : 2019.09.13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Smart cities are expanding their spatial scope to urban areas and regions. Linking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strategies beyond the borders with smart city planning can lead to cooper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between regions and countries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cooperation and regional development of the three nations - Korea, North Korea and China - through the Yellow Sea Rim Smart Region. To this end, smart city strategies and economic development plan with implementation status in the three countries including special economic zones have analyzed that could be the spatial basis of the smart region. On the west coast of Korea facing the Yellow Sea, lots of projects related to smart cities are actively underway in Saemangeum, Yellow Sea Free Economic Zone(YESFEZ), and Incheon Free Economic Zone(IFEZ). Although the political situation is still uncertain, North Korea is analyzed to have economic and technical potential in the west coast connecting Haeju, Nampo, and Sinuiju. In Liaoning and Shandong provinces of China, smart city projects have been actively promoted in recent years especially in the state-supporting industrial cities. Restoration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linkage of transportation networks, vitalization of cross-border cooperation projects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centered on Dandong and Sinuiju, and the connecting of smart city infrastructure and services for China and South Korea's economic cooperation process will make the Yellow Sea Rim as a world prosperous economic reg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operate a governance system through long-term planning for transnational consultation and establishment of a promotion organization.

스마트도시는 공간적 범위를 도시권 및 지역 단위로 확장해 가고 있다. 최근 추진되고 있는 국경을 초월한 지역경제권 발전전략과 스마트도시 계획을 연계하면 국가 간 협력과 경제적 발전방안을 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북한-중국을 잇는 환황해권 스마트리전을 통해 한국-북한-중국 3국의 협력 및 지역적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금까지 한국과 중국의 스마트도시 전략과 함께 스마트리전의 공간적 기반이 될 수 있는 3국의 대규모 경제특구 개발계획과 추진현황을 분석하였다. 황해에 접하고 있는 한국의 서해안에는 새만금, 황해경제자유구역, 인천경제자유구역 등에서 스마트도시 관련 계획 및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북한은 아직 정치적인 상황이 불확실하지만 해주와 남포, 신의주를 연결하는 서해안 지역에 경제적, 기술적 잠재력이 확보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국의 요녕성과 산동성의 경우, 산업이 발달한 대도시들을 중심으로 스마트도시 사업과 이들을 연계한 경제벨트화 전략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의 경제적 협력의 복원 및 교통망의 연계, 단동과 신의주를 중심으로 한 중국과 북한의 초국경 협력사업의 활성화 그리고 중국과 한국의 경제협력 과정에 스마트도시 인프라와 서비스가 적절히 제공된다면 황해를 중심으로 국경을 초월한 지역적 발전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이를 위하여 장기적인 계획과 초국가적 협의 및 추진기구의 설립을 통한 거버넌스 체계 구축 및 운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교통부, 2019, 제3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2019-2023).
  2. 김미숙.최대식.김두환, 2016, 중국과 베트남 경제특구와 비교를 통한 북한 경제특구 평가, LHI Journal, 7(4), pp.191-204.
  3. 김석철, 2005, 희망의 한반도 프로젝트, 파주: 창비.
  4. 김수한, 2010, 인천 對중국 교류현황 및 시사점, 충청중국포럼, 충남연구원.
  5. 김수한, 2019. 인천 對중국 교류현황 및 시사점, 제38회 충청포럼발표자료, 충남연구원.
  6. 김천규 외, 2013, 압록강유역에서의 남.북.중 초국경협력을 위한 실천전략연구, 연구보고서, 안양: 국토연구원.
  7. 김천규, 2014, 압록강유역의 남-북-중 초국경협력 실천전략, Policy Brief, No. 452, 국토연구원.
  8. 김한준, 2018, Smart Region, Smart Growth-스마트 시대의 지속가능 지역개발, 한국지역학회 2016년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
  9. 김효진, 2018, 김정은 시대의 대규모 건설개발 동향과 향후 과제, KDB북한개발 17(4).
  10. 노수연, 2019, 메가시티시대를 준비하는 광둥성의 경제현황. 한중Zine InChinaBrief, Vol 369, 인천연구원.
