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토리분말을 첨가한 현미설기떡의 제조 및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 of Brown Rice Sulgidduk Containing Acorn Powder

  • 신미혜 (을지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과) ;
  • 정남용 (경인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Shin, Mee-Hye (Dept. of Food Technology and Services, Eulji University) ;
  • Chung, Nam-Yong (Dept. of Food and Nutrition, Kyung-In Women's University)
  • 투고 : 2019.03.11
  • 심사 : 2019.03.21
  • 발행 : 2019.05.02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Sulgidduk containing acorn powder and the optimal mixing rate (0%, 5%, 10%, and 15%). The moisture contents of brown rice Sulgidduk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acorn powder.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16.15%~28.06%) an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22.98%~42.81%) of the brown rice Sulgidduk increased with increasing acorn powder content. The L value of the Hunter's color value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acorn powder. The hardness and chewiness of brown rice Sulgidduk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acorn powder. The brown rice Sulgidduk containing 10% acorn powder showed the highest score with regard to the sensory characteristic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st desirable amount of acorn powder is 10% and the addition of acorn powder could contribute positively towar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Sulgidduk.

키워드

서론

도토리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나무의 열매로 약 28종이 있다(Joo 등 2013). 도토리는 위와 장을 강화하여 보신작용, 잇몸질환, 인후두염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Lee & Kim 2008),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저칼로리 식품으로 각종 노화요인 억제 효과가 있다고 한다(Lee 등 2005). 특히 tannin, gallic acid, gal-lotannin 등을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성이 높은 식품이다(Shim 등 2004). 도토리를 활용한 연구로는 도토리가루 첨가량에 따른 현미증편반죽의 품질특성(Jeong 등 2016), 도토리 폴리페놀 성분의 열수 추출조건 최적화(Kim & Lee 2008), 도토리 다식(Lee & Yoon 2006), 도토리 떡(Kim & Cho 2000), 도토리 차(Nam 등 2017), 도토리분말 설기떡(Woo 등 2016), 도토리묵가루 첨가 머핀(Kim 등 2012), 도토리분말 쿠키(Joo 등 2013), 도토리가루의 국내산 및 중국산 성분분석(Jung 등 2007), 도토리묵가루 건빵(Lee 등 2012), 도토리가루 첨가 수제비와 베이커리 제품(Lee 2011), 도토리분말의 산화성 스트레스 저항성과 수명에 미치는 효과(Lee 등 2013) 등의 연구가 있다.

한국 고유의 음식 중 하나인 설기떡은 주재료인 곡류에 부재료를 첨가하여 다양한 맛과 색을 가지게 만들어 이를 이용하고 있다(Kim 등 2005; Kim & Lee 2007). 현미는 식물성 단백질 외에 칼슘, 철 등의 무기질과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코틴산 및 토코페롤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곡류로(Chung 등 2012) 멥쌀 대신 현미를 사용하여 설기떡을 제조할 경우 영양을 강화하여 품질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기능성을 가진 부재료를 첨가한 설기떡 연구로는 쇠비름 설기떡(Jeon & Kim 2016), 꾸지뽕열매 설기떡(Choi & Choi 2018), 찐밤 설기떡(Ahn 2017), 아몬드 설기떡(Yu 등 2017), 오미자분말 설기떡(Kim 등 2016a), 호박잎 설기떡(Song 등 2016), 아스파라거스 설기떡(Zhang 등 2016), 무청분말 설기떡(Kim 2015), 진피분말 설기떡(Ahn & Lee 2014), 울금분말 설기떡(Seo & Chung 2014), 비트잎가루 설기떡(Yoo & Ko 2014)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미가루를 사용하고 부재료로 항산화성이 있는 도토리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설기떡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기능성을 가진 현미설기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 실험재료

