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elf-perception of halitosis on oral health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서비스직 유무에 따른 아르바이트 종사자 대학생의 자가구취인식도가 구강보건관리실천도에 미치는 영향

  • Jeong, Hye-Min (Department of Dental,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 Cho, Han-A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Shinhan University) ;
  • Chung, Sung-Kyu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Shinhan University) ;
  • Kim, Ah-Yeong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ollege of Health Science, Eulji University) ;
  • Kim, Ye-Li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ollege of Health Science, Eulji University) ;
  • Kim, You-Rim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ollege of Health Science, Eulji University) ;
  • Lee, Ye-Ji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ollege of Health Science, Eulji University) ;
  • Lee, Eun-A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ollege of Health Science, Eulji University) ;
  • Jung, Min-Ju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ollege of Health Science, Eulji University) ;
  • Lim, Do-Seo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ollege of Health Science, Eulji University)
  • 정혜민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치의학과) ;
  • 조한아 (신한대학교 바이오생태보건대학 치위생학과) ;
  • 정성균 (신한대학교 바이오생태보건대학 치위생학과) ;
  • 김아영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 김예린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 김유림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 이예진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 이은아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 정민주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 임도선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Received : 2019.12.05
  • Accepted : 2019.12.20
  • Published : 2019.12.30

Abstract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perception of halitosis on oral health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whether they worked in a non-service or service-related job. Methods: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of 150 university students working in service jobs and 150 university students working in non-service jobs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conducted from 26th April to 5th May 2018. The survey tool consisted of 3 general topic areas. There were 5 questions on oral health awareness behavior, 3 questions related to their self-perception of halitosis, and 8 questions on their oral health care practice. All were measured on the Likert 5-point scale. The frequency of their oral health behaviors and their self-perception of halitosi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ubjects' occupa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the two. The significance level fo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was set to α = 0.05 (two-tailed). Results: In both the service and non-service groups, a coated tongue and food debris were found to influence halitosis(x2=10.95, p=0.027). According to the t-test, taking into account the self-perception of halitosis and oral health behaviors, both were higher in those that had a service job. Self-perception of halitosis and oral health behavior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γ=-0.11, p<0.05). As the self-perception of halitosis increased, oral health care practices also increased(Beta=-0.185, p=0.020). Conclusions: Systematic interventions such as oral health programs and health promotion are needed to improve the oral health of service workers.

본 연구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서비스직 아르바이트 중인 대학생 150명, 비서비스직인 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2018년 4월 26일부터 5월 5일까지 자가구취인식도가 구강보건관리실천도에 미치는 영향력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서비스직군에서 칫솔질을 하는 목적은 '충치와 잇몸병 예방'과 '구취' 항목이 주를 이룬 반면, 비서비스직군에서는 '충치와 잇몸병 예방'과 '상쾌한 기분' 항목에 가장 많은 응답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x2=18.21, p<0.001). 2. 서비스직군과 비서비스직군 모두에서 구취의 원인은 백태와 음식물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x2=10.95, p=0.027). 3. 서비스직 유무에 따른 자가구취인식도와 구강보건관리실천도의 평균분석에 따르면, 서비스직군에서 모든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4. 자가구취인식과 구강보건관리실천도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γ=-0.11, p<0.05). 5. 성별과 학년을 보정한 회귀분석모델에서, 자가구취인식도가 한 단위 증가하면 구강보건관리실천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0.185, p=0.02). 이상과 같이 서비스직 유무에 따른 아르바이트 종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가구취인식도가 구강보건관리 실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본 결과, 서비스직 아르바이트에 종사하는 대학생의 자가구취인식도가 높을수록 구강보건관리실천도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는 것을 근거로 서비스직 종사자의 구강건강향상 및 증진을 위한 구강건강 프로그램 및 홍보등의 체계적인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정. 대학생의 아르바이트 경험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13. 1-77
  2. Bornstein MM, Stocker BL, Seemann R, Burgin WB, Lussi A. Prevalence of halitosis in young male adults: a study in Swiss army recruits comparing selfreported and clinical data. Journal of periodontology 2009; 80(1): 24-31. https://doi.org/10.1902/jop.2009.080310
  3. Bollen CM, Beikler T. Halitosis: the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science 2012:4(2); 55-63. https://doi.org/10.1038/ijos.2012.39
  4. Rosenberg M. First international workshop on oral malodor. Journal of dental research 1994: 73(3):586-589. https://doi.org/10.1177/00220345940730030301
  5. 한지선, 홍주희, 최준선. 일부 성인에서 자가 구취 인식도와의 관련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1: 11(12): 347-356.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347
  6. 엄복희. 구취 발생과 구강관리요인에 대한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논문2013. 1-28.
  7. 조자원, 신승철, 서현석. 혀세정기구의 형태에 따른 인공설태제거효과에 관한 비교실험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3: 27(1): 75-85.
  8. 김명은. 일부 서비스 종사자들의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2008: 8(3): 37-52.
  9. Arora V, Tangade P, Ravishankar TL, Tirth A, Pal S. Tandon V. Efficacy of dental floss and chlorhexidine mouth rinse as an adjunct to toothbrushing in removing plaque and gingival inflammation-A three way cross over trial. Journal of clinical and diagnostic research: 2014: 8(10): ZC01-ZC04.
  10. 장경애, 강현경, 배일권, 이숙정. 일부지역 근로자의 구취측정정도에 따른 구강건강관리행태와 주관적 구강건조증.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 2014:2(1): 46-53.
  11. 이수빈, 윤정원, 성미경, 이민경, 김예황, 이정화. 일부 대학생의 구강건강관련요인이 구강보건지식, 태도, 실천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18: 42(4): 124-129.
  12. 한경순. 수도권 지역 일부 성인의 구취자각증상과 관련 요인. 한국치위생학회지 2013; 13(3): 475-480. https://doi.org/10.13065/jksdh.2013.13.3.475
  13. 이미라, 심재숙. 일부 군인의 구취관련요인에 따른 구취자각도. 보건의료산업학회지 2013:7(3);125-135. https://doi.org/10.12811/kshsm.2013.7.3.125
  14. 홍민희. 일부 성인의 구강건조감, 구취와 스트레스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구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2015; 15(3): 389-397.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3.389
  15. Azodo CC, Onyeagba MI, Odai CD. Does concern about halitosis influence individual's oral hygiene practices?. Nigerian medical journal: journal of the Nigeria Medical Association 2011: 52(4): 254-259. https://doi.org/10.4103/0300-1652.93799
  16. Kayombo CM, Mumghamba EG. Self-Reported Halitosis in relation to Oral Hygiene Practices, Oral Health Status, General Health Problems, and Multifactorial Characteristics among Workers in Ilala and Temeke Municipals, Tanzania. International journal of dentistry, 2017: 2017: 1-10. https://doi.org/10.1155/2017/8682010
  17. 정정옥, 배수명, 송귀숙. 일부 직장근로자들의 구강건강에 대한 인지도 및 실천도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2008; 8(1): 2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