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the Aid Table to Prevent Patient Fall Risk in the ERCP Operation

ERCP 검사 시 환자 낙상방지 테이블 보조기구사용의 유용성 평가

  • Kwon, Byongnam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Dongshin University) ;
  • Park, Shineui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Dongshin University) ;
  • Choi, Namgil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Dongshin University)
  • 권병남 (동신대학교 방사선학과) ;
  • 박신의 (동신대학교 방사선학과) ;
  • 최남길 (동신대학교 방사선학과)
  • Received : 2018.09.20
  • Accepted : 2019.02.28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usefulness of aid table in ERCP operation. Fifteen patients (mean age: $76.0{\pm}11.4$) and Six Staffs are took part in the questionnaire survey. We evaluated usefulness of aid table as follows: comfortableness, psychological stability, satisfaction from extreme satisfaction as 1 point to extreme satisfaction as 5 point by questionnaire. In the results of comfortableness, the patients reported uncomfortable as $1.7{\pm}0.5$ point at ERCP operation without aid table but they are reported comfortable at using aid table as $4.4{\pm}0.5$ point (p-value${\leq}0.000$). In the psychological stability, the patients have satisfaction ($4.8{\pm}0.4$ point) for aid table. In the addition, the patients felt satisfaction ($4.9{\pm}0.3$ point) for aid table.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hat to use of aid table will give a useful to ERCP ope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ERCP 검사 시 테이블 보조 기구 사용의 유용성을 평가함에 있다. 이 연구를 위해 ERCP 검사를 시행한 15명의 환자(평균연령: $76.0{\pm}11.4$ 세)와 검사에 참여했던 6명의 의료진을 대상으로 하여 테이블 보조 기구 사용의 유용성 평가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안락한 정도, 심리적 안정성 및 만족도 항목에 대하여 최저 1점에서 최대 5점 범위로 집계하여 평가하였다. 안락한 정도에 관한 결과에 있어서는 테이블 보조 기구 없이 진행한 ERCP 검사에서 환자들이 $1.7{\pm}0.5$점으로 불편하다고 느꼈으며, 이와 반대로 테이블 보조 기구를 사용한 경우에는 $4.4{\pm}0.5$점(p-value${\leq}0.000$)으로 편안함을 느꼈다고 조사되었다. 심리적 안정성에 관한 결과에 있어서는 환자들이 테이블 보조기구 사용에 $4.8{\pm}0.4$점으로 안정감을 보였다. 추가적으로 테이블 보조 기구 사용에 대한 환자들의 만족도는 $4.9{\pm}0.3$점이었다. 본 결과를 고려할 때에 ERCP 검사에 있어 테이블 보조 기구의 사용은 그 유용성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Ⅰ. INTRODUCTION

내시경을 이용한 역행성담췌관조영술(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 Pancreatography: ERCP) 검사는 다른 내시경 진단과는 달리 영상뿐만 아니라 조영제를 담관 및 췌관에 삽입하여 내시경 및 방사선을 이용한 검사방법이다.[1] 1973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행된 이래로 주로 대학병원과 3차 병원에서 시행되어 오다가 최근 들어서는 2차 병원까지 그 저변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대부분의 국내 병원에서는 영상의학과에 설치되어 있는 방사선 투시촬영실을 이용하여 ERCP 검사를 시행하고 있는 실정이다.[2] 영상의학과에 방사선 투시촬영실이 없거나 내시경실과 방사선 투시촬영실이 설치되어 있는 곳이 각각 다른 층에 위치하여 있는 경우에는 내시경실과 가장 근접해 있으면서 영상의 화질이 우수하고 비교적 실내가 넓으며, 응급 상황 발생 시에 빠르게 환자를 조치할 수 있는 혈관촬영실에서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혈관촬영장비의 특성과 설치되어 있는 방의 여건으로 인하여 환자분이 엎드려서 검사를 받을 수 있는 테이블이 협소한 경우에는 환자분이 이동할 때나 또는 검사 도중에 낙상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검사에 임하게 된다.[3] ERCP 검사는 약간의 수면상태에서 진행하게 되어 검사 도중 무의식중에 환자의 움직임 등으로 인하여 신체 일부나 몸 전체가 테이블에서 떨어지는 등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되어 의료진이나 보조 인력이 상주해 있으면서 검사가 종료 될 때까지 환자의 몸이나 다리 등을 붙잡고 있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최근 의료기관 평가에서도 환자에 대한 안전과 기준이 강화되고 있어 병원 경영과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그 중요성이 강조되어 지고 있다. 또한, 환자안전 사고 감소가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손실을 줄이므로 사회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도 한다.[4-6] 이러한 측면에서 환자의 낙상을 미리예방하고 환자가 좀 더 안전하게 ERCP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환자용 검사 테이블 보조기구를 직접 주문 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동신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 심의 및 승인(IRB 승인 : 1040708-201811- SB-043)하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Ⅱ. MATERIAL AND METHODS