현미(2018년 7월에 도정)는 성남 소재 재래시장에서 구입하였다. 도토리가루는 성남 소재 재래시장, 설탕은 인터넷으로 유기농 갈색설탕((주)이엔비글로벌)을 구입하였고, 소금은 ○마트에서 꽃소금((주)청정원)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설기떡에 들어가는 현미가루는 떡 전문점에서 사용하는 제조방법에 따라 거친 현미가루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 현미를 맑은 물에 5회 정도 세척하여 48시간 침지한 후 30분 동안 체에 밭쳐 물기를 제거하고, roller-mill((주)Samwooeng, Seoul, Korea)로 제분(2회)하고 20 mesh 체에 내려 저장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설기떡 제조

설기떡의 재료 배합율은 Table 1과 같고, 제조과정은 선행연구(Shin & Chung 2018)를 참고하였다. 즉, 현미가루에 도토리분말을 0%, 5%, 10%, 15%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분량의 물을 넣고 혼합하여 20 mesh 체에 내린 후 설탕을 혼합하여 설기떡 가루를 제조하였다. 설기떡 찜 용기는 28 cm × 28 cm × 8 cm 크기((주)Daechang 스테인리스, Seoul, Korea)로 사용하였으며, 찜 용기 바닥에 사방 28 cm의 실리콘 food mesh를 깔고 준비한 설기떡 가루를 넣었다. 스패튤라로 윗면을 평평하게 고르게 한 다음 4 cm × 4 cm 칼금을 내어 성형하였다. 뚜껑을 면보로 감싸서 준비하여 떡이 쪄지는 동안 뚜껑에서 수증기가 떨어져 떡 표면에 물 내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물이 끓어 김이 오르면 센불에서 10분 가열한 후 불을 끄고 10분 뜸들인 후 실온에서 1시간 식혀 시료로 사용하였다.

Table 1. Preparation of brown rice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OOSHB5_2019_v25n2_105_t0001.png 이미지

1) ACS: acorn powder Sulgidduk

2) Brown rice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0%

3) Brown rice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5%

4) Brown rice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10%

5) Brown rice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15%

3. 수분함량 측정

수분함량 측정은 AACC(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2000) method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시료 각 1 g을 할로겐 수분분석기(Moisture Analyzer, MB-45, Ohaus, Switzland)로 105oC에서 1시간 가열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은 3회 반복한 후 평균값으로 나타냈다.

4. DPPH free radical 소거능 측정

DPPH(2,2-diphenyl-β-picrylhydrazyl) free radical 소거능은 Blios(1958)와 Yoon & Lee(2004)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 3 g을 삼각플라스크에 측량하고 95% 에탄올 27 mL를 가하여 shaking in-cubator에서 160 rpm으로 12시간 추출하여 만든 여과액을 원심분리(10,000 rpm, 10분)하여 분리된 상등액을 시료액으로 사용하였다. 시험관에 시료액 1.0 mL를넣고 0.6 mM 농도의 DPPH(Sigma-Aldrich, Saint Louis, USA) 용액 1.0 mL를 가하여 30분간 암소에 방치한 후 spectrophotometer(Shimadza, UV mini 1240, Tokyo, Japan)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다음의 공식으로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산출하였다.

\(DPPH~free~radical~소거능(\%) =(1–A^{1)}/B^{2)})×100\\ 1)~A: 실험구~흡광도\\ 2)~B: 대조구~흡광도\)

5. ABTS free radical 소거능 측정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acid) free radical 소거능은 Dewanto 등(2002)의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ABTS(Sigma-Aldrich, Saint Louis, USA) 7.4 mM과 potassium persulfate 2.7 mM을 혼합하고 하루 동안 암소에 방치하여 ABTS 양이온을 형성시킨 용액을 735 nm에서 흡광도 값이 0.8∼1.0이 되도록 희석하였다. 희석한 ABTS 용액에 동량의 시료를 넣고 5∼10분이 경과한 후 73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값을 대조군과 비교하여 ABTS free radical 소거능으로 하였고,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냈다.

\(ABTS~free~radical~소거능(\%) = (1–A^{1)}/B^{2)})×100\\ 1)~A: 실험구~흡광도\\ 2)~B: 대조구~흡광도\)

6. 색도 측정

설기떡 재료와 설기떡의 색도는 색도계 spec-trocolorimeter(Minolta CR-170, Tokyo, Japan)를 사용하여 명도(L, lightness), 적색도(a, redness), 황색도(b, yellowness) 값을 각각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냈다. 표준백색판(Calibration palate CR-A43, Tokyo, Japan)의 값은 명도 94.50, 적색도 0.3032, 황색도 0.3193이었다.

