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ncept of Operations and Improvement of the Design Methodology for the Physical Protection System of the National Infrastructure - Focused on Nuclear Power Plants -

국가기반시설 물리적 방호체계 운영개념 및 설계방법 개선방안 연구: 원자력발전소를 중심으로

  • 나석종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융합보안학과) ;
  • 성하얀 (에스원 SP사업부 SI컨설팅그룹) ;
  • 최선희 (에스원 SP사업부 SI컨설팅그룹)
  • Received : 2019.11.15
  • Accepted : 2019.12.10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As the scales & density of the Korean national infrastructures have been increased, they will be identified as rich and attractive potential targets for intensified North Korea's attack in the rear region and terrorism attack. In addition, due to changes in security environment such as drone threats and lack of security forces under the 52-hour workweek law, I think that it is the proper time point to re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appropriateness of the current physical protection system and its shift to a new system. In this study, the direction and improvement of the perimeter physical protection systems of the national infrastructures are to be studied from the viewpoints of its concepts of operations and design methodology, focusing on the nuclear power plant. The reason why we focus on nuclear power plants is because they cause wide-range and long-term damages caused by radioactive materials disperal and pollution, along with short-term damage caused by the interruption of electricity generation in the event of damage to nuclear power plants. With the aim of extracting improvement directions, as we will comprehensively review domestic research trends and domestic·overseas related laws, and consider Korea's specificity, we try to reframe the concept of operation - systematization, mobilization and flexibility -, and establish criteria on system change. In order to improve the technical performance of the new perimeter physical protection system, we study on high-fidelity·multi-methodology based integrated design methodology, breaking from individual silo-type design methods, and I suggest improvement of government procurement, its expansion to export business and other national infrastructure.

한국의 국가기반시설은 시설규모가 증가하고 밀집되어 강화된 북한의 국지도발, 테러공격을 위한 풍부하고 매력적인 잠재적 표적으로 식별될 것이다. 또한 드론위협, 주 52시간 근무제도에 따른 경비병력 부족 등의 보안환경 변화에 따라 현 물리적 방호체계에 대한 유효성과 적절성을 재평가하고 전환을 고려할 시점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반시설 중 원자력발전소의 외곽 물리적 방호체계에 집중하여 국가 기반시설 외곽 물리적 방호체계의 전환 방향과 개선방안을 운영개념 및 설계 방법론 측면에서 연구하였다. 원자력발전소에 집중하는 이유는 원자력발전소는 피해 시 전기발전 중단의 단기적인 피해와 함께, 방사능 물질 유출과 오염에 따르는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피해가 발생하므로 가장 높은 보안수준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개선방향 도출 목표로 국내 연구동향과 국내·해외 관련법을 종합 검토하고 한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과학화, 기동화, 유연성으로 운영개념을 재설정하고 체계전환의 기준을 수립하였다. 새로운 외곽 물리적 방호체계의 기술적 성능개선을 위하여 개별설계에서 탈피, 고신뢰성·다방법론 기반의 통합설계 방법론 적용방안을 연구하고 구매제도 개선 및 해외 수출, 타(他)국가기반시설로의 확대적용을 제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연욱 (2018). 고급행동기능 시뮬레이션을 통한 원자력 시설의 물리적 방호 취약성 평가.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705-2705.
  2. 강연욱, 백인선 (2019). 국내 원자력시설 물리적 방호시스템의 취약성 평가를 위한 시뮬레이션 방법 및 절차.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1094-1116.
  3. 서장훈, 장성순, 유호식 (2016). 시설 모델링 방식에 따른 물리적 방호 취약성 평가 프로그램 분석.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6(5), 221-230.
  4. 우태호 (2013). 원자력 발전소의 물리적 방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원건연, 서장훈, 고문성 등 (2016). 물리적 방호 취약성 평가프로그램(AVERT) 성능인자 분석.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학술논문요약집, 55-56.
  6. 원자력통제기술원 (2012). 물리적 방호 분야 신기술개발, 원자력연구개발사업 연구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7. 지문구, 김명수 (2015). 국제기준을 만족하는 원전 물리적 방호체계 제안. 한국에너지공학회 학술발표회, 227-227.
  8. 지문구, 김명수 (2015). 신규원전을 위한 물리적 방호설계 구축 프로세스 개발.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9. 최영, 김길유, 정우식, 박희성, 신희성, 김호동 (2011). 물리적 방호에서의 핵심구역파악 예비 분석.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학술논문요약집, 423-424.
  10. 최영, 송대용, 신회성, 김호동 (2011). 원자력 시설의 물리적 방호 개념설계 및 특성분석.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학술논문요약집, 75-76.
  11. 최지은, 장성순, 고문성 (2016). 원자력 시설의 전주기 물리적 방호를 구축하기 위한 국내외 동향 분석.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51-52.
  12. Garcia, M. L. (2007).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Physical Protection System 1st ed. Burlington, MA:Elsevier/Butterworth-Heinemann.
  13. NRC 10CFR Part 73 (2018). Physical Protection of Plants and Materials.
  14. NRC Regulatory Guide 5.44 (1997). Perimeter Intrusion Alarm Systems Rev.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