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Complementation of Evaluation Area and Content Elements in Electrical,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Subject

중등교사 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 표시과목인 전기·전자·통신의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 개발·보완 연구

  • Received : 2018.11.21
  • Accepted : 2019.03.22
  • Published : 2019.03.30

Abstract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s a key element for 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s qualities of teachers who are in responsible for school education in the fie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ire competent teachers in the teacher appointment exam for the secondary school. This necessity is evident especially for vocational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with the introduction of 2015-revised curriculum based on NCS that separates each three subjects, "Electrical, Electronics Communication" resulting in the change of question mechanism, which requires new designing of assessment and content area. So, this study analyzes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for "Electrical", "Electronics", "Communication", 2015-revised curriculum based on NCS and the development of standards for teacher qualifications and assessment area and evaluation of teaching ability in the subjects of the teacher appointment exam, "Electrical, Electronics Communication" Engineering" in 2009. The assessment area and content elements of "Electrical", "Electronics", "Communication are extracted from the analyzed results and they are verified by experts' consultation and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assessment area and content elements of the "Electrical" subject were designed to evaluate the NCS - based 2015 revised curriculum by presenting the NCS learning module to the evaluation area and content element in the basic subject "Electrical and Electronics Practice". Second, the section of "Electronics" presented the assessment area and content elements applying the Electronic Circuit, basic subject of the NCS and it also added "Electromagnetics", which is the basic part of Electronics in the Applic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assessment. Third, the assessment area and content elements of "Communication" consist of the communication-related practice that is based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Engineering". In particular, "Electrical and Electronics practice" which adds network construction practice and communication-related practice makes it to be able to evaluate the communication-related practical education.

학교 교육의 질은 국가 교육발전의 핵심 요소이다. 이러한 학교 교육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는 교육을 실제로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자질이다. 그러므로 교사를 선발하기 위한 중등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에서 유능한 교원을 임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특성화고등학교 및 산업수요 맞춤형고등학교는 NCS 기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으로 기존의 전기 전자 통신 3과목이 각각 분리됨에 따라 임용시험의 출제 기준이 변화하여 새로운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기, 전자, 통신의 교원 양성기관에 대한 교육과정과 NCS 기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분석 및 2009학년도 개편 중등교사 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 표시과목 전기 전자 통신의 교사 자격 기준 과 평가영역 상세화 및 수업능력 평가연구(김성열, 2018)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전기, 전자, 통신 과목의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내용은 전문가 협의를 통해 검증한 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전기" 과목의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는 "전기전자실습"의 기본이수과목에 NCS 학습 모듈을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로 제시하여 NCS 기반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둘째, "전자" 과목의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는 "전자회로"의 기본이수과목에서 NCS 기초과목인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를 제시하였으며 "전자파응용"과목에서 "전자기학"을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셋째, "통신" 과목의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는 기존의 "전기 전자" 기반에서 시작된 통신 관련 실습을 "통신"과목의 특성에 맞게 구성 하였으며 "전기전자실습"에서 NCS 실무과목인 네트워크 구축 실습과 통신 관련 실습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에 제시하여 통신관련 실무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정진(1995). 안테나공학. 도서출판 동광.
  2. 고덕영(1997). 정보통신기기실험. 학예사.
  3. 고영석, 최영재(2017). 통신 일반. 웅보출판사.
  4. 교육부(2016a). 표시과목 및 기본이수과목 개정. 교육부 고시 제2016-106호
  5. 교육부(2015a).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총론 별책1_총론, 제2015-74호
  6. 교육부(2015b).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별책35_전기전자 교육과정, 제2015-74호
  7. 교육부(2015c).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별책36_정보.통신 교육과정, 제2015-74호
  8. 교육부(2018).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별책35_전기전자 교육과정, 제2018-150호
  9. 김명진(2007). 아날로그 및 디지털 통신 이론. 생능출판사.
  10. 김성열(2009). 2009학년도 개편 중등교사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 표시과목 전기.전자.통신의 교사 자격 기준 개발과 평가영역 상세화 및 수업 능력 평가 연구. 연구보고 CRE 2008-6-35.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11. 김수원(2012)외. 디지털 디자인. 피어슨 에듀케이션.
  12. 김영권 이종남, 최광돈(1995). 광통신공학. 광문각.
  13. 김완태(2017)외. 전기설비. 서울교과서.
  14. 김종오(2017)외. 전기기기. 서울교과서.
  15. 김종오(2014)외. NCS 학습모듈, 배관배선공사(LM1901070102-14v2).
  16. 김종오(2014)외. NCS 학습모듈, 동력설비공사(LM1901070104-14v2).
  17. 김진수(2017)외. 전기전자기초. 웅보출판사.
  18. 김태훈(2017)외. 전기회로. 서울교과서.
  19. 남정권, 우상호, 이용승(2017). 프로그래밍. 웅보출판사.
  20. 류기한(2000). 컴퓨터통신망. 상조사.
  21. 이병규(2017)외. 정보 통신. 서울교과서.
  22. 이상근, 조병렬, 여운영(2008). 3G/4G 이동 통신 시스템. 홍릉과학출판사.
  23. 이채욱(2000). 디지털 신호처리. 청문각.
  24. 이해영(2000). 안테나공학. 한올출판사.
  25. 임석구, 홍경호, 홍흥주(2017). 디지털 논리 회로. 서울교과서.
  26. 정영진(2017)외. 자동화 설비. 서울교과서.
  27. 정원섭(2016)외. 마이크로전자회로. 한티미디어.
  28. 정종호, 이기우, 김동진(2017). 전기.전자 측정. 서울교과서.
  29. 정현기(2010)외. 전자회로. 문운당.
  30. 최경일(1999). 인공위성 통신 시스템. 홍릉과학출판사.
  31. 최연수(2016). NCS에 맞춘 전기설비 제3판. 복두출판사.
  32. 한규환(1998)외. 전기자기학. 광문각.
  33. Mc-Graw-Hill, S. J(2012). Chapman Electric machinery fundamentals.
  34. M. Sadiku Elements of electromagnetics(2015). 진샘미디어.
  35. Prentice Hall, C. L. Phillips, R. D. Harbor Feedback control systems.
  36. Prentice Hall, M. Rashid(2003). Power Electronics.
  37. Wiley, J. D. Irwin(2009). Engineering circuit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