  1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북경사무소, 2019, 중국도시화발전 40주년의 성과 및 전망, KIEP 북경사무소 브리핑, 20(5).
  12.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편, 2009, 국토.지역계획론, 3판, 서울: 보성각.
  13. 문형남, 2019, 북한 ICT기술수준 평가와 남북 4차산업혁명 협력유망지역 선정 및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특별세션 발표자료.
  14. 민경태, 2018, 서울 평양 스마트시티,서울: 미래의 창.
  15. 박용정, 2017, 한중일 스마트시티 추진 현황과 시사점, 현안과 과제, 17-26호, 현대경제연구원.
  16. 사진환, 2018, 북한 스마트시티관련 기술 동향과 전망, 주간KDB레포트 2019.6.10, pp.7-8.
  17. 새만금개발청, 2016, 새만금산업연구용지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도시서비스 적용방안 연구.
  18. 이부형.박용정, 2017, 한중일 스마트시티 추진현황과 시사점, 현안과 과제, Vol.17-26, 현대경제연구원.
  19. 이상준, 2015, 통일시대를 향한 북한주요도시 발전 방향, Policy Brief, No. 526, 국토연구원.
  20. 이상준.김천규.박세훈.신혜원, 2011, 통일한반도시대에 대비한 북한 주요거점의 개발잠재력과 정책과제(I), 안양: 국토연구원.
  21. 이상호, 2019, 스마트시티의 현재와 앞으로 가야 할 길, 강양구 외 엮음, 한국의 논점 2019, 서울: 북바이북, pp.296-307.
  22. 이상호.임윤택, 2014, 유시티와 스마트시티 비교를 통한 유시티 해외진출전략, 국토계획, 49(4), pp.243-252.
  23. 이상호.임윤택.안세윤, 2016, 스마트시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4. 이수행.문현미, 2008, 환황해 경제권의 거점화 전략과 경기도의 대응방안, 수원: 경기개발연구원.
  25. 이승욱, 2016, 김정은시대 북한의 경제특구 전략: 영역화, 분권화, 그리고 중국식 개혁개방,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1), pp.121-141.
  26. 이용화, 2018, 제3차 남북정상회담의 의의와 추진방향, 이슈리포트, 2018-10, 현대경제연구원.
  27. 이정훈.한지혜, 2018, 남북협력시대의 경기북부전략: 트윈시티로 개발해야, 이슈&진단, No. 333, 경기연구원.
  28. 임윤택, 2018,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지역정책: 스마트시티에서 스마트지역으로, 한국지역학회 편, 지역.도시정책의 이해, 서울: 홍문사.
  29. 임윤택, 2019, 일본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의 기술적, 정책적 특성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지, 19(3), pp.5-13.
  30. 정보통신부, 2006, u-KOREA 기본계획.
  31. 조현숙.장선미, 2010, 새만금-군산경제자유구역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연구-서해권 경제자유구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은행 전북본부.
  32. 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 2014, 징진지(京津冀)광역권 발전 방안과 시사점(내부자료).
  33. 황종성, 2015, 해외진출의 신시장, 스마트도시, 세계와 도시(World & Cities ), Vol. 9, pp.34-42.
  34. Chan, J. K and S. Anderson, 2015. Rethinking Smart Cities: ICT for New-type Urbanization and Public Participation at the City and Community Level in China, UNDP.
  35. Chen, X. and L. Chang, 2010, The Reluctant Powerful Participant: China On, In and Out of the Pan-Yellow Sea Rim, 2010, 지역발전 국제컨퍼런스 황해권 보고서, 지역발전위원회.국토해양부.지식경제부.
  36. Constitutional and Mainland Affairs Bureau of Hong Kong, 2019, Outline Development Plan for the Guangdong-Hong Kong-Macao Greater Bay Area.