7. 조직감 측정

조직감은 rheometer compac-100(SUN Scientific Co., LTD, Tokyo, Japan)으로 측정하였으며, 4 cm × 4 cm×2.8 cm 크기의 시료를 3회 반복 측정한 후 평균값으로 나타냈다. 측정항목은 경도, 응집성, 씹힘성, 탄력성으로, 조직감 측정을 위한 texture analyser의 조건은 test speed 100 mm/min, trigger force 3 kgf, sample diameter 40 mm, sample height 28 mm, sample compress 50%였다.

8. 관능검사

관능검사는 실온에서 1시간 방냉한 설기떡을 사용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목적과 설기떡의 관능적 품질요소를 설명한 후 실시하였다. 시료는 흰색 접시에 제공하였고, 평가항목은 색, 향, 고소한 맛, 촉촉함, 씹힘성, 전반적 기호도로 7점 채점법으로 평가하였다.

9. 통계

결과는 SPSS(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12.0 for window, SPSS Inc., IL, USA) package를 이용하였고, ANOVA 분산분석과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 검정은 P<0.05 수준으로 하였다.

결과

1. 설기떡 재료의 수분함량, 항산화성(DPPH free radical 소거능, ABTS free radical 소거능) 및 색도

설기떡 재료의 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Table 2) 현미가루는 34.58%, 도토리분말은 11.72%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현미가루는 10.39%, 도토리분말은 41.77%였다. ABTS free radical 소거능은 현미가루는 5.91%, 도토리분말은 56.07%로 높아 기능성 식재료써의 활용 가능성을 보였다. 현미가루 및 도토리분말의 명도는 각각 61.67, 43.41, 적색도는 각각 0.61, 3.05, 황색도는 각각 8.36, 14.82였다.

2. 설기떡의 수분함량, 항산화성(DPPH free radical 소거능, ABTS free radical 소거능)

설기떡의 수분함량과 항산화성 조사 결과(Table 3) 수분함량은 대조군이 35.62%, 도토리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5% 첨가군과 10% 첨가군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37.17∼39.50%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대조군이 10.03%, 도토리분말 첨가량 증가에 따라 각각 16.15%, 21.19%, 28.06%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ABTS free radical 소거능은 대조군이 7.92%, 첨가군은 각각 22.98%, 34.54%, 42.81%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Table 2. Moisture contents, DPPH an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Hunter’s color value of Sulgidduk ingredients.

OOSHB5_2019_v25n2_105_t0002.png 이미지

1) DPPH: 2,2-diphenyl-β-picrylhydrazyl

2)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acid

3) L: lightness, a: redness, b: yellowness

Table 3. Moisture contents, DPPH an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OOSHB5_2019_v25n2_105_t0003.png 이미지

1) DPPH: 2,2-diphenyl-β-picrylhydrazyl

2)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acid

3) ACS: acorn powder sulgidduk

4) Brown rice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0%

5)a∼d Means in a column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level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6) Brown rice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5%

7) Brown rice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10%

8) Brown rice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15%

3. 설기떡의 색도

설기떡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Table 4) 명도는 대조군이 59.50, 도토리분말 첨가군의 경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41.68∼37.41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대조군이 1.22, 첨가군은 4.67, 7.96, 8.25로 10% 첨가군과 15% 첨가군 간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전체적으로 시료 간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황색도는 대조군이 14.27이었고, 첨가군은 15.77∼19.68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Table 4. Hunter’s color value of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OOSHB5_2019_v25n2_105_t0004.png 이미지

1) L: lightness, a: redness, b: yellowness

2) ACS: acorn powder sulgidduk

3) Brown rice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0%

4)a∼d Means in a column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level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5) Brown rice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5%