1. 연구 대상 

2018년 4월부터 8월까지 광주광역시 K병원에 췌장염이나 담관염으로 인하여 입원한 환자들 중에서 ERCP 검사를 시행한 환자는 모두 15명(mean 76.0±11.4 age)으로 남자 환자 8명(mean 69.5±11.3 age)과 여자 환자 7명(mean 83.4±5.5 age)이 조사에 참여하였고 검사를 시행한 의료진 6명을 대상으로 테이블 보조기구의 사용이 미치는 영향 대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환자의 연령 분포는 40대에서 80대까지였으며 평균연령은 76±11.4세였다.

 

2. 연구 방법

2.1 검사장비

독일 지멘스사 RF-1000-125/Artis zee floor모델인 심혈관촬영장비와 일본의 올림푸스사 EVIS II CV-180, CVL-180 모델인 내시경 장비 Fig. 1을 사용하였다. 

BSSHB5_2019_v13n1_1_f0001.png 이미지

Fig. 1. Inspection Equipment.

 

2.2 테이블 보조기구 제작

보통 방사선 투시촬영장비의 테이블의 넓이가 800 mm이지만, 심혈관촬영장비의 경우 다양하게 C-arm의 각도를 이동하여 검사가 진행되어지기 때문에 환자가 누울 수 있는 테이블의 넓이가 425 mm 정도로 일반적인 혈관촬영장비 의 테이블 넓이 525 mm 보다 좀 더 협소하게 제작되어져 있다. 심혈관촬영장비의 테이블 면보다는 모양과 폭을 크게 고안하여 직접 주문제작한 테이블 보조기구 Fig. 2는 X-ray에 영향을 덜 받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라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투명성의 특징이 있고 유연성과 가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과 내열성이 좋아 잘 깨지고 변형되기 쉬운 아크릴보다 좋은 재질의 소재로 가로 폭이 500 mm이고 세로는 전체 1,500 mm길이 중에서 900 mm까지는 양쪽 위로 향하는 100 mm 크기의 날개 모양을 하도록 만들었으며, 두께는 4 mm로 전체 무게는 약 5 kg이었다. 테이블 보조기구의 고정은 윗부분에 1곳과 아랫부분 양옆 2곳에 압축 벨트를 이용하여 기존의 테이블에 고정을 하였다.

 

BSSHB5_2019_v13n1_1_f0002.png 이미지
Fig. 2. Aid Table.

 

2.3 연구방법

2018년 4월부터 8월까지 ERCP 검사를 시행한 환자 15명과 검사에 참여했던 의료진 6명을 대상으로 테이블 보조기구를 사용하기 전 Fig. 3과 사용 한 Fig. 4와 같은 상황을 비교하여 만족도 조사를 하였다. 각 환자의 검사는 최소 2회 이상으로 검사 시행 전에 테이블의 협소함과 테이블 보조기구에 대한 사전 설명을 통하여 환자분이 검사 후에 설문 조사에 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검사를 마친 환자에게는 입원한 병실로 방문하여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의료진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는 일괄적으로 한 번에 조사를 시행하였다. 

 

BSSHB5_2019_v13n1_1_f0003.png 이미지
Fig. 3. Operation without Aid Table.

