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User's Opinion for Designing of Multi-Functional Plant Applications

복합적 기능의 식물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을 위한 사용자 조사

  • Lee, Ha Na (Graduate School of U Design, Inje University) ;
  • Park, Han Na (Graduate School of U Design, Inje University) ;
  • Paik, Jin Kyung (Graduate School of U-Design, Inje University)
  • 이하나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U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 전공) ;
  • 박한나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U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 전공) ;
  • 백진경 (인제대학교 U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9.08.02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Air pollution due to the fine dust level updating every day, and the problem of indoor air pollution due to ventilation difficulties and indoor discharge pollutants is also serious. In order to improve the indoor air quality, the air purification effect using the plants is prominent. In this study was started to investigated the living environment of modern people, the risk of indoor air pollution and the improvement function of plants, and to activate plant appl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in functions and design status of domestic and overseas plant - related applications, and to understand the actual use of modern plant applications and to help them learn more convenient plant - related knowledge. Therefore, this paper attempted to establish a basis for suggesting a new plant application by conducting a survey on the health effects of indoor air pollution and user awareness of plant - related applications.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theoretical review, indoor air pollution is more dangerous to modern people who have a high proportion of indoor living time and adversely affects their health.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has been shown that air conditioning and stress reduction can be effectively achieved by placing plants in the indoor space. Second,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study shows the risk of indoor air pollution and its adverse effects on health. In addition, I have been able to find some researche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indoor air by using the air purifying plants, and I can see the improvement of the user's behavior through the development or improvement of the application. Third,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status of domestic and overseas plant application, the main function of the application having high installation number was watering notification, provision of basic information of plants, and most of the functions were plant discerment through cameras. Fourth, most of the survey respondents have either raised or raised plants. Those who have little experience with plant applications have also shown positive feedback in the future on the use of plant-related applications. In addition, due to social problems such as air pollution, air purification using plants and functional plants showed high interest.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the need for a multi-functional plant application that can improve the indoor air pollution and facilitate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related to it.

연일 최대치를 갱신하고 있는 미세먼지 수치로 인해 대한민국 정부는 공기 오염과 씨름하고 있으며, 환기의 어려움과 실내 방출 오염물질로 인한 실내공기 오염 문제 역시 심각하다. 이러한 실내의 공기 질 개선에 식물의 공기 정화 효과가 돋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인의 생활 환경과 실내공기 오염의 위해성 및 식물의 개선 기능을 조사하고, 식물 애플리케이션 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식물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주요기능과 디자인 현황을 파악하고, 현대인의 식물 애플리케이션 사용 실태를 분석하여 더욱 편리한 식물 관련 지식 습득을 돕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실내공기 오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식물 관련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의식조사를 이행하였다. 이를 통해 새로운 복합적 기능의 식물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을 제안하는 데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고찰 결과 실내공기 오염은 실내 생활의 비중이 높은 현대인에게 더욱 위험하며 건강에 악영향을 끼친다. 이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하여 실내공간에 식물을 두는 것만으로도 공기 정화 및 스트레스 감소에 크게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둘째, 선행 연구 분석 결과 실내공기 오염의 위해성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공기정화 식물의 실내 공기개선 사례와 관련된 연구 사례를 찾아볼 수 있었으며,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개선을 통한 사용자의 행동 개선 사례를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국내외 식물 애플리케이션 현황 조사 결과 현재 설치 수가 높은 애플리케이션의 주요 기능은 식물식별, 물 주기 알림, 식물 기초 정보 제공 등이 있었으며, 카메라를 통한 식물 식별 애플리케이션이 다수였다. 넷째, 설문조사 결과 대부분의 응답자가 식물을 키우고 있거나, 키운 경험이 있었다. 식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경험이 거의 없는 사람 역시 향후 식물 관련 애플리케이션 사용에 긍정적인 의견을 밝혔다. 또한, 공기 오염 등의 사회 문제로 인하여 식물을 활용한 공기 정화, 기능성 식물 등에 높은 관심을 보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내공기 오염을 개선할 수 있는 식물과 이와 관련된 정보 제공을 용이하게 도울 수 있는 복합적 기능의 식물 애플리케이션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B. C. Wolverton, Interior Landscape Plants for Indoor Air Pollution Abatement, Joogang Life. 2009
  2. Choi In Su, "2018 Korea Trend", Hankyung BP, 2017
  3. Choi Yu Jin, "A Study on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in Homes". 2013
  4. Dr. Candice Shoemaker, "Plant-Environment Relationship in Urban Agriculture", 2015
  5. Edward O. Wilson, "Biophilia", Science Books, 2010
  6. Esther M. Sternberg, "Healing Space: The Science of Place and Well-being", The Quest, 2013
  7. Kim Yoon Shin, "Indoor Environmental Science Research", Shin Kwang Publishing Co, 2010
  8.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Impact of urban forests on workers and benefits of school forests", 2003
  9. http://www.hani.co.kr (2013.05.06)
  10. http://www.latimes.kr (2015.03.27)
  11. http://www.korea.kr (2017.05.08)
  12. http://www.law.go.kr (2018.10.18)
  13. https://www.mk.co.kr (2019.01.25)
  14. https://news.joins.com (2019.02.18)
  15. http://news.khan.co.kr (2019.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