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개인의 사회적 관계가 디지털 기기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사회적 자본 관점

Effect of Social Relation on Digital Device Usage: A Social Capital Perspective

  • 구윤모 (연세대학교 바른ICT연구소) ;
  • 오주현 (연세대학교 바른ICT연구소)
  • Yunmo Koo (Barun ICT Research Center, Yonsei University) ;
  • Joohyun Oh (Barun ICT Research Center, Yonsei University)
  • 투고 : 2019.05.02
  • 심사 : 2019.08.01
  • 발행 : 2019.08.31

초록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보급이 광범위하게 확산되면서 '접근'을 중심으로 진행되던 정보격차에 대한 이론적 논의가 정보의 효과적인 '활용'과 능동적인 '생산', '공유'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가 중요한 것은 디지털 기술의 활용 행태가 개인의 인적, 물적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사회적 불평등 구조를 재생산하거나 심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맺고 있는 사회적 관계가 두 가지 유형의 사회적 자본(결속형, 가교형)을 매개로 디지털 기기의 경제적 활용과 사회참여적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문리서치 업체를 통해 수집된 740건의 설문조사 데이터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개인의 사회적 관계가 수평적일수록 결속형 사회적 자본과 가교형 사회적 자본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의 사회적 관계는 두 가지 형태의 디지털 기기 활용(경제적, 사회참여적) 모두에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사회적 자본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교형 사회적 자본의 경우 두 가지 형태의 디지털 기기 활용 모두에 대해 매개효과가 존재했지만, 결속형 사회적 자본은 경제적 활용에 대해서만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결과에 대한 해석과 함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s smart phones, tablets, and other digital devices become more pervasive, theoretical arguments around digital divide, which has previously focused on "access," is now expanding to effectively "utilize," actively "produce" and "share" information. Such discussion is significant because the impact on inter-personal and social networks depends on how digital divides are used, which can then recreate or exacerbate social inequality structur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individual's social relations and two types of social capital (i.e., bonding and bridging) on economic and socio-participatory usage of digital devices. An empirical analysis of dataset from 740 surveys reveals that the more horizontal the social relations of the individual, the more both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increase. However, rather than the social relationship of the individual directly influencing the two types of digital device usage, it has an indirect effect on both economic and socio-participatory usage of digital devices. In particular, mediating effects of both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exist in the case of economic usage of digital devices, whereas bonding social capital only has mediating effects on economic usage of digital devices. We discuss the role of social capital on digital devices usage and presen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구윤모, 오주현, "사회적 관계가 정보격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사회적 자본 관점",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 2018, pp. 455-461. 
  2. 금희조, 조재호,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격차, 그리고 정치 참여: 소셜 미디어 효과에 대한 스마트폰 이용의 조절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5호, 2010, pp. 348-371. 
  3. 김문조, 김종길, "정보격차(digital divide)의 이론적․정책적 재고", 한국사회학, 제36권, 제4호, 2002, pp. 123-155. 
  4. 김용영, "온라인 게임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이 충만감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 오프라인 의존성의 조절효과",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2권, 제3호, 2010, pp. 117-139. 
  5. 김용학, 사회 연결망 이론, 박영사, 서울, 2013. 
  6. 김태환, 이상용 "개인의 모바일 정보격차가 모바일 인터넷의 인지적 가치 차이에 미치는 영향 분석",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9권, 제2호, 2017, pp. 159-183. 
  7. 민영, "인터넷 이용과 정보격차: 접근, 활용, 참여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제48권, 제1호, 2011, pp. 150-187. 
  8. 박해광, "정보격차의 새로운 경향", 경제와 사회, 제59권, 2003, pp. 78-102. 
  9. 배영, "사이버 공간의 사회적 관계: 개인미디어를 이용한 관계의 형성과 유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38권, 제5호, 2005, pp. 55-82. 
  10. 서진완, 박희봉, "인터넷 활용과 사회자본-사이버 공동체의 사회자본 형성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제1호, 2003, pp. 27-50. 
  11. 손지연, "정보취약계층 소비자권익 증진방안 연구", 정책연구 17-18, 한국소비자원, 2017. 
  12. 송경재, "사회적 자본과 네트워크: 조직구조를 중심으로", 사회이론, 제25권, 2004, pp. 251-282. 
  13. 송경재, "네트워크 시대의 시민운동 연구", 현대정치연구, 제2권, 제1호, 2009, pp. 55-83. 
  14. 송윤정, 안중섭, "2017년 모바일 금융서비스 이용행태 조사 결과 및 시사점", 지급결제조사자료 2018-3호, 한국은행, 2018. 
  15. 안정임, "디지털 격차와 디지털 리터러시: 수용자 복지 정책적 함의", 한국언론정보학보, 제36권, 2006, pp. 78-108. 
  16. 오주현, 장노년층의 사회적 관계와 스마트 미디어 이용에 관한 연구: 세대 내 정보격차 조명과 세대 간 보완 관계의 효과 (박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2017. 
  17. 오주현, 강정한, "이질적 연결망 기반 사회자본이 사회통합적 관심에 미치는 영향과 SNS의 역할: 2012 한국종합사회조사 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1권, 제4호, 2014, pp. 141-188. 
  18. 이숙정, 육은희, "디지털 활용 격차와 결과 격차",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5호, 2014, pp. 206-232. 
  1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년 정보화교육사업 수혜자 만족도 조사 결과 보고서,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20.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2017. 