6) Brown rice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10%

7) Brown rice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15%

4. 설기떡의 물성

설기떡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Table 5) 도토리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와 씹힘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응집성의 경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탄력성은 대조군과 5% 첨가군의 경우 유의적 차이가 없었고, 10% 첨가군과 15% 첨가군에서도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전체적으로는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Table 5. Texture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OOSHB5_2019_v25n2_105_t0005.png 이미지

1) ACS: acorn powder sulgidduk

2) Brown rice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0%

3)a∼d Means in a column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level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4) Brown rice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5%

5) Brown rice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10%

6) Brown rice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15%​​​​​​​

5. 관능검사

설기떡의 관능검사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색은 도토리분말 10% 첨가군이 5.29로 가장 높았고, 5% 첨가군이 4.71로 다음으로 높았다. 향은 10% 첨가군이 4.94로 가장 높았고 15% 첨가군이 가장 낮았다. 고소한 맛은 10% 첨가군이 5.65로 높이 평가되었으며 시료간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촉촉함에서도 10% 첨가군이 5.53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대조군 순이었으며, 씹힘성은 10% 첨가군 5.35, 대조군 4.76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반적 기호도는 10% 첨가군 5.76, 5% 첨가군 4.82 순이었다.

Table 6. Sensor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OOSHB5_2019_v25n2_105_t0006.png 이미지

1) ACS: acorn powder sulgidduk

2) Brown rice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0%

3) Rating scale: 1(very bad) to 7(very good)

4)a∼d Means in a column by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level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5) Brown rice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5%

6) Brown rice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10%

7) Brown rice Sulgidduk added with acorn powder 15%​​​​​​​

고찰

설기떡 제조에 백미가루 대신 현미가루를 사용하였고, 부재료로 항산화성이 있는 도토리분말을 첨가(0%, 5%, 10%, 15%)해 기능성을 가진 현미설기떡을 제조하여 수분함량, 항산화성, 색도, 물성 및 관능검사 등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도토리분말의 수분함량은 11.72%로 이는 Lee(2011)의 연구결과 11.28%, Shim 등(2004)의 연구결과 10.57%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도토리분말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41.77%로 방풍나물 설기떡 연구(Kim 2018)에서 방풍나물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이 45.31%로 나타나 유사한 값을 보였다. 설기떡의 수분함량은 도토리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도토리 다식 연구(Lee & Yoon 2006)와 도토리 첨가 설기떡 연구(Woo 등 2016), 도토리분말 첨가 쿠키 연구(Joo 등 2013)에서 도토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이 증가한 것과 동일하였다. Kim 등(2012)의 연구에서 도토리가루의 식이섬유가 수분결합력이 커서 보수성을 갖기 때문에 도토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을 보유한다는 연구결과와 경향이 일치하였다. 또한 부재료의 첨가가 많아질수록 수분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는 다시마 설기떡(Cho & Hong 2006), 차수수가루 설기떡(Chae & Hong 2006) 연구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그러나 일부 연구들(Park 등 2010; Jhee 2010; Zhang 등 2016)에서는 부재료의 첨가로 수분함량이 감소한다고 하여 다른 결과를 보였다.