 

BSSHB5_2019_v13n1_1_f0004.png 이미지

Fig. 4. Operation with Aid Table.

 

Ⅲ. RESULT

1. 환자가 느끼는 테이블 보조 기구 사용의 만족도

환자가 테이블 보조 기구를 사용하여 ERCP 검사를 받았을 때 느끼는 만족도를 크게 편리성, 심리적 안정감, 만족도를 성별, 연령대, 검사 횟수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평가하였을 때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1 편리성

환자가 ERCP 검사를 받으면서 테이블 보조 기구를 사용하였을 때 느끼는 편리함은 Fig. 5와 Table 1과 같이 사용하기 전 1.7±0.5, 사용 후 4.4±0.5 (p-value≤0.000)으로서 테이블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검사를 받았을 때 느끼는 편리함이 탁월함을 입증할 수 있었다. 특히, 남자는 사용 전과 사용 후가 평균 2.6점의 차이(p-value≤0.002)를 보였고, 여자는 사용 전과 사용 후가 평균 2.8점의 차이(p-value≤0.000)를 보였다. 이는 남녀 모두 편리함을 느끼는데 두드러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Fig. 6과 Table 1에서 볼 수 있듯이 연령대별로 평가하였을 때에는 40대에서는 사용 전 2.0±0.0, 사용 후 4.0±0.0점으로 평균 2.0점의 차이(p-value≤0.000)를 보였고, 50대에서는 사용 전 2.0±0.0, 사용 후 4.0±0.0점으로 평균 2.0점의 차이(p-value≤0.000)를 나타냈다. 이는 40대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60대에서는 사용 전 2.0±0.0, 사용 후 4.5±0.7점으로 평균 2.5점의 차이(p-value≤0.000)를 보였고 70대에서는 사용 전 1.6±0.5, 사용 후 4.6±0.5점 평균 3점의 차이(p-value≤0.003)를, 80대에서는 사용 전 1.5±0.5점, 사용 후 4.3±0.5점으로 평균 2.8점으로 차이(p-value≤0.000)를 나타내었다. 

이는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환자가 느끼는 편리함의 정도의 차이가 비록 미미하지만 높아지는 양상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ERCP 검사를 받은 횟수에 따라 비교를 해보았을 때 2번 검사를 받았을 때에는 사용 전 1.4±0.6점, 사용 후 4.4±0.5점으로 평균 3점(p-value≤0.000), 3번 검사를 받았을 때에는 사용 전 2.0±0.0점, 사용 후 4.3±0.6점의 차이(p-value≤0.020)로 평균 2.3점의 차이를 보였으며 모두 2점 이상의 차이로 편리함을 느꼈다. 4회 이상 검사를 받았을 때에는 사용 전 2.0±0.6점, 사용 후 4.3±0.6점으로 (p-value≤0.020)평균 2.3점으로 시술 횟수가 많을수록 환자가 느끼는 편리함에 있어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Fig. 7과 Table 1에 나타나 있다. 이는 비교적 적은 수를 대상으로 평가된 점수이지만 편리함에 대한 양상을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둘 수 있다.

 

Table 1. Evaluation of convenience as before and after use of Aid table in ERCP procedure 

BSSHB5_2019_v13n1_1_t0001.png 이미지

 

BSSHB5_2019_v13n1_1_f0005.png 이미지

Fig. 5. Evaluation of convenience as before and after use of Aid table in ERCP procedure: classification by sex. 

 

BSSHB5_2019_v13n1_1_f0006.png 이미지

Fig. 6. Evaluation of convenience as before and after use of Aid table in ERCP procedure: classification by age.

 

BSSHB5_2019_v13n1_1_f0007.png 이미지

Fig. 7. Evaluation of convenience as before and after use of Aid table in ERCP procedure: classification by number of procedure trials.

