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ervation of Minutes of the Cabinet Meeting held by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Measures to Improve the Binding Methods for Bulky Bound Records

국가기록원 소장 국무회의록 보존처리 -거대 편철 기록물의 보존성 향상을 위한 편철 개선-

  • Lee, Hyunjin (Restoration Management Divisi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
  • Jeong, Seongeun (Restoration Management Divisi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
  • Jo, Dayoung (Restoration Management Divisi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
  • Choi, Bora (Restoration Management Divisi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
  • Ko, Soorin (Administration Repository, National Archives of Korea) ;
  • Kim, Taehwi (Dept. of Cultural Heritage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Cho, Eunhye (Restoration Management Divisi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 이현진 (국가기록원 복원관리과) ;
  • 정성은 (국가기록원 복원관리과) ;
  • 조다영 (국가기록원 복원관리과) ;
  • 최보라 (국가기록원 복원관리과) ;
  • 고수린 (국가기록원 행정기록관) ;
  • 김태휘 (충북대학교 문화재과학과) ;
  • 조은혜 (국가기록원 복원관리과)
  • Received : 2019.09.20
  • Accepted : 2019.11.06
  • Published : 2019.11.30

Abstract

Minutes of cabinet meetings (hereafter referred to as "minutes") offer records on important activities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has implemented a series of preservation for these minutes such as condition survey, deacidification, microfilming, digitization, making boxes, etc. Conservation treatment plans were further established in 2018 to pursue more preservation of over 2,000 volumes of minut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condition survey of the minutes. Among ninety-seven volumes that require conservation treatments, six volumes have been treated so far. A major concern of conservation treatment of minutes was found that a single volume of minutes contains 800 pages, leading to heavier and bulkier than most of other bound volumes. This paper presents the measures taken to solve the problems resulting from this bulky structure of the bound minutes.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will offer an opportunity to consider effective conservation methods for records on paper of which the physical shapes are yet to be determined.

국무회의 관련 기록(이하 '국무회의록')은 대한민국 정부의 중요 활동을 파악할 수 있는 기록물이다. 중요 자료인 국무회의록을 보존하기 위하여 국가기록원에서는 다양한 보존업무를 추진해왔다. 보존상자 맞춤 제작, 탈산 처리, 이중매체 보존(마이크로필름 촬영), 콘텐츠 디지털화(스캐닝) 등을 진행하였다. 2,000권이 넘는 국무회의록을 효과적으로 보존하기 위하여 상태검사 결과를 활용하여 보존처리 계획을 2018년에 수립하였다. 복원대상 97권 중 6권에 대한 보존처리를 끝내고, 그 처리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국무회의록은 평균 800면이 넘는 기록물 철로 다른 기록물보다 편철이 거대한 기록물이 많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형태 때문에 생기는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들을 중점적으로 소개한다. 물리적 원형이 확립되지 않은 종이 기록물에 대한 보존처리 접근 방법을 고찰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기록원, 국무회의록 안건 목록집 I.II.III.IV, 국가기록원, 대전, (2013.2014.2015.2016).
  2. Edward P. Adcock, 도서관 자료의 관리 및 취급을 위한 IFLA 원칙, p65, 국립중앙도서관, 서울,(2009).
  3. 국가기록원, 2016년 기록물 관리지침, p17,국가기록원, 대전,(2015)
  4. 용인대학교 산학협력단, 2013년 기록보존기술 연구개발 사업 연구결과보고서 중요기록물의 보존상자 구조설계 및 편철방식 개선 연구, p67, 국가기록원, 대전, (2013).
  5. Edward P. Adcock, 도서관 자료의 관리 및 취급을 위한 IFLA 원칙, p12-18, 국립중앙도서관, 서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