한편 설기떡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과 ABTS free radical 소거능은 대조군에 비해 도토리분말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도토리분말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 및 ABTS free radical 소거능에 의해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설기떡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 및 ABTS free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도토리분말 쿠키 연구(Joo 등 2013)에서도 도토리분말 첨가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이 유의적으로 높았다고 하여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도토리의 항산화능에 관한 연구들(Lee 등 1992: Shim 등 2004; Jung 등 2007)에서 도토리의 항산화 성분이 DPPH 분자 내의 free radical을 환원시켜 높은 소거능을 나타낸다고 하여 이러한 항산화성을 가진 도토리분말을 현미설기떡에 첨가하는 것은 매우 유익할 것으로 생각된다. 부재료를 첨가한 설기떡 연구들(Chung 등 2017; Kong 2010; Choi 등 2013; Kim 등 2013; Kim 등 2016b)에서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이 있는 부재료의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제품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설기떡의 색도 측정 결과 명도는 도토리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적색도 및 황색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도토리분말 설기떡(Woo 등 2016)의 연구에서도 명도는 감소하고 황색도가 증가한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와 같았다. 이는 도토리분말이 특유의 갈색을 띠고 있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색이 어두워지는 영향으로 생각된다. 부재료 첨가 설기떡의 색도 측정 결과(Kim & Chun 2008; Shin 등 2009; Doo & Shim 2010)에서도 첨가량이 많을수록 명도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첨가하는 부재료가 지닌 자체의 색에 의한 영향(Park 등 2010)으로 첨가 시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 등의 최종 제품의 색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설기떡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도토리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와 씹힘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응집성과 탄력성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도토리 쿠키 연구(Joo 등 2013)에서도 도토리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성은 없었으나 경도가 증가하여 동일한 결과를 보였고, 도토리가루 첨가 현미증편에 관한 연구(Jeong & Lee 2013)와 도토리가루 첨가 수제비에 관한 연구(Lee 2011)에서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가 증가하여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분말형태의 부재료를 첨가한 연구들(Lee & Baek 2004; Yoon & Lee 2004; Jhee 2010; Choi 등 2013; Ahn & Lee 2014)의 결과를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부재료 첨가량 증가에 따라 경도가 증가한다고 하여 결과가 동일하였다. 그러나 다른 연구(Park 등 2012; Kim 등 2013; Choi & Choi 2018)에서는 부재료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가 감소한다고 하여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였다. 도토리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응집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이는 도토리가루를 첨가한 수제비 연구(Lee 2011)에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응집성이 감소한다는 결과와 설기떡 관련 연구들(Hyun 등 2008; Cho & Kim 2015; Ahn 2017)에서 부재료의 첨가로 응집성이 감소하였다는 결과와 동일하였다. 도토리분말 첨가량 증가로 탄력성은 유의적으로 감소하고 씹힘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호박잎분말 설기떡 연구(Song 등 2016)에서 경도와 씹힘성이 증가한 결과, 홍삼분말 설기떡 연구(Shin 등 2009)에서 씹힘성과 탄력성이 증가한 결과, 탈지대두분말 설기떡의 씹힘성과 탄력성에 변화가 없었다는 결과(Jhee 2010), 양배추분말 설기떡 연구(Yang 2009) 및 보리가루 첨가 설기떡 연구(Joung 2008) 등에서 첨가량 증가에 따라 응집성과 탄력성이 감소한다는 결과를 볼 때 부재료의 식품학적 특성이 최종 제품의 경도, 응집성, 탄력성, 씹힘성 등 물성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설기떡의 관능검사 결과 색은 도토리분말 10% 첨가군이 5.29로 높았고, 향, 고소한 맛, 촉촉함, 씹힘성, 전반적 기호도도 10% 첨가군이 대조군이나 다른 첨가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10% 첨가군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부재료의 첨가량이 적을 경우 부재료 첨가에 의한 관능특성이 비교적 약하고, 첨가량이 많을 경우 부재료 자체의 관능특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도토리가루를 첨가한 현미증편 연구(Jeong & Lee 2013)에서도 도토리가루를 0∼12% 첨가하였을 때 9% 첨가군이 좋은 평가를 보였으며, 도토리 쿠키 연구(Joo 등 2013)에서도 도토리분말을 0.5∼5% 첨가하였을 때 3% 첨가군이 좋은 평가를 보였다. 또한 도토리 수제비와 도토리 베이커리 연구(Lee 2011)에서도 0∼15% 첨가군 중 10% 첨가군의 관능검사가 좋은 결과를 보였다. 자색양파 설기떡 연구(Hwang 2013)에서는 9%, 치아시드 설기떡 연구(O 등 2017)의 경우 5%, 쇠비름 설기떡(Jeon & Kim 2016)은 3%를 첨가한 경우 관능검사 결과가 좋아 부재료를 중간 비율로 첨가할 때 평가가 좋았으며, 부재료의 관능 특성이 최종 제품의 최적 혼합비율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미설기떡 제조 시 도토리분말 10% 첨가가 가장 적절한 혼합비율로 나타났다.

