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Family Interaction, Parenting Efficacy, an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Their Children

부·모의 가족상호작용과 양육효능감,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 박성혜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학과) ;
  • 김은향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 Received : 2019.01.19
  • Accepted : 2019.04.16
  • Published : 2019.04.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parents' family interaction, parenting efficacy, and chil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Methods: 1,418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survey data from a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2014), were used to analyz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 First, the mother's family interaction had direct influence on their parenting efficacy, as well as their child's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Second, the father's family interaction had a direct influence only on the internal problem behaviors of the child, and child external problem behaviors were influenced through the father's parenting efficacy. Third, parenting efficacy mediated the effects of family interaction on the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Especially, the father's family interaction was found to affect child variables through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Finally, the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the child mediated the effects of the parents' family interaction and parenting efficacy on chil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 factors of father, mother, and child are interrelated, and that parent interaction has varying influence on the problems of their children.

Keywords

BOJGB2_2019_v15n2_59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연구모형 분석결과

BOJGB2_2019_v15n2_59_f0003.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표 4. 측정변인의 하위요인별 신뢰도 계수

BOJGB2_2019_v15n2_59_t0001.png 이미지

표 3. 측정 모형의 전반적 적합도 지수

BOJGB2_2019_v15n2_59_t0003.png 이미지

표 4.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집중타당성 검증 결과

BOJGB2_2019_v15n2_59_t0004.png 이미지

표 2.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BOJGB2_2019_v15n2_59_t0008.png 이미지