 

1.2 심리적 안정감 

환자가 테이블 보조 기구를 사용하여 검사를 받았을 때 느끼는 심리적 안정감은 Table 2에서 4.8±0.4점으로 모두 4.0이상으로 높은 안정감을 나타냈으며 남자는 평균 4.9±0.4점, 여자는 4.7±0.5점으로 여자보다 남자가 더 높은 안정감을 Fig. 8에서 보여주고 있다. 심리적 안정감에 대하여 연령대별로 비교하였을 때에는 40대, 50대, 60대는 평균 5.0±0.0점으로 가장 높은 안정감을 나타냈으며 70대는 4.8±0.4점, 80대는 4.7±0.5점으로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낮아지는 양상을 Fig. 9와 Table 2에서 볼 수 있다. 또한, Fig. 10과 Table 2에서 시술을 받은 횟수에 따른 안정감의 평가는 2회 일 때 4.7±0.4점, 3회 일 때 4.7±0.6점, 4회 이상일 때에는 5.0±0.0점으로 모두 높은 안정감을 보였다. 

 

BSSHB5_2019_v13n1_1_f0008.png 이미지
Fig. 8. Psychological stability evaluation for the use of Aid table in ERCP procedure: classification by sex.


Table 2. Evaluation of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Aid tables in ERCP procedure

BSSHB5_2019_v13n1_1_f0009.png 이미지

Fig. 9. Psychological stability evaluation for the use of Aid table in ERCP procedure: classification by age.

BSSHB5_2019_v13n1_1_f0010.png 이미지

Fig. 10. Psychological stability evaluation for the use of Aid table in ERCP procedure: classification by number of procedure trials.

 

1.3 만족도 평가

환자가 테이블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ERCP 검사를 받고 느끼는 만족도는 Fig. 11과 Table 2에서와 같이 남자 4.9, 여자 5.0점으로 남녀 모두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다음 검사에서도 꼭 사용하여 검사를 받고 싶다는 의사를 보였다. 이는 연령별로도 60대 4.5점을 제외한 40, 50, 70, 80대의 환자들은 5.0점으로 테이블 보조 기구를 이용한 검사에 대하여 높은 만족감을 Fig. 12와 Table 2에서 보여 주고 있다. 검사를 받은 횟수에 따른 만족도의 평가는 2회 일 때 4.7점, 3회 일 때 5.0점, 4회 이상의 검사를 받은 경험이 있을 경우에는 5.0점의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Fig. 13과 Table 2에서 보여 주고 있다.

 

BSSHB5_2019_v13n1_1_f0011.png 이미지

Fig. 11.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Aid table in ERCP procedure: classification by sex.

 

BSSHB5_2019_v13n1_1_f0012.png 이미지

Fig. 12.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Aid table in ERCP procedure;: classification by age.

 

BSSHB5_2019_v13n1_1_f0013.png 이미지

Fig. 13.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Aid table in ERCP procedure: classification by number of procedure trials.

 

2. 의료진이 느끼는 테이블 보조 기구 사용의 만족도 

의료진에게 있어서도 ERCP 검사에 있어서 테이블 보조기구의 사용이 환자가 좀 더 안전하게 검사에 임할 수 있고 심리적인 불안감과 불편함의 수고를 감소 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의료진은 의사 2명, 간호사 4명으로 모두 6명이었으며 이들은 모두 ERCP 검사를 하였을 때 테이블 보조 기구의 사용이 높은 편리성과 심리적 안정감의 향상을 평가하였다. 사용 전 편리성에 대하여서는 Fig. 14와 같이 테이블 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검사를 시행하였을 때 느끼는 만족도는 1.7±0.5점의 불편함을 주장하였으며, 사용 후에는 5.0±0.0점의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BSSHB5_2019_v13n1_1_f0014.png 이미지
Fig. 14. Evaluation of the usability of Aid table during ERCP procedures by the clinical workforce.