요약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설기떡의 주재료로 현미가루를 사용하고 부재료로 항산화성이 있는 도토리분말을 첨가(0∼15%)해 기능성을 가진 현미설기떡을 제조하여 수분함량, 항산화성, 색도, 물성, 관능특성 등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설기떡 재료의 수분함량은 현미가루 34.58%, 도토리분말 11.72%이며,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현미가루 10.39%, 도토리분말은 41.77%였다. ABTS소거능은 현미가루 5.91%, 도토리분말은 56.07%였다. 현미가루 및 도토리분말의 명도는 각각 61.67, 43.41, 적색도는 각각 0.61, 3.05, 황색도는 각각 8.36, 14.82였다.

2. 설기떡의 수분함량은 대조군이 35.62%였고, 도토리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37.17∼39.50%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대조군이 10.03%, 도토리분말 첨가량 증가에 따라 각각 16.15%, 21.19%, 28.06%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ABTS free radical 소거능은 대조군이 7.92%, 첨가군은 각각 22.98%, 34.54%, 42.81%로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3. 설기떡의 명도는 대조군이 59.50, 도토리분말 첨가군의 경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41.68∼37.41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대조군이 1.22, 첨가군은 4.67∼8.25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황색도는 대조군이 14.27이었고, 첨가군은 15.77∼19.68로 증가하였다.

4. 설기떡의 물성은 도토리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와 씹힘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응집성과 탄력성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5. 설기떡의 색은 도토리분말 10% 첨가군이 5.29로 높았고, 향, 고소한 맛, 촉촉함, 씹힘성의 경우 10% 첨가군이 각각 4.94, 5.65, 5.53, 5.35로 다른 첨가군에 비해 관능평가 결과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전반적 기호도에서도 10% 첨가군이 5.76으로 다른 군에 비해 높이 평가되었다.