  21. 황용석, 박남수, 이현주, 이원태,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격차 연구: 세대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6권, 제2호, 2012, pp. 198-225. 
  22. 황현정, 황용석, "노인집단내 정보격차와 그에 따른 삶의 만족도 연구: 가구구성형태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43권, 제3호, 2017, pp. 359-386. 
  23. Adler, P. S. and S. W. Kwon, "Social capital: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In E. L. Lesser (ed.), Knowledge and Social Capital, 2000, pp. 89-115, Butterworth-Heinemann, Boston, MA. 
  24. Adler P. S. and S. W. Kwon, "Social capital: Prospects for a new concept",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7, No.1, 2002, pp. 17-40. 
  25. Baron, R. M.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1986, pp. 1173-1182. 
  26. Bourdieu, P., "The Forms of Capital", In J. Richardson (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Greenwood, New York, 1986, pp. 241-258. 
  27. Chin, W. W.,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al equation modeling", In G. A. Marcoulides (Ed.) Modern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Mahwah, New Jersey, 1998, pp. 295-336. 
  28. Chung, N., H. Han, and C. Koo, "Mediating roles of attachment for information sharing in social media: Social capital theory perspective",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22, No.4, 2012, pp. 101-123.. 
  29. Coleman, J. S.,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94, 1988, pp. S95-S120. 
  30. DiMaggio, P. and E. Hargittai, "From the 'Digital Divide' to 'Digital Inequality': Studying Internet use as penetration increases", Working Paper, Center for Arts Cultural, Policy Strudies, Princeton University, 2001. 
  31. Fornell, C. and F. Bookstein, "Two structural equation models: LISREL and PLS applied to consumer exit-voice theor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9, No.4, 1982, pp. 440-452. 
  32. Fulkerson, G. M. and G. H. Thompson, "The evolution of a contested concept: A Meta-analysis of social capital definitions and trends(1988-2006)", Sociological Inquiry, Vol.78, No,4, 2008, pp. 536-337. 
  33. Granovetter, M. S., "The strength of weak t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78, No.6, 1973, pp. 1360-1380. 
  34. Haddon, L., "Social exclusion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Lessons from studies of single parents and the young elderly", New Media and Society, Vol.2, No.4, 2000, pp. 387-406. 
  35. Hair, J. F., W. C. Black, B. J. Babin, R. E. Anderson, and R. L. Tatham, Multivariate Data Analysis, Pearson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2006. 
  36. Hargittai, E., "Beyond logs and surveys: In-depth measures of people's web use skill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53, No.14, 2002, pp. 1239-1244. 
  37. Hargittai, E. and A. Hinnant, "Digital inequality: Differences in young adults' use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 Research, Vol.35, No.5, 2008, pp. 602-621. 
  38. Koo, Y., J. N. Lee, C. S. Heng, and J. Park, "Effect of multi-vendor outsourcing on organizational learning: A social relation perspective", Information & Management, Vol.54, No.3, 2017, pp. 396-413. 
  39. Lin, N., Social Capital: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Action, University Press, Cambridge, 2001. 
  40. Norris, P., Digital Divide: Civic Engagement, Information Poverty, and the Internet Worldwid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001. 
  41. OECD, Human Capital, 2007. 
  42. Portes, E., "Social capital: Its origins and application in modern sociology",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22, 1998, pp. 1-24. 
  43. Putnam, R. D.,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In L. Crothers and C. Lockhart (eds.), Culture and Politics, pp. 223-234, Palgrave Macmillan, New York, 2000. 
  44. Quan-Haase, A. and B. Wellman, "How does the Internet affect social capital?", In M. Huysman and W. Volker (eds.), IT and Social Capital (Draft 4), 2002. 
  45. Scheerder, A., A. Van Deursen, and J. Van Dijk, "Determinants of Internet skills, uses and outcomes: A systemiatic review of the second- and third-level digital divide",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34, 2017, pp. 1607-1624. 
  46. Selwyn, N., "Reconsidering political and popular understandings of the digital divide", New Media & Society, Vol.6, No.3, 2004, pp. 341-362. 
  47. Van Deursen, A. and E. J. Helsper, "The third-level digital divide: Who benefits most from being online?", In (ed.)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echonologies Annual (Studies in Media and Communications, Vol. 10),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2015, pp. 29-53. 
  48. Van Deursen, A. and J. Van Dijk, "The digital divide shifts to differences in usage", New Media & Society, Vol.16, No.3, 2014, pp. 507-526. 
  49. Van Dijk, J., The Deepening Divide: Inequality in the Information Society, Sage, London, 2005. 
  50. Williams, D., "On and Off the 'Net: Scales for social capital in an online era",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1, No.2, 2006, pp. 593-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