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Van Hiele Level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nd Middle school students' geometric thinking

중학교 수학교과서와 중학생들의 반 힐레 기하수준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9.11.29
  • Accepted : 2019.12.24
  • Published : 2019.12.30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van Hiele levels of geometry content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nd those of students' thinking. As the mathematics curriculum was revised recently, the amount of contents in the geometry area were reduced, but the van Hiele level did not change much, and the gap between the van Hiele level of geometric contents presented in the textbooks and the level of students' geometric thinking still remained unchaged. The van Hiele levels of the geometric contents in the textbooks were distributed in the levels of 1, 2, 3 in the first grade, and 2, 3, 4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 In the case of the first grade, 69% of the students were less than or equal to level 2, and 73.7% and 47.6% of the students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s were less than or equal to level 3, respectively.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second and third grade, the ratio of the 4th level of the contents presented in the textbook is higher than the problem, which can cause difficulties for the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수학교과서에서 기하 영역의 반 힐레 수준과 학생들의 반 힐레 수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이 개정되어 오면서 기하 영역에서의 내용은 감소되었지만 반 힐레 수준의 변화는 크지 않았고,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의 기하 수준과 학생의 기하 수준과는 차이가 많이 남을 알 수 있었다. 교과서의 반 힐레 수준은 1학년의 경우 1, 2, 3수준, 2, 3학년의 경우 2, 3, 4수준에 분포되어 있고, 학생의 수준은 1학년의 경우 1수준 이하가 69%, 2, 3학년의 경우 2수준 이하가 각각 73.7%, 47.6%로 나타나 차이가 큼을 알 수 있다. 특히 2, 3학년의 경우 문제에서보다 교과서 본문의 내용의 반 힐레 4수준 비율이 높아 학생에게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문봉, 김현미 (1998), 제6차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및 교사, 학생의 van Hiele 수준 분석, 과학교육논총. 경인교육대학교.
  2. 교육부 (2007). 수학과 교육과정.(교육인적지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8).
  3.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8).
  4.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8).
  5. 김미정, 이종희 (1994). van Hiele 이론에 의한 중학생들의 기하적 사고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학회 시리즈 A <수학교육>, 한국수학교육학회.
  6. 우정호 (2011).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7. 이무현 (2002). 기하학 원론. 교우사.
  8. 이중권 (2006). van Hiele의 기하 인지발달이론에 따른 중학교 기하교육과정 및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기하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17.
  9. 이창연, 황우형 (2010). 반 힐레 이론과 GSP를 활용한 중학교 기하영역에 관한 연구 8-나단 계의 사각형의 성질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시리즈 A <수학교육> 49(1), 한국수학교육학회.
  10. 임현정, 고상숙 (2016). GeoGbra를 활용한 반 힐레 기하교수법에서 도구화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 E, 33(4). 한국수학교육학회.
  11. 최민정, 손홍찬 (2016). 중학생의 반 힐레 기하수준에 관한 연구. 교사교육연구, 55(3).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2. 황혜정 외 5인 (2016) 수학교육학 신론. 문음사.
  13. Burger, W.F., Shaughnessy, J.M (1986). Characterizing the Van Hiele Levels of Development in Geomtry. Journal for Reserach in Mathematics Education 17(1), 31-48 https://doi.org/10.2307/749317
  14. Fuys, D., Geddes, D., and Tischler, R. (1988). The Van Hiele Model of Thinking in Geometry Among Adolescent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Monograph 3). Reston, VA: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https://doi.org/10.2307/749957
  15. Heugl, H; Klinger, W & Lechner, J. (1996). Mathematiknutericht mit computeralgebra-System (Ein didaktisches Lehrerbuch mit Erfahrungen aus dem österreichischen DERIVE-Projekt). Bonn:Addison-Wesley Publishing Co.
  16. Hagar G. & Lew H. C. (2008). And then she changed her mind-A bypass of van Hiele level to classify parallelograms, 교원교육, 24(2), 한국교원대학교 교원 연구원, 450-461
  17. Primasatya, N. & Jatmiko (2018). Implementation of Geometry multimedia Based on Van Hiele's Thinking Theory for Enhancing Critical Thinking Ability for Grade V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Trends in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1(2) : 56-59..
  18. Senk, S. L. (1989). Van Hiele Levels and Achivement in Writing Goemetry Proofs, Journal for Rese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0(3) , 309-321 https://doi.org/10.2307/749519
  19. Usiskin, Z. (1982) van Hiele Levels and Achivement in Secondary School Geometry. University of Chicago.
  20. van Hiele, P. M & D.-G. van Heile (1958). A Method of Initiation into Geometry at Secondary Schools, H. Freudenthal(ed), Report on Method of Initiation into Geometry, J. B.Wolers/Groningen.
  21. van Hiele, P.M. (1986). Structure and Insight: A Theory of Mathematics Education, Academic Press.
  22. van Hiele, P.M. (1999). Developing Geometric Thinking through Activities that Begin with Play,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Vol. 5. pp.310-316. https://doi.org/10.5951/TCM.5.6.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