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dern Urbanization Process of Ganggye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ed on Installation of Urban Infrastructure

일제강점기 도시기반시설의 설치를 통해 본 강경의 도시화 과정

  • 현태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건축공학부) ;
  • 김기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건축공학부) ;
  • 이연경 (인천대학교 지역인문정보융합연구소)
  • Received : 2019.10.28
  • Accepted : 2019.12.24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Ganggyeong, a city which is located at riverside of Geum River, played a role to connect the inland cities and the coastal cities through the Geum river waterway. In Chosun dynasty, Ganggyeong was one of the three major markets in Korea, and at the same time, it was one of the two river docks in Korea. However, after the railway was installed in Korea, railroad was more important than waterway in transporting logistics and in 1911 Honam railroad and Ganggyeong railway station was installed. Thus it was necessary to reorganize urban structure of Ganggyeong city from the traditional river-dock city to modern railroad city. In addition, urban infrastructure to prevent flood damage was needed because Ganggyeong suffered from floods and water shortages every year. Therefore, between 1910s and 1930s large-scale social infrastructures including road, water and sewage system, river bank, floodgate was constructed not only to revitalize the declining city but also to prevent flood damage and water shortages that hinder urban development. The installation of urban infrastructure has enabled the urban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Ganggyeong city, and it is still served as a basic urban structure.

Keywords

References

  1. 坂上富藏, 最近江景事情, 1911
  2. 坂上富藏, 江景事情全, 1928
  3. 朝鮮總督府, 朝鮮土木事業誌, 1937
  4. 東亞經濟時報社, (朝鮮)銀行會社要錄, 1933
  5. 田中市之助, 忠南産業誌, 1921
  6. 굉박지, 20世紀前半 韓半島 道路交通體系 變化 - "新作路" 建設過程을 中心으로, 지리학논총, 54권, 2004
  7. 국토해양부, 1928년까지 조선토목사업지 하천개수편, 2011
  8. 김선문, 江景의 盛衰過程과 都市構造에 關한 地理學的 硏究, 공주대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6
  9. 나도승, 금강유역의 역사 지리적 고찰, 열린충남, 3권, 1996
  10. 논산시, 강경 갑문 기록화 조사보고서, 2017. 10
  11. 논산시, 강경 채운산 배수지 기록화 조사보고서, 2017
  12. 문화재청, 강경 중앙리 구 남일당 한약방 기록화 조사보고서, 2013
  13. 문화재청, 구 한일은행 강경지점 기록화 조사보고서, 2011
  14. 백선례, 1919.20년 식민지 조선의 콜레라 유행과 방역활동,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1
  15. 송경언, 금강유역 관문도시의 교통 변천에 따른 공간적 특성 변화 : 군산과 강경은 대상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5권, 제3호, 2009
  16. 서일수, 1930년대 海州의 도시기반시설 확충과 '식민 권력', 한국사연구, 167, 2014
  17. 윤여향, 강경의 성쇠와 세력권에 대한 지리학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18. 정연태, 일제의 지역 지배.개발과 식민지적 근대성 - 포구 상업 도시 강경 지역 사례(한일공동연구총서, 12권), 2007
  19. 정연태, 조선말 일제하 자산가형 지방유지의 성장 추구와 이해관계의 중층성 - 포구도시 강경지역 사례, 한국문화, 31집, 2003
  20. 최완기, 조선후기 강경 포구에서의 선상활동 - 그 입지를 중심으로, 역사교육, 79집, 2001
  21. 한상욱, 충남의 도시6 - 강경, 열린충남, 35권, 2006
  22. 읍면 구역 변경에 따른 리폐지 및 명칭 변경의 건(충청남도), 1933 (국가기록원, 관리번호: CJA0003313)
  23. 강경읍 구역확장에 관한 건, 1937, (국가기록원, 관리번호: CJA0003313)
  24. 인견공장 유치 불조 및 선후 조치의 건(人絹工場誘 致不調竝善後措置ノ件)(충청남도), 1938, (국가기록원, 관리번호: CJA0003313)
  25. 강경하수 국고 보조공사 준공 인가의 건, 1937 (국가기록원, 관리번호:CJA0015804)
  26. 京城日報
  27. 동아일보
  28. 조선중앙일보
  29. 조선일보
  30. 호남일보
  31. 황성신문
  32. 국가기록원, archive.go.kr
  33. 한국사데이터베이스, db.history.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