위의 결과를 보았을 때 설기떡 제조 시 백미가루 대신 현미가루를 첨가하고 도토리분말을 10% 첨가하였을 때 색, 고소한 맛, 전반적 기호도 등 관능특성이 좋았고, 도토리분말 첨가로 항산화성이 높아져 기능성이 강화된 현미설기떡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도토리분말을 첨가함으로써 기호도와 항산화성 등 기능성을 증가시켜 현미설기떡의 가치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항산화성이 있는 도토리분말을 이용하여 다양한 가공식품 및 기능성식품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이를 통해 식품분야에서 도토리분말의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1. Ahn GJ, Lee YJ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different amounts of dried tangerine peel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30(3):284-290 https://doi.org/10.9724/kfcs.2014.30.3.284
  2.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AACC. St. Paul, Minn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https://doi.org/10.1038/1811199a0
  4. Chae KY, Hong J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different amounts of waxy sorghum flour. Korean J Food Cook Sci 22(3):363-369
  5. Cho GS, Kim AJ (2015): Antioxidative activity of sea buckthor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Sulgidduk. Fam Environ Res 53(1):17-27 https://doi.org/10.6115/fer.2015.002
  6. Cho MS, Hong J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by the addition of sea tangle. Korean J Food Cook Sci 22(1):37-44
  7. Choi SH, Moon SJ, Lee MK, Ahn JS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added freeze dried-eggplant powder. J Korean Soc Food Sic Nutr 26(3):421-427 https://doi.org/10.9799/ksfan.2013.26.3.421
  8. Choi SN, Choi EH (201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Cudrania tricuspidata fruit freeze drying powder. J Korean Food Serv Assoc 14(1):131-139
  9. Chung HJ, Cho DW, Park JD, Kweon DK, Lim ST (2012): In vitro starch digestibility and pasting properties of germinated brown rice after hydrothermal treatments. J Cereal Sci 56(2):451-456 https://doi.org/10.1016/j.jcs.2012.03.010
  10. Chung NY, Jeong YJ, Lee MH, Shin MH (2017): Study of quality of wheat flour Dasik added with fermented black rice bran powder. J Korean Food Serv Assoc 13(4):183-193
  11. Dewanto V, Wu X, Adom KK, Liu RH (2002):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10):3010-3014 https://doi.org/10.1021/jf0115589
  12. Doo HJ, Shim J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rice Sulgiddeok with black garlic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6(6):677-684
  13. Hwang S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steamed rice cake containing different amount of red onion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20(4):488-494 https://doi.org/10.11002/kjfp.2013.20.4.488
  14. Hyun YH, Nam HW, Pyun JW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prepared glutinous corn flou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3):293-299
  15. Jeon MR, Kim MR (2016):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Portulaca olerace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10):1447-1452 https://doi.org/10.3746/jkfn.2016.45.10.1447
  16. Jeong SY, Lee MK, Gwak JS, Lee SY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brown rice Jeung-pyun dough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acorn flour. Korean J Food Preserv 23(3):445-452 https://doi.org/10.11002/kjfp.2016.23.3.445
  17. Jeong SY, Lee SY (2013):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y and anti-oxidation of brown rice Jeung-pyun dough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acorn flour. Korean J Food Cook Sci 29(6):749-760 https://doi.org/10.9724/kfcs.2013.29.6.749
  18. Jhee OH (2010): A study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Sulgidduk added with defatted soy flour. Culin Sci Hosp Res 16(2):342-350 https://doi.org/10.20878/cshr.2010.16.2.023023023
  19. Joo SY, Kim OS, Jeon HK, Choi HY (2013):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acorn(Quercus species)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9(2):177-184 https://doi.org/10.9724/kfcs.2013.29.2.177
  20. Joung H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eksulgi with added barley powder. J East Asian Soc Diet Life 18(6):974-980
  21. Jung MJ, Heo SI, Wang MH (2007): Comparative studies for component analysis in acorn powders from Korea and China. Korea J Pharmacogn 38(1):90-94
  22. Kim BW, Yoon SJ, Jang MS (2005): Effects of addition Baekbokryung(White Poria cocos Wolf)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Korean J Food Cook Sci 21(6):895-907
  23. Kim CH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lgiddeok with radish (Raphanus sativus L.)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31(3):318-327 https://doi.org/10.9724/kfcs.2015.31.3.318
  24. Kim CH, Lee JH (2007): The study on the consumers' perception and purchasing behavior of rice cake as a meal. Korean J Culin Res 13(2):59-68
  25. Kim DH, Cho JS, Park JH, Kim JH, Moon KD (2016a):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eamed rice cake with Schisandra chinensis powder or extract added prior to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23(7):923-930 https://doi.org/10.11002/kjfp.2016.23.7.923
  26. Kim HK, Jin HH, Lee MS, Lee S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Corni fructus powder. Food Eng Prog 17(2):105-111 https://doi.org/10.13050/foodengprog.2013.17.2.105
  27. Kim KH, Kim YS, Hong MS, Yook HS (2016b): Quality characteristics of meringue cookies added with tomato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3):366-371 https://doi.org/10.3746/jkfn.2016.45.3.366
  28. Kim MA (2018): The study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ucedanum japonicum powder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the powder. Masters degree thesis. Woosuk University. pp.18-19
