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수택.정철규(2015). 신체활동 참여 노인들의 여가만족이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3(3). 145-156.
- 강은나.김혜진.김영선(2017). 도시지역 1인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수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2), 184-215.
- 강은나.이민홍(2016). 우리나라 세대별 1인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47-56.
- 권지혜.원형중.황선영(2017). 1인 가구의 여가 전념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여가학연구, 15(4), 51-68.
- 김난도.전미영.이향은.이준영.김서영.최지혜.서유현.이수진(2017). 트렌드 코리아 2018. 미래의 창.
- 김민주(2018). 취업 1인 가구의 생활시간사용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소영.선보영.전미영.남지민(2017). '가족친화 지역사회 조성' 정책 10년 평가와 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 김시월.윤정혜.조향숙.이정화(2012). 노인 단독가계의 사회적 참여 소비지출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23(4), 309-336.
- 김아린(2018). 1인가구 청년의 건강행태, 식습관 및 심리적 건강이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6(7), 493-509. https://doi.org/10.14400/JDC.2018.16.7.493
- 김연옥(2016). 1인 가구 시대의 도래: 특성과 생활실태. 한국가족복지학, (52), 139-166.
- 김영정.김연재(2016). 서울 1인가구 여성의 삶 연구: 6080 생활실태 및 정책지원방안.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1-228.
- 김정숙.김기헌.황세영(2015). 동북아 청소년정책 국제비교 연구.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김정운.박정열(2004). 주 40시간 근무제 실행 후 노동자의 생활양식 변화와 학습에 대한 태도 변화 연구.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2004년 정책기획과제.
- 김정운.박정열.손영미.장훈(2005). '일과 삶의 조화(Work-Life Balance)'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효과성. 여가학연구, 2(3), 29-48.
- 김창원(2015). 직장인들의 여가활동 참여에 따른 여가만족이 심리적 행복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구미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스포츠테크노 산업학과 석사학위논문.
- 김형균(2016).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생활변화와 전망] 증가하는 1인 가구 위한 통합 정책 대응 2017년 시민생활의 정책적 과제로 대두. 부산발전포럼, (162), 46-51.
- 김혜영(2007). 1인 가구의 비혼 사유와 가족의식.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1041-1057.
- 김혜영(2014). 유동하는 한국가족: 1인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5(2), 255-292. https://doi.org/10.22862/KJSR.2014.15.2.008
- 김혜정(2015). 비혼 여성 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여성학연구, 25(2), 7-40.
- 남은영.이재열.김민혜(2012). 행복감, 사회자본, 여가. 한국사회학, 46(5), 1-33.
- 노혜진(2018). 청년 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 보건사회연구, 38(2), 71-102. https://doi.org/10.15709/HSWR.2018.38.2.71
- 류승아.김경미.최인철(2011). 중년기 여가생활이 행복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7(4), 415-434.
- 문화체육관광부(2017). 2016년 국민여가활동조사.
- 민경선(2018). 워라밸 세대의 여가와 삶의 만족도. 한국웰니스학회지, 13(3), 377-388.
- 박미선(2017). 1인 청년가구 주거여건 개선을 위한 정책 지원 방안. 국토정책 Brief, (627), 1-8.
- 박정열.손영미(2014). 여성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 유형화: 전일제 여성 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2), 75-102.
- 박정열.전은선.손영미.신규리(2016). 일과 삶의 균형에 관한 국내 정책의 현황 및 시사점. 여가학연구, 14(4), 1-22.
- 서우석(2015). 청년층 1인가구원의 여가활동. 한국의 사회동향 2015 문화와 여가. 207-212.
- 손영미.박정열(2014). 남녀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변인과 결과변인의 차이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9(2), 161-190.
- 손영미.박정열.김가영(2006). 일과 삶의 균형정책의 도입에 관한 연구: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1-14.
- 송혜림.강은주.김민주(2018). 청년 1인가구의 생활시간 사용 연구-성별.취업여부에 따른 식사와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2), 45-63.
- 안수미.이기영(2012). 미혼취업자의 여가시간 및 영향요인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109-132.
- 양지명.정영금.윤소영(2017). 베이비부머 세대와 노인 세대의 여가활동 특성과 여가만족도 영향요인 비교: 두 세대의 경제활동 여부를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15, 1-20.
- 여성가족부(2006). 제 1차 건강가정기본계획, 여성가족부
- 여성가족부(2011). 제 2차 건강가정기본계획, 여성가족부
- 여성가족부(2016). 제 3차 건강가정기본계획, 여성가족부
- 오세숙.김종순.박정열(2014). 진지한 여가 참여자의 일과 삶의 균형.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8(2), 140-149.
