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령의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성별에 따른 영향

Impact of Gender Differences in Elderly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 설수영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 ;
  • 정명호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 ;
  • 이승헌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 ;
  • 손석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조재영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 ;
  • 김민철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 ;
  • 심두선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 ;
  • 홍영준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 ;
  • 박형욱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 ;
  • 김주한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 ;
  • 안영근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 ;
  • 조정관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 ;
  • 박종춘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
  • Seol, Soo Young (The Heart Cente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Jeong, Myung Ho (The Heart Cente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ee, Seung Hun (The Heart Cente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Sohn, Seok-J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Cho, Jae Yeong (The Heart Cente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im, Min Chul (The Heart Cente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Sim, Doo Sun (The Heart Cente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Hong, Young Joon (The Heart Cente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Park, Hyung Wook (The Heart Cente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im, Ju Han (The Heart Cente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Ahn, Youngkeun (The Heart Cente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Cho, Jeong Gwan (The Heart Cente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Park, Jong Chun (The Heart Center,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투고 : 2017.07.26
  • 심사 : 2018.03.09
  • 발행 : 2019.02.01

초록

목적: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성별의 차이가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은 잘 알려져 있다. 이전의 연구들은 여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임상 경과가 남성에 비하여 비슷하거나 더 좋지 않았다고 보고되었으나, 급성 심근경색증을 가진 고령 환자에서 성별에 따른 예후의 차이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다. 방법: 2011년 11월부터 2015년 6월까지 한국인 급성 심근경색증 등록 연구 사업에 등록된 75세 이상의 고령인 환자 2,953예(80.2 ± 4.2세, 남자: 48.2%)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여성 환자는 1,529 (51.8%)였으며, 평균 나이는 남성보다 유의하게 많았다(80.7 ± 4.4 years vs. 79.6 ± 4.0 years, p < 0.001).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인 고혈압은 고령 여성에서 남성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았다(74.8 vs. 60.3%, p < 0.001). 흡연과 협심증, 심근경색증, 뇌졸중 등 과거력은 고령의 남성에서 여성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많았다. 고령의 여성 환자는 남성에 비하여 응급 의료 서비스 이용 빈도가 유의하게 낮았다(11.5 vs. 15.4%, p < 0.001). 고령 여성의 PRU 값이 남성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항 혈소판 제제 사용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관상동맥중재술의 성공률은 고령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낮았다(p = 0.049). 병원내 사망률은 성별 간에 유사하였으며(7.1 vs. 8.4%), 단변량 콕스 회귀분석 결과 1년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주요 심장 사건은 고령의 여성에서 고령의 남성보다 유의하게 낮았다(HR 1.19, 95% CI 1.00-1.41, p = 0.045). 주요 심장 사건에 영향을 주는 독립적인 인자는 나이, 흉통, 호흡곤란, Killip class, 심부전증 등이었다. 다변량 분석 결과 1년 추적 관찰 기간 중 주요 심장 사건 발생의 독립적인 인자는 고령의 남성(HR 1.37, 95% CI 1.14-1.65, p < 0.001), 연령, Killip class, 당뇨병 및 심부전증이었다. 결론: 심근경색증을 가진 고령의 환자에서 성별 간에 병원내 사망률과 시술 주위 합병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1년 추적 관찰 기간 동안 고령의 여성에서 남성보다 더 양호한 예후를 보였다.

Background/Aims: It is well known that gender differences are associated with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However, it is not clear whether gender differences affect the prognosis of elderly patients with AMI. Methods: We analyzed the incidence of in-hospital complications and mortality in the Korea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gistry-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from November 2011 to June 2015. This study included elderly patients (≥ 75 years) diagnosed with AMI. Results: A total of 2,953 patients were eligible for this study. Among them, 1,529 (51.8%) patients were female, and the mean age of the female group was older than that of the male group (80.7 ± 4.4 vs. 79.6 ± 4.0 years, respectively, p < 0.001). Elderly females utilized emergency medical services less frequently compared with elderly males (11.5 vs. 15.4%, respectively, p < 0.001). Elderly female AMI patients had a similar rate of in-hospital mortality compared with elderly males (7.1 vs. 8.4%, respectively, p = 0.196). The rate of major cardiac adverse events (MACEs) was lower in elderly females than males during a 12-month follow-up (hazard ratio [HR] 1.19, 95% confidence interval [CI] 1.00-1.41, p = 0.045). According to multivariate analysis, the male gender is an independent factor for predicting 1-year MACEs (HR 1.37, 95% CI 1.14-1.65, p < 0.001). Conclusion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i-procedural complications or in-hospital mortality were observed between male and female elderly patients with AMI. However, elderly female patients had a more favorable prognosis than male patients during a 1-year clinical follow-up.

키워드

과제정보

This study was supported by grants of The Korean Health Technology R & D Project, Ministry of Health & Welfare (HI13C1527) and the Research of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ER6304-01), Republic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