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Organizational Fairness of Court Security Team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Role of Self-Leadership as the Mediator

법원보안관리대의 조직공정성이 셀프리더십을 매개하여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채정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경호보안학과) ;
  • 최연준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 Received : 2019.08.05
  • Accepted : 2019.09.02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organizational fairness of court security team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The data for this research were collected from court security officials located in six metropolitan cities including Seoul from April 1 to May 3, 2019. After discarding thirty-eight cases with missing values and outliers, a total of 402 ca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2 and AMOS 22. The results showed that organizational fairnes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owever, it was found that self-leadership affec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ositively, and organizational fairness had a positive impact on self-leadership. Therefore, organizational fairness had an indirect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The results of current research suggest that the supervisors of the court security teams should consider policy changes for improved treatment and working conditions of the security officials as well as educational programs aimed at promoting self-leadership which is shown to increase with organizational fairness and affec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ositively.

이 연구는 법원보안관리대의 조직공정성이 셀프리더십을 매개하여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조직시민행동을 제고하기 위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4월 1일부터 5월 3일까지 서울특별시 및 전국 6개 광역시 각 법원 소속 보안관리대원의 협조를 받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거된 440부의 자료 중 결측치와 이상치의 38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402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2.0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공정성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직접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공정성은 셀프리더십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공정성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직접효과는 없으며, 셀프리더십을 경유하여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쳐 완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법원의 관리자는 법원보안관리대원의 자발적 행동인 조직시민행동을 제고하기 위해 법원보안관리대원의 셀프리더십을 높이기 위한 여러 제도적 정비 및 처우개선과 함께 셀프리더십을 제고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운영 등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여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철 (2014). 긍정심리자본의 선행요인과 행위결과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고형일, 장길상, 송정수 (2012). 셀프리더십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산업혁신연구, 28(2), 161-193.
  3. 김두영 (2015). 사회복지사의 셀프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LMX와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성수 (2012). 전략적 성과측정시스템의 특성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조직시민행동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영주 (2017). 여행사 사회적 책임활동 연구: 조직몰입,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 고객지향성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종범 (2019). 민간경비업종사자의 조직유효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명의식 매개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지은 (2006). 교직몰입과 교사의 효과성.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태일, 최용배 (2011). 태권도심판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6), 81-94.
  9. 노동연, 원형진 (2012). 스포츠센터 종사자의 셀프리더십이 심리적 임파워먼트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1(3), 459-472.
  10.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11. 박민석 (2016). 경찰조직의 조직공정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분석과 개선방안.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박보람 (2015). 심리적 자본이 호텔 종사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영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박희숙, 이진화 (2017).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조직공정성과 셀프리더십 간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12(4), 95-111.
  14. 백수민 (2017). 성격특성과 셀프리더십이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서정희 (2016). 외식업체경영주의 변혁적리더십이 조직구성원들의 조직공정성, LMX, 조직몰입 그리고 조직시민행동과의 영향관계: LMX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영수 (2017). 건설기업의 조직 공정성이 조직신뢰와 직무태도를 통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벤쳐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이주삼 (2014).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상급자의 윤리적 리더십이 하급 공무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역할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임범규, 김형훈 (2018). 스포츠 감정노동자의 셀프리더십 장려가 조직시민행동의 활성화에 따른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골프장 캐디를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27(2), 247-259.
  19. 장세준 (2011). 호텔직원의 셀프리더십과 LMX가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정상열 (2016). 프랜차이즈 한식당 종사원의 조직공정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관광연구저널, 30(9), 191-205.
  21. 추재엽 (2017). 조직문화와 조직공정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조직커뮤니케이션과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홍준수 (2012). 민간경비원의 고용불안이 직무태도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Anderson, J. S., & Prussia, G. E. (1997). The self-readership questionnaire: Preliminary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The Journal of Leadership Studies, 4(2), 119-143. https://doi.org/10.1177/107179199700400212
  24. Bies, R. J., & Shapiro, D. L. (1987). Interactional fairness judgments: The influence of causal accounts. Social Justice Research, 1, 199-218. https://doi.org/10.1007/BF01048016
  25. Borman. W. C. (2004).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3(6), 238-241. https://doi.org/10.1111/j.0963-7214.2004.00316.x
  26. Chiaburu, D. S., & Baker, V. L. (2006). Extra-role behaviors challenging the status-quo: Validity and antecedents of taking charge behavior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1(7), 620-637. https://doi.org/10.1108/02683940610690178
  27. Cohen-Charash, Y., & Spector, P. E. (2001). The Role of Justice in Organizations: A Meta-Analysi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86(2), 278-321. https://doi.org/10.1006/obhd.2001.2958
  28. Colquitt, J. A. (2001). On the dimensionality of organizational justice: a construct validation of a measur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3), 386-400. https://doi.org/10.1037/0021-9010.86.3.386
  29. Cropanzana, R., Bowen, D. E., & Gilliland, S. W. (2007). The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justice. The 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s, 34-48.