- 우민희.이명진.최샛별(2015).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세대 다인가구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6(1), 201-231. https://doi.org/10.22862/KJSR.2015.16.1.007
- 윤소영(2010). 행복의 본질적 요소로서 여가경험에 대한 접근. 여가학연구, 8, 45-60.
- 윤소영.박두용(2014). 한국인의 여가행복지수 개발 및 적용. 여가학연구, 12, 149-173.
- 정영금.윤소영(2018). 1인가구의 세대별 여가행태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3), 1-15.
- 윤혜진.김영문.김은희(2016). 세대별 여가 인식, 활동 그리고 행복의 관계. 관광레저연구, 28(12), 353-370.
- 이국희.최인철(2018). 일하고 놀까? 놀고 일할까?: 행복, 관계 그리고 여가 우선 선택. 여가학연구, 16, 29-53.
- 이성은(2015). 비혼 여성의 생활세계 분석을 통한 새로운 가족형태의 탐색. 이화젠더법학, 7(2), 73-112.
- 이수현(2017). 청년 여가정책의 필요성 연구 : 청년세대의 여가자원 분포 특성 검토를 통하여. 여가학연구, 15(3), 71-93.
- 이은지(2017). 1인 가구 청년의 심리적 경험 연구. 평택대학교 대학원 상담학과 석사학위논문.
- 이현서(2016). 청년 고실업률 시대, 청년 여가권(餘暇權) 성찰. 문화정책논총, 30(2), 236-262.
- 장진희.김연재(2016). 서울 1인가구 여성의 삶 연구: 2030 생활실태 및 정책지원방안.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1-226.
- 정경희.남상호.정은지.이지혜.이윤경.김정석.진미정(2012). 가족구조 변화와 정책적 함의: 1인가구 증가현상과 생활실태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 정순희.임은정(2014). 청년 1인 가구의 삶에 대한 연구. Financial Planning Review, 7(4), 1-19.
- 정영금.양지명(2017). 가족친화문화 조성을 위한 가족친화지원사업의 발전방향. 생활과학연구논집, 36(1), 85-102.
- 정운영.정세은(2011). 1인 노인가구의 경제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 연구: 저소득가구와 고소득 가구의 비교. 한국노년학, 31(4), 1119-1134.
- 정희수(2018). 청년 1인가구를 생각함. 새가정, 65, 9-13.
- 최경은.윤주(2013). 1인가구 여가활동 분석 및 대응정책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보고서.
- 최홍철.김소연.나종연.최현자(2016). 20.30대 1인가구의 소비지출양식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19, 89-110.
- 최효미.김지현(2018). 청년 1인가구 현황 및 청년층의 1인가구에 대한 인식.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17-21.
- 통계청(2015). 인구주택총조사.
- 통계청(2017). 장래가구추계: 2015-2045년.
- 홍승아.성민정.최진희.김진욱.김수진(2017). 1인가구 증가에 따른 가족정책 대응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 Beck, U. (2002). Individualization: Institutionalized individualism and its social and political consequences (Vol. 13). Sage.
- Daniels, L. & McCarraher, L. (2000). The Worklife Manual: Gaining a Competitive Edge by Balancing the Demands of Employees' Work and Home Lives. Industrial Society.
- Dex, S. & Bond, S. (2005). Measuring work-life balance and its covariates. Work, employment and society, 19(3), 627-637. https://doi.org/10.1177/0950017005055676
- Greenhaus, Jeffrey.Karen Collins.Jason Shaw (2003).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balance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3, 510-531. https://doi.org/10.1016/S0001-8791(02)00042-8
- Guest, David(2001). Perspectives on the study of work-life balance. A discussion paper prepared for the 2001 ENOP Symposium, Paris, March 29-31.
- Kirchmeyer, C. (2000). Work-life initiatives: greed or benevolence regarding workers' time?.
- Tausing, Mark & Fenwick, Rudy(2001). Unbinding Time: Alternate Work-Schedules and Work-Life Balance.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22(2), 101-119. https://doi.org/10.1023/A:1016626028720
피인용 문헌
- 결혼경험 유무에 따른 비혼 1인 가구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vol.24, pp.1, 2020, https://doi.org/10.22626/jkfrma.2020.24.1.002
-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of One-person Households : Focused on Young (19-39) Women in Korea vol.9, pp.6, 2019, https://doi.org/10.20482/jemm.2021.9.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