 

Ⅳ. DISCUSSION

최근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노인 환자와 만성질환 환자의 증가 그리고 질병의 다양화 등으로 병원에서 발생하는 낙상으로 인한 상해는 환자와 가족 및 병원 종사자들에게 심각하게 다가오는 문제이다.[7,8] 이러한 이유로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진료나 검사 그리고 입원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최대한 줄이도록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환자의 낙상 사고는 미리 예방 가능한 사고로 간주해야 하고, 중요한 낙상 예방 전략의 하나로 낙상 위험 요인을 규명하고, 개선해 나가는 노력도 필요하다.[9,10

이러한 측면에서 송현일 외[11]에 벨크로를 이용하여 환자를 직접 테이블에 고정하는 연구와 정지상 외[12]에  검사 도구 등을 편리하게 올려놓을 수 있는 보조기구연구가 있었지만, ERCP 검사 시에는 종종 환자의 체위 변화가 필요한 경우에는 낙상을 예방하는 것으로는 적절하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개선방법의 하나로 테이블 보조기구를 직접 주문 제작하여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제작된 테이블 보조기구가 모든 혈관촬영 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 ERCP 검사 시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앞으로도 각 장비가 설치되어있는 검사실의 크기와 여건 그리고 장비 특성에 따르는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한정된 짧은 기간과 설문에 참여한 대상이 적은 점과 고령의 환자분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는 보호자의 도움을 받았기 때문에 환자의 주관적인 생각보다는 보호자의 의견이 더해진 것 같아 아쉬움이 남아 있다. 

환자를 위한 어떠한 검사든지 기존의 검사 장비를 이용하여 진행 할 시에 장비의 한계나 검사 방법을 기존의 방식대로 무작정 따라 하기보다는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방법을 연구하여 위험요소를 개선 해 나가도록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Ⅴ. CONCLUSION

심혈관촬영실에서 시행되는 ERCP 검사 시 환자에게 낙상 등의 위험으로부터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고 의료진들에게는 편리성을 높이는 데 테이블 보조 기구의 사용이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References

  1. D. H. Lee, "Ideal Cholangio-Pancreatography," The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Vol. 32, Suppl. 1, pp. 247-250, 2006.
  2. K. T. Lee "Setting the ERCP Room: For the Efficacy and Safety," The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Vol. 32, Suppl. 1, pp. 254-255, 2006.
  3. K. S. Kim, J. A. Kim, Y. K. Choi, Y. J. Kim, M. H. Park, H. Y. Kim, M. S. Song, A comparative study on the validity of fall risk assessment scales in Korean hospitals. Asian Nursing Research. Vol. 5, No. 1, pp. 28-30, 2011 https://doi.org/10.1016/S1976-1317(11)60011-X
  4. K. O. Park, J. K. Kim, M. S. Kim, "Operating Room Nurses' Experiences of Securing for Patient Safet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5, No. 5, pp. 761-762, 2015. https://doi.org/10.4040/jkan.2015.45.5.761
  5. K. S. Kim, M. S. You, J. S. Park, E. B. Ko, H. J. Choi, "Study on the consumer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perceptions of safety in hospitals," Research report of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pp. 58-60, 2015.
  6. H. Y. Kim, H. S. Kim, "Effects of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the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7, No. 4, pp. 413-414, 2011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4.413
  7. K. S. Choi, "The Risk Factors and Knowledge toward Falls among Hospitalized Old Adults," Major in Gerontology & Dementia Nursing The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 Hanyang University, pp. 1-4, 2011.
  8. O. Y. Gang, R. Y. Song,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Fall Episodes and Fall-related Risks of Hospitalized Patient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ol. 22, No. 3, pp. 149-151, 2015. https://doi.org/10.5953/JMJH.2015.22.3.149
  9. J. G. Shin, "Prevalence and Management of Falls among Elderly in a Hospital," Dep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pp. 43-45, 2011.
  10. Y. J. Kim, "Nurses, Experience of Inpatients Falls," Journal of The Korean Acad. Fundam Nurs., Vol. 24, No. 2, pp. 111-113, 2017.
  11. H. I. Song, I. B. Ko, S. H. Jo, K. P. Hong, "Fabrication and Analysis of Fixture for Fall Preven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ardio-Vascular Interventional Technology, Vol. 15, No. 1, pp. 249, 2012.
  12. J. S. Jeong, J. H. You, "Intervention angio table inspection ai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ardio-Vascular Interventional Technology, Vol. 11, No. 1, pp. 178,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