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and Distribution between Self-Esteem and Differentiation of Self of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자아분화간의 관계성과 분포

  • 이미영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 Received : 2019.02.22
  • Accepted : 2019.03.11
  • Published : 2019.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ifferentiation of self, and to identify the degree of self-esteem and differentiation of self. Data were collected from 151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differentiation of self was classified into differentiation of internal mind, other's and self oriented. Self-esteem was classified into isolation, achievement, relation, and daunted. Second,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was obvious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the differentiation of self. Third,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37.6% of children belonged to cluster 2 with achievement and relation patterns and self-oriented differentiation. Forty-three percent were belonged to cluster 1 with isolated and daunted self-esteem as well as internal mind and other's oriented differentiation. In cluster 3, 19.4% were belonged and their levels of self-esteem and the differentiation of self were very low. Findings indicate that for those children belonged to cluster 1 and 3, programs to raise the self-esteem of children and parental education are needed.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을 중심으로 자아존중감과 자아분화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자아존중감과 자아분화 분포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 15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에는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군집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분석 결과, 자아분화는 정신내적미분화, 타인지향분화, 자아지향분화로 구성되었다. 자아존중감은 소외적, 성취적, 관계적, 위축적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아분화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자아분화를 고려한 아동분포를 살펴보면 37.6%(군집 2)의 아동은 성취적, 관계적 자아존중감이 높고, 자아지향분화 수준도 높았으나, 43.0%(군집 1)의 아동은 소외적, 위축적 성향과 정신내적미분화와 타인지향분화 수준이 높았고, 19.4%(군집 3)의 아동은 자아존중감과 자아분화 수준 모두 매우 낮았다.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다수가 가족해체나 부모역할 부재로 상실감을 경험했다는 점을 고려하여 군집 1과 3의 아동을 위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뿐 아니라 부모교육 및 가족연계 프로그램을 병행 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표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CCTHCV_2019_v19n4_282_t0001.png 이미지

표 2. 자아분화 차원

CCTHCV_2019_v19n4_282_t0002.png 이미지

표 3. 자아존중감 유형

CCTHCV_2019_v19n4_282_t0003.png 이미지

표 4. 자아존중감이 자아분화에 미치는 영향

CCTHCV_2019_v19n4_282_t0004.png 이미지

표 5. 자아존중감 및 자아분화 수준별 아동 분포: 군집분석

CCTHCV_2019_v19n4_282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2017년 12월말 기준 전국 지역아동센터 통계조사 보고서, 보건복지부, 2018.
  2. 보건복지부, 전국 지역아동센터 실태조사 보고서, 보건복지부, 2016.
  3. 정영숙, 아동복지론, 경북: 대구대학교 출판부, 2015.
  4. 김현정, 최은영,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부모자녀관계, 사회적 자본, 자아존중감: 통합연구방법의 적용,"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1호, pp.239-267, 2014.
  5. 박시혜자, 송승민, 이유현, "무상급식 수혜대상인 빈곤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비빈곤아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2권, 제3호, pp.407-416, 2011. https://doi.org/10.7856/kjcls.2011.22.3.407
  6. 정영숙, 홍명선, "청소년이 인지한 부모갈등차원이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재활심리연구, 제20권, 제2호, pp.273-288, 2013.
  7. 권혜진, 성미영,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제52권, 제4호, pp.395-403, 2014. https://doi.org/10.6115/fer.2014.034
  8. 손병덕, 허계형, "방임.학대 경험아동의 성취가치와 자기관리 형성이 학업성취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9호, pp.305-323, 2016.
  9. 정선아, 하양숙, "한부모 가정 초등학생을 위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227-23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227
  10. D. G. Knauth, E. A. Skowron, and M. Escobar, "Effect of differentiation of self on adolescent risk behavior: Test of the theoretical model," Nursing Research, Vol.55, pp.336-345, 2006. https://doi.org/10.1097/00006199-200609000-00006
  11. M. Bowen,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Jason Aronson, 1982.
  12. 이혜순, "청소년의 자아분화 수준 및 가족기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제16권, 제4호, pp.297-303, 2010.
  13. 김희숙, 박경란, 김판희,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의사소통 능력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제20권, 제4호, pp.414-422, 2011.
  14. 김갑숙, 전영숙, 이철우, "청소년의 부모 애착, 자아분화,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제17권, 제1호, pp.209-224, 2009.
  15. 이혜순, "청소년의 자아분화수준 및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333-34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333
  16. 전미경, 김민숙, "일 간호 대학생의 부모-자녀 간의사소통, 자아분화, 자아존중감 및 생활스트레스," 디지털정책연구, 제11권, 제4호, pp.293-302, 2013.
  17. 박영준, 이정숙,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차별경험, 행복감 및 자아존중감과의 인과관계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0권, 제1호, pp.31-52, 2016.
  18. M. Rogenberg,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19. M. P. Nichols, The essentials of family therapy(6th Eds.), New Jersey: Pearson, 2013.
  20. 이은진, "행동수정요법이 비행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금연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64-72, 2005.
  21. 이혜경, 이은희, "부모의 자아분화 수준과 자녀의 문제행동과의 관계에서 갈등대처행동과 부부갈등의 매개역할," 한국청소년연구, 제22권, 제3호, pp.43-68, 2011.
  22. 이혜순, "청소년의 자아분화수준,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 간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제20권, 제2호, pp.199-207, 2011.
  23. 배미예, 이은희,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대인관계 및 우울불안 간의 관계: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연구, 제20권, 제1호, pp.85-112, 2009.
  24. E. A. Skowron, "The role of differentiation of self in marital adjust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7, pp.229-237, 2000. https://doi.org/10.1037/0022-0167.47.2.229
  25. 김미현, 김명식, "보건계열 여학생의 성인애착이 우울, 자아존중감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논총, 제29권, 제1호, pp.23-37, 2014.
  26. 정성경, 남상인,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아존중감 및 의사결정 유형과의 관계," 상담학연구, 제6권, 제4호, pp.1119-1127, 2005.
  27. 심혜숙, 정경연, "아동의 자아분화가 불안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8권, 제1호, pp.285-297, 2007. https://doi.org/10.15703/KJC.8.1.200703.285
  28. M. Rosenberg,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 1979.
  29. L. Hartz and L. Thick, "Art therapy strategies to raise self-esteem in female Juvenile offenders: A comparison of art psychotherapy and art as therapy approaches," Art Therapy: Journal of the American Art Therapy Association, Vol.22, No.2, pp.70-80, 2005. https://doi.org/10.1080/07421656.2005.10129440
  30. 이소미, 고영건, "자아분화가 결혼적응에 미치는 효과-갈등대처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28권, 제3호, pp.643-658, 2009.
  31. 장성화, 김순자, 최성열, 이주연,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제22권, 제4호, pp.243-256, 2013.
  32. 김민정, 이기학, "자존감 불안정성, 자존감 수준, 방어성에 따른 자존감 유형 탐색 연구," 상담학연구, 제10권, 제3호, pp.1413-1425, 2009.
  33. 김영옥, 김성희, "가정폭력 노출 아동용 자아존중감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초등교육연구, 제26권, 제3호, pp.43-68, 2013.
  34. 임구원, "저소득층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스트레스와의 관계 연구," 아동보호연구, 제2권, 제2호, pp.1-26, 2017.
  35. 주소희, 이경은,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정서적 고립 및 소외와의 관련성 연구," 사회과학담론과 정책, 제7권, 제1호, pp.45-64,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