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roversial Issues and Policy Alternatives in Promotion of Arts and Culture Grant Program: Focusing on Space and Exhibition Support Project of Visual Arts

문화예술지원사업 추진상의 쟁점과 정책방향 - 시각예술창작산실 공간·전시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 고정민 (홍익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 ;
  • 장신정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 ;
  • 장윤정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한림대학교)
  • Received : 2019.10.14
  • Accepted : 2019.11.20
  • Published : 2019.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ssues and alternatives in the promotion of space and exhibition support projects in visual arts, and to suggest an applicable direction of the government grant program. For this study, FGI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the direct beneficiaries of the grant program, the staff of the grant program, and the group of visual arts expert. As a result, the deliberation and selection of the support project should be carried out with sufficient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the support project. And the project requires to divide into two kinds of the project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social role and differentiation of non-profit exhibition spaces and private art museums. For the grant application and assessments, a long-term support is necessary to bring the capability and issues in efficient allocation of the budget, flexibility of budget item, and the budget shortfalls. Furthermore, the reliability between the grant program and beneficiaries needs to form a healthy partnership, and the evaluation criteria and eNARADOEUM system should be more practical and rationally established. Through this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understanding the specificity of visual arts support projects,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visual arts creation policies, and budget utilization were derived. Consequently, cultural and artistic support projects were directed to place more emphasis on efficiency than control, direction considering the position of consumers than suppliers, and long-term business planning rather than short-term perspective.

본 연구는 시각예술창작산실 공간·전시지원 사업 추진상의 쟁점과 대안 모색을 하고 이를 통해 문화예술 지원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문헌고찰 후, 지원사업 관련 직접 수혜자 집단과 지원사업 담당자, 그리고 시각예술 전문가 집단의 FGI 및 심층인터뷰를 하였다. 연구 결과, 지원사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지원심의와 선정이 실제 지원시기보다 충분히 여유를 두고 실행되어야 하며, 비영리전시공간과 사립미술관의 사회적 역할과 차별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두 사업으로 구분하여 진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공유하였다. 지원 방법과 평가에 관해서는 지원사업의 효과성을 고려한 장기지원이 요구되며, 지원 주체와 수혜자 사이의 신뢰성을 회복하는 건강한 파트너십 형성의 필요성, 그리고 평가기준과 e나라도움 시스템이 보다 효율적이고 합리적 구축되어야 하며, 해당 지원사업의 정체성에 부합하는 예산의 효율적 배분 및 항목의 유연성, 그리고 예산부족에 대한 쟁점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시각예술지원사업의 특수성 이해, 지속가능한 시각예술창작 산실 정책의 수립, 예산활용이 자율성 부여 및 예산확충 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더 나아가 문화예술지원사업은 통제보다 효율성을 중시하는 방향성, 공급자 보다 수요자 입장을 고려한 방향성, 단기적 관점이 아닌 장기적 관점의 사업기획을 해야 한다는 방향성이 도출될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19학년도 홍익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