  30. D'Intino, R. S., Goldsby, M. G., Houghton, J. D., & Neck, C. P. (2007). Self-leadership: A process for entrepreneurial success. Journal of Leadership & Organizational Studies, 13(4), 105-120. https://doi.org/10.1177/10717919070130040101
  31. Folger, R. G., & Cropanzano, R. (1998). Organizational justice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 7). sage publications.
  32. Fryxell, G. E., & Gordon, M. E. (1989). Workplace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as Predictors of Satisfaction with Union and Manage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2, 851-866. https://doi.org/10.2307/256571
  33. Greenberg, J. (1990). Organizational justice: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Journal of Management, 16(2), 399-432. https://doi.org/10.1177/014920639001600208
  34. Hoffman, B. J., Blair, C., Meriac, J. P., & Woehr, D. J. (2007). Expanding the criterion domain? A quantitative review of the OCB literatur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8, 194-204. https://doi.org/10.1037/0021-9010.78.2.194
  35. Houghton, J. D., & Neck, C. P. (2002).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17(8), 672-691. https://doi.org/10.1108/02683940210450484
  36. Houghton, J. D., Bonham, T. W., Neck, C. P., & Singh, K.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personality: A comparison of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19(4), 427-441. https://doi.org/10.1108/02683940410537963
  37.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N.Y.: The Guilford Press.
  38. Latham, G. P. (1989). Behavioral Approaches to the Training and Learning Process, by L. L., Goldstein(ed), In Training and Development in Organizations. SanFrancisco: Jossey-Bass.
  39. Manz, C. C. (1983). The art of self-leadership: Strategies for Personal Effectiveness in your Life and work.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NJ.
  40. Manz, C. C. (1986).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3), 585-600. https://doi.org/10.5465/amr.1986.4306232
  41. McFarlin, D., & Sweeney, P. (1992).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as Predictor of Satisfaction with Personal and Organizational Outcom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5(3), 626-637. https://doi.org/10.2307/256489
  42. Moorman, R. H. (1991).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o Fairness Perceptions Influence Employee Citizenship.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 845-855. https://doi.org/10.1037/0021-9010.76.6.845
  43. Neck, C. P., & Houghton, J. D. (2006). Two decades of self-leadership theory and research: Past developments, present trends, and future possibilitie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1(4), 270-295. https://doi.org/10.1108/02683940610663097
  44. Neck, C. P., & Manz, C. C. (1996). Through Self-Leadership: The Impact of Mental Strategies on Employee Cognition, Behavior, and Affec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7, 455-467.
  45. Nelson, L. (2000). Employers' attitudes, social division of labor, and human resource practices in hiring low-skilled worker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Doctoral Thesis.
  46. Niehoff, B. P., & Moorman, R. H. (1993). Justice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thods of monitor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6(3), 527-556. https://doi.org/10.2307/256591
  47. Organ, D. W. (1988).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good soldier syndrome. Lexington Books/DC Heath and Com.
  48. Podsakoff, P. M., Mackenzie, S. B., Moorman, R. H., & Fetter, R. (1990). Transformational leader behaviors and their effects on follower's trust in leade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Leadership Quarterly, 1(2), 107-142. https://doi.org/10.1016/1048-9843(90)90009-7
  49. Price, J. L., & Mueller, C. W. (1986). Absenteeism and Turnover of Hospital Employees. Greenwich, CT: JAI Press.
  50. Thurston Jr, P. W., & Mcnall, L. (2010). Justice perceptions of performance appraisal practice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5(3), 201-228. https://doi.org/10.1108/02683941011023712
  51. Whisenant, W., & Smucker, M. (2009).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in coachi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2), 157-167.
  52. Williams, L. J., & Anderson, S. E. (1991).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and In-Role Behaviors. Journal of Management, 17(3).
  53. Williams, L. J., & Anderson, S. E. (1991).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and in-role behaviors. Journal of management. 17(3), 601-617. https://doi.org/10.1177/014920639101700305
  54. 법원내부자료 (2006). 법원경비관리대 운영 방안 관련.
  55. 연합뉴스TV (2018). 추락하는 사법부 권위…어떻게 풀 것인가. http://www.yonhapnewstv.co.kr/MYH20181201008900038/?did=1825m, 검색일 2019. 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