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of the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술적 사고성향 연구

  • Received : 2019.01.09
  • Accepted : 2019.03.22
  • Published : 2019.03.30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basic pedagogical resources to the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 related educational settings in either constructing educational contents suitable for the students'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or fortifying the disposition required for the students.. A tool of secured validity and reliability has been used to test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for the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Followings are the major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for the subjects. 1.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with the most component ratio for the specialized & meister high school was turned out to be Technological Operating Disposition(TOD). The second most was Technological Planning and Reflecting Disposition(TPRD). Technological Curiosity Disposition(TCD), Technological Problem Identifying and Resolving Disposition (TPIRD), Technological Analyzing Disposition(TAD), Technological Creativity and Expressing Disposition(TCED) were in sequence. 2. In comparing the technological disposi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ith that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the statistical test showed no evidence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 3. Statistical comparison test for the gender difference in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has also been performed for the students of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 The result showed that the magnitude of difference between the component ratio of TCD and TPIRD for the boy students was bigger than that for the girl students. In the TPRD, the component ratio for the disposition of the girl students was bigger than that of the boy students on the other hand. 4. For the comparison test of the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between boys and girls only for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e same different component ratio results as the results of the test for the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5. For the gender difference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 for the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there was no statistical evidence supporting the difference.

이 연구는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 학생들의 기술적 사고성향을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통하여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의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기술적 사고성향에 맞는 교육내용을 구성하거나 필요한 기술적 사고성향을 강화하는데 기초지식을 제공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보된 기술적 사고성향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전국의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 학생 117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 전체 학생의 기술적 사고성향의 구성은 기술적 조작 성향(TOD)을 보이는 학생이 무려 38.9%를 차지할 정도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기술적 계획 및 성찰 성향(TPRD)을 보이는 학생이 22.46%, 기술적 호기심 성향(TCD)이 17.59%, 기술적 문제파악 및 해결 성향(TPIRD)이 10.33%, 기술적 분석 성향(TAD)이 6.49%, 기술적 창의 및 표현 성향(TCED)이 5.04%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고 학생들과 마이스터고 학생들 사이에 기술적 사고성향의 구성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검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특성화고 학생이나 마이스터고 학생 모두 비슷한 구성의 기술적 사고성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셋째,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 전체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기술적 사고성향 구성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검사에서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기할 점은 남학생들의 기술적 호기심 성향(TCD) 구성과 기술적 문제파악 및 해결 성향(TPIRD)이 여학생들 같은 성향 구성 비중 보다 각각 7.4%, 4.4% 가량 더 크게 나타났다. 또 다른 특징은 기술적 계획 및 성찰 성향(TPRD)인데 이 성향에 대해서는 여학생들의 성향 비중이 남학생들의 성향 비중 보다 9.7%나 더 크게 나타났다. 넷째, 특별히 특성화 고교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성별에 따른 기술적 사고성향 구성에 대한 차이 검증에서도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구성의 차이를 보였는데, 앞서의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교 학생들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결과의 거의 같은 비중의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마이스터 고교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성별에 따른 기술적 사고성향 구성에 대한 차이 검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완, 백성윤(1998). 초등수학교육론. 동명사.
  2. 교육인적자원부(2007). 사고력 신장을 위한 ICT활용교육.
  3. 권현진(2005). 기술 관련 전문가의 인식에 기초한 기술적 창조성 모형 개발.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 김선봉(2007). 중학생의 과학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명숙. (2006).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구의 개발 및 양호도 검증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9(1). 89-117.
  6. 김영채(1997). 사고력: 이론, 개발과 수업. 교육과학사.
  7. 성일제(1989). 사고교육의 이론과 실제. 배영사.
  8. 류신영(2007). 프로젝트를 활용한 수업이 수학적 사고력 및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봉주(1968). 과학적 사고력을 기르는 자연과 학습지도. 시청각교육사.
  10. 이경미(2007).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물리 교과 내용이 요구하는 과학적 사고력과 중학생들의 인지 발달 수준과의 관계 분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최동선, 김나라, 김성남(2009). 청소년 생애 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 방안 연구 II (연구보고 09-R19-4).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2. 최완식 외(2010). 중.고등학생의 기술적 사고성향 구성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0(2). 30-57.
  13. 한국교육개발원(1989). 교과별 사고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안 탐색.
  14.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2). 사고력 검사 개발 연구.
  15. Beyer, B. K.(1988). Developing a Thinking Skill Program. Allyn and Bacon.
  16. Chen, D.(1996). Computerization of the education system and its implications for curricula. Position paper. Tel Aviv University School of Education. Center for Technology.
  17. Chen, D. & Stroup, W.(1993). General Systems Theory: Toward a conceptual framework for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for all. Journal for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8. Dewey, J. (1910). How we Think. New York: Free Press.
  19. Facione, P. A. & Facione N. C.(1992).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Inventory. Millbrae, CA: California Academic Press.
  20. Grotzer, T. A. & Bell, B. (1999). Negotiating the funnel: Guiding students toward understanding elusive generative concepts. In L. Hetland & S. Veenema (Eds.) The Project Zero classroom: Views on understanding.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21. Halfin, H. H.(1973). Technology-A process approach. Doctoral dissertation. Morgantown, WV: West Virginia University.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34, 1586-A.
  22. Hill, R. B. & Wicklein, R. C.(1999). A factor anaysis of primary mental processes for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Industrial Teacher Education. 36(2). 83-100.
  23. Hirayama, R. & Kusumi, T.(2005). The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and information monitoring process on the conclusion drawing from contrary information. Annual Meeting of Society of Judgement & Decision Making.
  24. Kuhn, T.(1992).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5. Mioduser, D.(1998). Framework for the study of the cognitive nature and architecture of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and Design. 8(2). 167-184. https://doi.org/10.1023/A:1008824125352
  26. Polya, G.(1980). "On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in High School". S. Krulic & R. E. Reys(Eds.), Problem Solving in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27. Reich, R. B.(1993). The Work of Nations. Random House Inc.
  28. Ruggiero, V. R.(1988). Teaching thinking across the curriculum.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29. Tishman, S. & Andrade, A.(2009). Thinking Dispositions: A review of current theories, practices, and issues. ALPS.
  30. Toffler, A.(1989). The Third Wave. 한국경제신문사.
  31. Wicklein, C. & Rojewski, J.(1999). Toward a "unified curriculum framework" for technology education. Journal of Industrial Teacher Education. 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