표 5. 요인 간 상관계수 및 판별타당성 검증 결과

BOJGB2_2019_v15n2_59_t0009.png 이미지

표 6. 연구변인들 간의 경로계수

BOJGB2_2019_v15n2_59_t0010.png 이미지

표 7. 연구변인들 간의 직·간접 및 총효과

BOJGB2_2019_v15n2_59_t0011.png 이미지

References

  1. 강수경, 최혜정, 정미라 (2018). 부부관계의 질,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단기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1(1), 111-128.
  2. 권수진, 이지영 (2017).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가족상호작용, 양육스트레스 및 어머니-유아 상호작용간의 구조적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9(4), 121-142.
  3. 권정미, 이진숙 (2015). 기혼취업여성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 보육서비스유형과 출산 및 양육지원제도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6(4), 507-533.
  4. 권정윤, 정미라, 박수경, 이방실 (2013). 만 2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영유아보육학, 77, 179-201.
  5. 금주희, 양연숙 (2017). 부모의 부부공동양육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주의집중과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론문집, 35(2), 213-238.
  6. 김연, 한태숙, 황혜정 (2004). 유아의 정서지능, 인지능력, 기질과 문제행동의 관계성 및 영향력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4(6), 277-299.
  7. 김정주, 김용미 (2008).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일반적 특성, 어머니 결혼만족도가 아버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54(9), 269-287.
  8. 김지현, 이지민 (2011). 어머니 양육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모역할만족도와 결혼만족도의 구조모형검증. 아동복지연구, 9(1), 19-38.
  9. 김희태, 김정림, 이임순, 남연정 (2014). 유아의 부정적인 또래상호작용 행동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구조분석. 유아교육연구, 34(2), 29-48. doi:10.18023/kjece.2014.34.2.002
  10. 김희태, 이임순 (2009). 가족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과 또래 유능성.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1), 1-21.
  11. 문은영, 서영주 (2011). 서울시 30,40대 자녀양육 남성근로자의 일과 가족생활 양립현황 및 문제점. 서울: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12. 박수빈, 김희화 (2012).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과 자녀가치관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50(5), 79-89. doi:10.6115/khea.2012.50.5.079
  13. 방은정, 성지현 (2013). 어머니의 양육신념, 양육효능감, 유아의 자아존중감의 관계연구 - 내국인 어머니와 중국계 이주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6(2), 107-125.
  14. 서석원, 이대균 (2014).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의 사회적 기원 및 심리적 특성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8(2), 135-158.
  15. 송민영 (2018). 아버지의 양육효능감,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가족상호작용, 자녀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10(1), 139-162.
  16. 신숙재 (1997).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 효능감이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양명숙, 한영숙 (2007). 청소년 전환기 아동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 및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8(1), 351-363. doi:10.15703/kjc.8.1.200703.351
  18. 양진희 (2016).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의 가족 상호작용, 온정적 양육방식, 우울 간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분석. 유아 교육학논집, 20(4). 409-433.
  19. 연은모, 최효식 (2014). 영유아 자녀를 둔 아버지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잠재적 유형과 양육참여, 양육태도, 자녀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간의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4), 229-251.
  20. 오경자, 김영아 (2008). CBCL 1.5-5 유아 행동평가척도-부모용 매뉴얼. 서울: 휴노컨설팅.
  21. 오미연 (2005).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 양육지식 및 민감성의 비교연구-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우종필 (2012).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 Amos 4.0-20.0 공용.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23. 육아정책연구소 (2016). 한국아동패널연구 2014 보고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4. 이경숙, 신의진, 전연진, 박진아 (2004). 한국 유아 행동문제의 경향과 특성: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4), 53-73.
  25. 이순묵 (2000). 요인분석의 기초. 서울: 교육과학사.
  26. 이영진, 장은미 (2018).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가족 상호작용, 결혼 만족도, 부부 갈등과 아버지 행복감의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10(3), 101-122.
  27. 이정순 (2003).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부부관계, 부모성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4(3), 99-108.
  28. 이한나, 한정원 (2017). 부모의 자아존중감과 양육태도가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커플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12), 807-817. doi:10.14257/ajmahs.2017.12.21.
  29. 임현주 (2018). 유아변인, 가족 간 상호작용, 양육변인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5(1), 183-206. doi:10.22155/JFECE.25.1.183.206
  30. 장석경, 이지현 (2008). 아버지의 부모효능감과 양육참여도에 따른 유아기 자녀의 자기능력에 대한 지각. 열린유아교육연구, 13(2), 73-89. doi:10.5762/KAIS.2014.15.5.2678
  31. 전귀연, 최보가 (1995). 가족응집성이 청소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3(1), 83-97.
  32. 전홍주, 조수경, 김미정, 최항준 (2014). 아버지 자녀가치, 양육신념, 양육참여가 영아발달특성 변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5), 2678-2688. https://doi.org/10.5762/KAIS.2014.15.5.2678
  33. 정미라, 강수경, 김민정 (2015). 6개월 영아 어머니의 부부관계 질, 양육지식, 양육효능감과 영아발달 간의 구조적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1), 1-24.
  34. 정승아, 이수진 (2016). 학령 초기 내재화 문제행동의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 인성과 부모양육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5(2), 499-518. doi:10.15842/kjcp.2016.35.2.009
  35. 조준오, 탁정화 (2015). 유아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기능성, 어머니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 간의 구조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4), 443-468.
  36. 차기주, 김민정, 정미라 (2016). 영아기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영아발달 간의 관계: 어머니의 부모역할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0(99), 111-138.
  37. 최윤희, 문혁준 (2017).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온정적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가족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유아 교육학논집, 21(6). 417-435.
  38. 최은정, 곽은순 (2018). 부모의 양육분담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가 지각하는 가족상호작용의 매개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5(3), 33-56. doi:10.22155/JFECE.25.3.33.56
  39. 최효식, 윤해옥, 연은모 (2016).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긍정적 양육태도,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간 관계에 대한 단기 종단연구: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유아교육학논집, 20(2), 495-517.
  40. 황선실, 황희숙 (2014). 유아기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참여도와의 관계. 인간발달중재학회지, 5(1), 71-93.
  41. 황희숙, 김은희, 주희진 (2012).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공지능과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2), 409-430.
  42. Achenbach, T. M., & Rescorla, L. A. (2000). Manual for the ASEBA preschool forms & profiles.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Research Center for Children, Youth & Family.
  43. Amato, P. R., & Gilbreth, J. G. (1999). Nonresident fathers and children's well-being: A meta-analysi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1(3), 557-573. https://doi.org/10.2307/353560
  44. Bayer, J. K., Sanson, A. V., & Hemphill, S. A. (2006). Parent influences on early childhood internalizing difficultie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7(6), 542-559. doi:10.1016/j.appdev.2006.08.002
  45. Bronfenbrenner, U., & Morris, P. A. (1998). The ecology of developmental processes. In W. Damon & R. M. Lerner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Theoretical models of human development (pp. 993-1028). Hoboken, NJ: John Wiley & Sons Inc.
  46. Coleman, P. K., & Karraker, K. H. (1998).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Developmental review, 18(1), 47-85. doi:10.1006/drev.1997.0448
  47. Gibaud-Wallston, J., & Wandersmann, L. P. (1978).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oronto.
  48. Goldenberg, H., & Goldenberg, I. (2012). Family therapy: An overview. Belmont, CA: Cengage learning.
  49.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a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ition).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ill.
  50. Lutz, M. N., Fantuzzo, J., & McDermott, P. (2002).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al and behavioral adjustment problems of low-income preschool children: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7(3), 338-355. doi:10.1016/S0885-2006(02)00168-0
  51. Michael-Tsabari, N., & Lavee, Y. (2012). Too close and too rigid: Applying the circumplex model of family systems to first-generation family firms.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38, 105-116. doi:10.1111/j.1752-0606.2012.00302.x
  52. Olson, D. H. (2010). FACES IV Manual. Minneapolis, MN: Life Innovations.
  53. Olson, D. H., & Gorall, D. M. (2003).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s. In F. Walsh (Ed.), Normal family processes (pp. 514-547). New York: Guilford.
  54. Parke, R. D. (2002). Fathers and families. In M.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Vol. 3. Being and becoming a parent (2nd ed., pp. 27-73). Hillsdale, NJ: Erlbaum.
  55. Yeung, W. J., Sandberg, J. F., Davis-Kean, P. E., & Hofferth, S. L. (2001). Children's time with fathers in intact famili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3(1), 136-154. doi:10.1111/j.1741-3737.2001.0013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