  37. Dameri, R. P., 2013, Searching for Smart City definition: a comprehensive proposal,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s & Technology, 11(5), pp.2544-2551. https://doi.org/10.24297/ijct.v11i5.1142
  38. Deloitte China, 2018, Super Smart City, Happier Society with Higher Quality.
  39. Kodym, O. and J. Unucka, 2018, Smart Life in Smart Region, in Proceedings of MMS CONFERENCE 2017, November 22-24, Stary Smokovec, Slovakia.
  40. Research and Markets, 2019, China Smart Cities Market-Forecast to 2023, https://www.marketsandmarkets.com/PressRelease/china-smart-city.asp).
  41. Sutriadi, R., 2018, Defining smart city, smart region, smart village, and technopolis as an innovative concept in indonesia's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 themes to reach sustainability, IOP Conf. Series: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202 doi: 10.1088/1755-1315/202/1/012047.
  42. Yigitcanlar, T. et. al., 2018, Understanding 'Smart Cities': Intertwining development drivers with desired outcomes in a multidimensional framework, Cities, 81,pp. 145-160, https://doi.org/10.1016/j.cities.2018.04.003.
  43. Yu, W. and C. Xu, 2018. Developing Smart Cities in China: An Empirical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in the Digital Age, 5(3), pp.76-91. https://doi.org/10.4018/IJPADA.2018070106
  44. Zhou, C., 2017, Smart City Practices and Prospects in China, Chinese Academy of Science, Kunming Forum on United Nations Global Geo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Cities of the Future.
  45. 高维全, 2016, 大连智慧城市建设对策分析(대련스마트도시건설대책분석), 环渤海经济瞭望, 2016-4, pp.13-15.
  46. 曲岩.赵晔, 2016, 中国智慧城市建设潜力评价(중국스마트도시 건설 잠재력평가), 经济研究, 党政干部学刊 2016-2, pp.49-52.
  47. 金江军.张琳琳.姚大川, 2019, 中国智慧城市发展现状: 问题及对策 (중국 스마트도시 발전현상, 문제와 대책). 北京城市学院学报, 149, pp.10- 13.
  48. 邓邵华.何舒慧.王世福, 2017, 奥港澳智慧弯区发展策略研究(광동-홍콩-마카오 스마트만구 발전 전략연구), 城市建筑, 2019-9, pp.11-15.
  49. 万丽霞.张辉.邹辉.关于推进, 2015, 关于推进"智慧丹东"的思考与建议(스마트단동 추진관련 사고 및 건의), 区域经济, 2015-7, pp.96-98.
  50. 徐振强, 2017, 中国的智慧城市建设与智慧雄安的有效创新(중국의 스마트도시 건설과 스마트슝안의 창의성), 区域经济评论, 2017-4, pp.69-73.
  51. 杨会良.杨秀丹, 2018, 雄安新区"智慧城市"建设基本架构与路径(슝안신구 스마트도시 건설 기본 구조 및 경로), 河北大学学报(哲学社会科学版), 43(4), pp.57-61.
  52. 叶林.范紫琦.杨新辉, 2018, 我国智慧城市建设经验探索及推进策略(Experience Exploration and Promotion Strategy of Smart City Construction in Our Country), 电子科技大学学报(社科版), 20(5), pp.100-102.
  53. 李旎, 2019, 政府在智慧城市建设中的作用研究(스마트시티건설과정상 정부의 역할 연구), 现代商业, 2019-1, pp.179-180.
  54. 李郇.周金苗.黄耀福.黄玫瑜, 2018. 从巨型城市区域视角审视粤港澳大湾区空间结构(초광역메가시티의 시각으로 살펴본 광동-홍콩-마카오 대만구 공간구조), 地理科学进展, 37(12), pp.1609-1622. https://doi.org/10.18306/dlkxjz.2018.12.003
  55. 赵洪涛, 2017, 青岛智慧城市建设的现状,问题与对策(청도스마트도시 건설 현황, 문제점 및 대책), 青岛行政学院学报, 2017-4, pp.121-127.
  56. 许爱萍, 2018, 京津冀智慧城市群建设: 探求城市群高质量发展路径(징진지 스마트리전 건설:광역도시의 고급 발전경로 탐구), 开发研究, 2018-5, pp.122-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