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esthetics of Conviction in Novel and Film Mephisto

소설과 영화 속 '메피스토'의 사상성 미학

  • 신사빈 (중부대학교 실용음악학과)
  • Received : 2019.01.02
  • Accepted : 2019.02.14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is research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intertextuality of Klaus Mann's novel Mephisto (1936) and István Szabó's film Mephisto (1981) and how the derivative contents (i.e., film) accepted and improved the schematic aesthetics of conviction in original contents (i.e., novel). In general, the aesthetics of conviction is applied to criticize the state socialism of the artists of the Third Reich or the ideology of the artists of East Germany from a biased ethical perspective. Mephisto is also based on the aesthetics of conviction. Thus, it would be meaningful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Klaus Mann's real antagonist (i.e., Gustaf Gründgens) and fictional antagonist (i.e., Hendrik Höfgen) from a historical critical perspective. In this process, an aesthetic distance between the real and fictional antagonists would be secured through the internal criticism in terms of intertextuality. In this respect, the film aesthetics of István Szabó are deemed to overcome the schematic limit of the original novel. The conviction in both the novel and film of Mephisto pertains to the belief and stance of a person who compromised with the state socialism of Nazi Germany, i.e., succumbed to the irresistible history. Klaus Mann denounced Mephisto's character Höfgen (i.e., Gründgens in reality) as an "Mephisto with evil spirits" from the perspective of exile literature. For such denunciation, Klaus Mann used various means such as satire, caricature, sarcasm, parody and irony. However, his novel is devoid of introspection and "utopianism", and thus could be considered to allow personal rights to be disregarded by the freedom of art. On the contrary, István Szabó employed the two different types of evil (evil of Mephisto and evil of Faust) from a dualistic perspective (instead of a dichotomous perspective of good and evil) by expressing the character of Höfgen like both Mephisto and Hamlet (i.e., "Faust with both good and evil spirits). However, Szabó did not present the mixed character of "Mephisto and Hamlet (Faust)" only as an object of pity. Rather, Szabó called for social responsibility by showing a much more tragic end. As such, the novel Mephisto is more like the biography of an individual, and the film Mephisto is more like the biography of a generation. The aesthetics of conviction of Mephisto appears to overcome biased historical and textual perspectives through the irony of intertextuality between the novel and the film. Even if history is an irresistible "fate" to an individual, human dignity cannot be denied because it is the "value of life". The issue of conviction is not only limited to the times of Nazi Germany. It can also be raised with the ideology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History is so deeply rooted that it should not be criticized merely from a dichotomous perspective.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individual life, a neutral point of view is required. Hopefully, this research paper will provide readers with a significant opportunity for finding out their "inner Mephisto" and "inner Hamlet."

이 글은 클라우스 만(Klaus Mann)의 소설 『메피스토(Mephisto)』(1936)와 이슈트반 사보(István Szabó)의 영화 <메피스토>(1981)의 상호텍스트성을 살펴보고, 원형 콘텐츠(소설)에서 드러난 도식적인 사상성 미학(Gesinnungsästhetik)을 파생 콘텐츠(영화)에서 어떻게 수용하고, 또 극복하는지를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흔히 사상성 미학은 독일의 제3제국 시절 예술가들의 국가사회주의에 대한 태도나 통일 이전 동독 예술가들의 체제에 대한 태도를 편파적인 도덕성의 잣대로 부정적인 평가를 할 때 적용된다. 『메피스토』도 그런 사상성 미학을 지니고 있어서, 클라우스 만의 대척점에 선 현실 속 실제 인물(구스타프 그륀트겐스)과 소설 속 허구 인물(헨드릭 회프겐) 사이의 유형적 유사성과 차이점을 시대 비평적으로 살펴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이때 상호텍스트성을 통하여 내재비평(內在批評)을 한다면 대척에 선 두 인물 사이에 미적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전제에 있어, 이슈트반 사보의 영상 미학은 원작의 도식주의를 벗어난 것으로 보인다. 소설과 영화에서 나타난 '메피스토'라는 사상성은 나치 시대 국가사회주의와 타협한-불가항력의 역사 앞에 굴복한-인물의 인식과 태도의 문제다. 클라우스 만은 메피스토 유형의 회프겐(현실의 그륀트겐스)을 망명문학(Exilliteratur)의 관점에서 '악으로 기우는 메피스토'라고 통렬히 비판하고 있다. 이때 비판을 통한 공격에는 풍자와 희화, 조롱, 패러디, 아이러니 등 다양한 표현 수단이 동원된다. 고발과 비판에 있어 자기반성이 없고 '유토피아적인 것(das Utopische)'도 배제되어 있어서 예술의 자유가 인격권을 침해하는 경향도 없지 않다. 이에 비교해 이슈트반 사보는 메피스토 유형의 회프겐을 수용함은 물론 햄릿 유형의 회프겐, 즉 '선으로, 악으로 기우는 파우스트'를 추가로 등장시켜 (단순한 선과 악의 이분법 잣대가 아닌) 악의 두 유형(메피스토의 악과 파우스트의 악)을 이원적으로 접근한다. 그렇다고 '메피스토와 햄릿(파우스트)'이 혼재된 유형의 인물을 연민의 대상으로만 바라보지 않는다. 훨씬 더 강화된 비극적 결말로서 사회적 책임을 추궁한다. 그래서 소설이 한 개인의 자서전에 가깝다면, 영화는 한 세대의 자서전에 가깝다. 소설과 영화에서 나타난 상호텍스트성의 아이러니로 인하여 메피스토의 사상성 미학은 역사관의 한계와 텍스트의 편중을 극복하였다. 역사가 개인이 넘어설 수 없는 거대한 '운명의 힘'이더라도 '삶의 가치'인 인간의 존엄성마저 부정할 수는 없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사상성의 문제는 비단 독일의 나치 시대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우리 근현대사를 관통하는 이데올로기와도 연상될 문제다. 우리에게 어떤 이분법의 잣대로 비판만 일삼기에는 역사의 뿌리가 너무 깊이 박혀 있어서, 역사와 개인의 관계에서만은 중립적인 관점이 필요하다. 이 글은 우리의 메피스토와 햄릿을 찾는데 실마리를 제공한다면 또 하나의 의의를 지닐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