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뮤직비디오에 나타난 '집'의 의미와 성격 - 서태지와 아이들, 방탄소년단 작품에 대한 세대론적 접근 -

Seeking for Underlying Meaning of the 'house' and Characteristics in Music Video - Analyzing Seotaiji and Boys and BTS Music Video in Perspective of Generation -

  • 길혜빈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 안숭범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투고 : 2019.03.06
  • 심사 : 2019.04.22
  • 발행 : 2019.05.28

초록

본 연구는 1990년대 'X세대' 담론과 2010년대 'C세대' 담론 한복판에 존재하는 '서태지와 아이들'(X세대)과 '방탄소년단'(C세대)의 을 심층적으로 비교한다. 특히 뮤직비디오 속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집'의 성격을 탐색하며 사회문화적 함의를 추수할 것이다. 논지의 구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시모어 채트먼의 서사 소통 모델과 토비아스의 플롯 유형론을 방법론으로 택했다. 분석 결과 서태지와 아이들의 원작은 계몽과 훈육의 수직적 소통 구조를 보여주며 '성숙'의 플롯을 따라 이야기를 전개됐다. 원작에서 '집'의 의미는 저항의 대상에서 내면화의 대상으로 변화해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X세대의 당대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위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방탄소년단의 리메이크 뮤직비디오는 공감과 연대의 수평구조를 보여주며 '추구/발견'의 플롯을 따라 사건이 전개되었다. 방탄소년단은 C세대를 대변하면서 팬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스토리텔링을 선보였다. 여기서의 '집'이란 자기 정체성을 전유한 자의 삶 그 자체로 파악된다.

This study compares in depth the song performed by two groups, one by 'Seo Taiji And His Boys'(X Generation) and the other by 'BTS'(C Generation) based on the discourse about the 'X Generation' in the 1990s and the 'C Generation' in the 2010s. It will specifically focus on the nature of 'home' that has great significance in the music video and will find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it. Based on the analysis, the original performance by 'Seo Taiji and The Boys' demonstrated the vertical structure of enlightenment and discipline and narrated the story with the plot of 'maturity'. The meaning of 'home' in the original version shifts from a target of resistance to a subject of internalization. The remake music video of BTS demonstrated a horizontal structure of empathy and solidarity and narrated the story with the plot of 'pursuit/discovery'. The 'home' here can be considered the life itself of a person who maintains one's self identity.

키워드

CCTHCV_2019_v19n5_24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서태지와 아이들의 뮤직비디오의 서사 소통 모델

CCTHCV_2019_v19n5_24_f0002.png 이미지

그림 2. 방탄소년단의 뮤직비디오의 서사 소통 모델

참고문헌

  1. 방희경, 유수미, "한국 언론과 세대론 전쟁 (실크세대에서 삼포세대까지)," 韓國 言論學報, 제59권, 제2호, pp.37-61, 2015.
  2. 강홍규, "사진적 이미지의 뮤직비디오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251-256,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251
  3. 박선민, 대중가요 리메이크와 복고 , 커뮤니케이션북스(주), p.52, 2015.
  4. 에릭 H. 에릭슨, 유년기와 사회, 송제훈 역, 연암서가, pp.319-321, 2007.
  5. 김미영, "에릭슨의 심리사회 발달적 인간 고찰," 사회복지경영연구, 제2권, 제2호, pp.27-42, 2015.
  6. 홍준기, "절망한 청년들을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르몽드 디폴로마티크, 제81권, p.32, 2015.
  7. 권경우, "한국 청년세대 담론의 지형도," 교양학연구, 제3권, p.25, 2016.
  8. 박혜숙, "신세대 특성과 라이프 스터일 연구 - Z세대를 중심으로 -," 인문사회21, 제7권, 제6호, pp.753-767, 2016.
  9. 박혜숙, "신세대 특성과 라이프 스터일 연구 - Z세대를 중심으로 -," 인문사회21, 제7권, 제6호, p.758, 2016.
  10. 김환표, 트렌드 지식 사전, 인물과 사상사, p.219, 2013
  11. 김영미, "한국 2030세대의 청년정책에 대한 태도와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5호, pp.386-396,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5.386
  12. 방희경, 유수미, "한국 언론과 세대론 전쟁 (실크세대에서 삼포세대까지)," 韓國 言論學報, 제59권, 제2호, p.54, 2015.
  13. 로널드 B. 토비아스,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 스무가지 플롯 , 김석만 역, 풀빛, p.262-272, 2012.
  14. 로널드 B. 토비아스,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 스무가지 플롯 , 김석만 역, 풀빛, pp.110-127, 2012.
  15. 로널드 B. 토비아스,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 스무가지 플롯 , 김석만 역, 풀빛, p.321, 2012.
  16. 로널드 B. 토비아스,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 스무가지 플롯 , 김석만 역, 풀빛, p.327, 2012.
  17. 우지혜, 백선기, "청년 안에서부터 바깥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2호, pp.553-568,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2.553
  18. 김형곤, "서태지의 성공전략에 대한 분석,"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제2권, 제1호, pp.189-212, 1998.
  19. 시모어 채트먼, 이야기와 담론 , 한용환 역, 푸른사상, p.296. 2008.
  20. 조셉 캠벨,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 이윤기 역, 민음사, p.120, 1999.
  21. 로널드 B. 토비아스,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 스무가지 플롯, 김석만 역, p.271, 2012.
  22. https://news.joins.com/article/3159544, 2019.02.26.
  23.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711290479726494, 2019.02.26.
  24. 이승연, 박지훈, "웹툰이 재현하는 청년문제와 재현방식," 한국소통학보, 제23권, pp.209-242,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