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study was initiated to compare crop productivity as affected by a long-term application with homemade liquid fertilizers in leading organic cucumber (Cucumis sativus L.) farms in Suncheon and Kimcheon provinces. A Suncheon farm have applied an EM (effective organism) liquid fertilizer for one year and fifteen years, designating as EM 1-year and EM 15-year plots, respectively, with 4-year and 5-year application of native microbes-liquid fertilizer in Kimcheon farm, designating as Micro 4-year and Micro 5-year plots, respectively. pH in the EM-liquid fertilizer was high to approximately 7.7, and EC in the Micro-liquid fertilizer was 0.1 dS/m higher than those of EM-liquid fertilizer, with similar macro-nutrient concentrations observed in the both liquid fertilizers. Soil EC was the highest to the 10.0 dS/m for the liquid fertilizer with EM 1-year and showed less than 1.5 dS/m for other liquid fertilizer plots. Micro-liquid fertilizer plots had soil OM contents less than 20 g/kg, which was approximately two times less than those of EM plots. Soil microbial proper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liquid fertilizer plots. SPAD and PS II valu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EM 15-year plots with high levels of soil OM and EC. Liquid fertilizer plot with EM 1-year had high concentrations of T-N, Ca, and Na in the cucumber crops but low concentrations of P and Mg, in particular for low K of 1.2% which was two times less than those of desired level for an optimum cucumber growth. The lowest fruit yield was observed for the liquid fertilizer plot with EM 1-year with the highest soil EC accumulated. Liquid fertilizer plot with EM 15-year produced the expanded volume of crop canopy and increased fruit yield. Therefore, long-term of continuous application with an organic liquid fertilizer would have sustainably improved soil stability and the crop productivity.
본 시험은 유기오이(Cucumis sativus L.) 선도농가에서 자가제조 액비를 장기간 연용하고 있는 순천과 김천지역의 농가를 선정하여 작물의 생산성을 비교하고자 수행되었다. 순천농가는 EM(EM 액비; 유용미생물)을 1년 및 15년간 연용한 곳을 각각 EM 1년차와 EM 15년차로 명명하였다. 김천농가의 재배구는 토착미생물(Microbes)을 4년 및 5년간 연용한 곳을 각각 Micro 4년차와 Micro 5년차 재배구로 분류하여 명명하였다. 액비 내 pH 수준은 EM 액비에서 약 7.7로 높았으며 EC는 Micro 액비에서 EM 액비 대비 0.1 dS/m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기타 대량 무기성분은 두 액비 자재 간에 비슷하였다. 토양 EC는 EM 1년차 재배구에서 약 10.0 dS/m으로 매우 높았으며 나머지 재배구에서는 1.5 dS/m 이하의 수준을 보였다. 토양유기물 함량은 Micro 재배구에서 20 g/kg 이하의 수준으로 EM구보다 2배 이상 낮은 수준을 보였다. 토양미생물상은 재배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재배구간 SPAD와 광계II 활성은 토양 내 유기물함량과 EC 수준이 비교적 높았던 EM 15년차 재배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다. EM 1년차 재배구에서 작물의 전질소와 칼슘 및 나트륨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지만 인산과 마그네슘의 흡수는 저하되었고, 특히 칼륨농도는 약 1.2%로 오이생육을 위한 적정 수준보다 2배 이상 낮게 관찰되었다. 염류가 과잉으로 집적되었던 EM 1년차 재배구에서 수량이 가장 적었다. EM 15년차 재배구에서는 생육후기에 수관이 가장 크게 확대되어 수량 증대효과가 관찰되어서, 10년 이상 장기간 유기액비를 연용하면 토양 안정성과 작물의 생산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