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Analysis of Nutrition Improvement at the Base of the Pyramid: Using Appropriate New Technology

적정한 신기술을 활용한 BoP 층의 영양 개선 사례 분석

  • Lee, Myung Moo (University College, Sungkyunkwan University) ;
  • Kim, Yun Ho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Received : 2019.06.20
  • Accepted : 2019.11.11
  • Published : 2019.11.20

Abstract

Most of the BoP (Base of the Pyramid) do not have the economic power to eat balanced nutrients. Therefore, the solution is to add essential nutrients to the food you eat. This method can improve nutrition without putting an economic burden on the BoP classes. The aim of the paper is to apply the strategic management process for analysing BoP solutions in nutrition improvement sector. This allows identification of critical aspects in developing BoP solutions. This includes reaching sustainability related objectives. Two cases (Ajinomoto, Grameen Danone) covering both products and services have been researched, allowing a contribution towards the applicability of strategic management in respective situation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ase through the "Appropriate Technology 2.0" framework of Polak and Warwick (2014). In addition, we introduced the strategy of BoP busi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 analyzed the success factors of appropriate technology business in the emerging markets through the 4A model.

전 세계 대부분의 BoP (Base of the Pyramid) 층은 균형 잡힌 식생활을 취할 수 있는 경제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식품에 필수 영양소를 첨가하는 방법이 이들 계층에게 지출에 대한 부담을 주지 않고 영양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적정한 신기술을 활용하여 저소득층의 영양개선에 참여한 다국적기업인 아지노모토(Ajinomoto)와 그라민다농(Grameen Danone)의 사례를 소개하고, 이들 기업의 비즈니스 전략을 비교·평가하는 것이다. 기술 중심의 적정기술이 가지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술과 사회, 비즈니스를 아우르는 사회기술시스템으로 진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적정한 신기술과 저소득층(BoP) 비즈니스를 접목하여 저소득층의 삶의 질 개선과 소득 증대에 기여한 사례를 발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 관점에서 "적정기술 2.0" 프레임워크를 통해 사례를 분석한 후, 비즈니스 모델 분석 기준을 바탕으로 BoP 비즈니스의 전략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4A모델을 통해 BoP 시장에서 적정기술의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7S1A5A2A01026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