  29. Kim MY, Chun S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tomato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4(4):412-418
  30. Kim SH, Lee JM (2008): Optimization of hot-water extraction conditions for preparation of polyphenol and gallic acid from Acorn. Korean J Food Preserv 15(1):58-65
  31. Kim SH, Lee WK, Choi CS, Cho SM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with added acorn jelly powder and acorn ethanol extract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3):369-375 https://doi.org/10.3746/jkfn.2012.41.3.369
  32. Kim YY, Cho HJ (2000): A study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Dotoridduck added with acorn jelly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16(3):260-266
  33. Kong SH (2010): Antioxidants in milling fractions from black ri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functional noodles containing black rice bran. Master degree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pp.3-11
  34. Lee HG, Baek HN (2004): Sensory and texture properties of Neuti-dduk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s. Korean J Food Cook Sci 20(1):49-56
  35. Lee JM, Kim SH (2008): Antioxidant properties of acorn hot-water extract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Preserv 15(1):111-117
  36. Lee MH, Jeong JH, Oh MJ (1992): Antioxidative activity of gallic acid in acorn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6):693-700
  37. Lee MY, Yoon SJ (2006): The quality properties of Dotoridasik with added acorn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2(6):849-854
  38. Lee SA (2011): Physiologic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jebi and bakery products(white pan bread, Yellow layer cake) added acorn powder. Doctor degree thesis. Sejong University. pp.5-13
  39. Lee SH, Kim DI, Cho SY, Jung HJ, Cho SM, Park HJ, Lillehoj HS (2005): Effects of acorn (Quercus acutissima CARR.) supplementation on the level of acetylcholine and Its related enzyme activities in the brain of dementia mouse mod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5):738-742 https://doi.org/10.3746/jkfn.2005.34.5.738
  40. Lee SY, Lee JS, Park SK (2013): Effects of acorn powder on lifespan and a resistance to oxidative stress in Caenorhabditis elega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5):670-674 https://doi.org/10.3746/jkfn.2013.42.5.670
  41. Lee WK, Kim SH, Choi CS, Cho SM (2012): Study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hardtack added with acorn jelly powder and acorn ethanol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3):376-382 https://doi.org/10.3746/jkfn.2012.41.3.376
  42. Nam S, Kwon YR, Youn KS (201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corn (Quercus acutissima Carr.) tea depending on steaming and hot-air drying treatments. Korean J Food Preserv 24(1):21-26 https://doi.org/10.11002/kjfp.2017.24.1.21
  43. O HB, Choi BB, Kim YS (2017):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ulgidduk (Rice Cake) added with Chia (Salvia hispanica L.) seed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6(1):61-67 https://doi.org/10.3746/jkfn.2017.46.1.061
  44. Park KS, Jang JO, Yoon HK, Kim HR (2010):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Cheongkukjang powder. Culin Sci Hosp Res 16(3):250-258 https://doi.org/10.20878/cshr.2010.16.3.017017017
  45. Park YM, Kim MH, Yoon H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ck added with purple sweet potato. Culin Sci Hosp Res 18(1):54-64 https://doi.org/10.20878/cshr.2012.18.1.005005005
  46. Seo KM, Chung Y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turmeric powder. J East Asian Soc Diet Life 24(2):201-207
  47. Shim TH, Kim YS, Sa JH, Shin IC, Heo SI, Wang MH (2004): Studies for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tive evaluation in acorn powd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5):800-803
  48. Shin MH, Chung NY (2018): Quality evaluation of brown rice Sulgidduk added with fermented black rice bran powder. J Korean Food Serv Assoc 14(3):41-50
  49. Shin SM, Jung JS, Han MR, Kim AJ, Kim YH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containing added red Ginseng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5(5):586-592
  50. Song KY, O HB, Zhang YY, Joung KY, Kim YS (2016): Effects of pumpkin (Cucurbita moschata Duch.) leaf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ies, and retarding retrogradation by shelf-life of Sulgidduck (Rice Cak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12):1792-1798 https://doi.org/10.3746/jkfn.2016.45.12.1792
  51. Woo SY, Lee HS, Hong JY, Shin SR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kdduk added acorn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23(4):510-515 https://doi.org/10.11002/KJFP.2016.23.4.510
  52. Yang MO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cabbage powder. J East Asian Soc Diet Life 19(5):729-735
  53. Yoo SS, Ko S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beet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30(2):119-128 https://doi.org/10.9724/kfcs.2014.30.2.119
  54. Yoon SJ, Lee MY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concentrations of Hericium erinaceus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0(6):575-580
  55. Yu HN, Song JH, Kim MR (2017):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ulgidduk added with almond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6(7):809-815 https://doi.org/10.3746/JKFN.2017.46.7.809
  56. Zhang YY, Kim JH, Song KY, O HB, Kim YS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ulgidduck with Asparagus (Asparagus officinalis L.) powder. J East Asian Soc Diet Life 26(1):63-72 https://doi.org/10.17495/easdl.2016.2.26.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