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Healthy Orientation of Rural Community Center Users

농촌 마을회관 이용자의 건강성 지향에 관한 연구

  • 김은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유아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조한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박미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임창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Received : 2019.01.11
  • Accepted : 2019.02.21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the planning of rural community center space, which introduced the concept of healthcare. As the rural community center is a place where the elderly in rural areas live mainly during the day, this place is very important place for the healthy life of the rural elderly. We conducted an interview survey for 207 users over 65. The survey was organized with three regions to consider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center users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planning elements, the main preferences for indoor and outdoor space elements are planning elements such as safety, air quality, light, and the thermal environment and safety handle, night lights, safety walkway. These pre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more healthy friendly rural community center.

Keywords

References

  1. 고진영, 농촌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마을회관의 활용방안 연구 -화천군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 권오진, 아파트 단위주거의 환경친화적 계획요소에 관한 실무자 의식 조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3. 김소연, 건강주거 계획요소의 규명을 위한 연구,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4. 김은자.조한솔.유아현.박미정.임창수, 농촌 마을회관의 실내외 공간구성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20(4), 2018, pp.39-51
  5. 문인영, 농촌 마을회관에 적용된 유니버설디자인 적합성 평가,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6. 문인영.김미희, 농촌 마을회관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 평가-전남 화순군 25개 마을회관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3(1), 2014
  7. 문인영.김미희, 농촌 마을회관의 공간계획을 위한 이용실태 및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3(2), 2014
  8. 박태은, 건강주택 계획요소에 관한 사용자의 태도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9. 배웅규.윤용우.정동섭.주대관, 농촌마을 유형에 따른 거주환경 분석과 만족도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 논문집, 20(3), 2014
  10. 손영선.이재훈, 건강주거 위해요인 및 계획요소 연구-국내 건강주거관련 연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4(1), 2012
  11. 송미령.박시현, 농촌 공동시설의 효율적 활용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1
  12. 오찬옥.최병숙.홍찬선.박선희.임상봉, 농촌 노인의 복지향상을 위한 마을회관의 공간 활용방안-경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17(6), 2006
  13. 우종범, 수도권 농촌마을의 공동시설 이용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파주시 농촌마을회관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4. 이선민.이연숙, 거주자요구에 기반한 건강주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8(6), 2008
  15. 이선민.이연숙, 건강친화 주거환경 계획요소에 관한 소비자 요구도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8(2), 2008
  16. 이연숙.이수진.김혜진.김건형, 건강주택의 건강지원 특성에 관한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7(1), 2007
  17. 이을규, 마을회관의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17(1), 2013
  18. 임승학.장희순, 주거환경이 거주자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연구-환경성질환 유병률 분석 중심으로-, 한국주거환경학회 논문집, 15(2), 2017
  19. 조성희.강나나, 공동주택의 건강성능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2(1), 2011
  20. 최병숙.박선희.오찬옥.김주석, 고령화 농촌을 위한 마을회관 디자인 및 주민 사전평가,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10(3), 2008
  21. 최병숙.박선희.오찬옥.홍찬선.임상봉, 농촌 마을회관의 노인 복지서비스 공간으로의 활용 방안 -평면과 이용행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 논문집, 8(2), 2006
  22. 하미경.임보련, 웰빙 트렌드에 따른 아파트의 건강 관련 실내 디자인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4(3), 2005
  23. 통계청, 2017, 2016년 생명표, http://www.index.go.kr

Cited by

  1. A Study on the Application Plan and Standards for Creating an Age-Friendly Space in a Rural Community Center vol.32, pp.3, 2021, https://doi.org/10.7856/kjcls.2021.32.3.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