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Effect of Creative Convergence HTE-STEAM Program using Natural Disaster

자연재해 주제를 활용한 창의융합 HTE-STEAM(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Received : 2019.11.30
  • Accepted : 2019.12.24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HTE-STEAM program using natural disasters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ir attitude and satisfaction with STEAM. We developed the HTE-STEAM program utilizing natural disasters and tested the effectiveness of 243 students from G High School and N High School. For data analysis, a single group pretest and post response t-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n attitudes and satisfaction with STE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developed STEAM education programs for high school students by selecting the topic of "natural disasters" in the area of earth science and flying drones as lifesaving drones. The six-hour program was designed to give students the experience to solve problems by applying essential knowledge related to natural disasters and drones, and what they learned in other situation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test result in the t-test of the corresponding sample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 score of the STEAM attitude test (p <.05). The drone-based HTE-STEAM program ha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overall attitude toward STEAM education, which consists of seven subfactors. Third, in the HTE-STEAM satisfaction test, the average value of the lower job offer was 3.64 ~ 3.76, which showed a positive response overall. It is judged that the students' satisfaction is improved through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situation and the design of creative convergence and production process.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자연재해 활용 HTE-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들의 STEAM에 대한 태도와 만족도 변화를 검증하는데 있다. 자연재해를 활용한 6차시의 HTE-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경기도 G 고등학교와 세종시 N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43명을 대상으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자료 분석은 단일집단 사전, 사후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STEAM에 대한 태도 및 만족도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지구과학 영역의 '자연재해' 주제를 선정하여 드론 인명 구조사가 되어 드론을 비행하는 STEAM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총 6차시로 구성된 프로그램은 자연재해 및 드론과 관련된 필수 지식과 다른 상황에서 학습한 내용을 적용하여 학생들이 주어진 문제를 직접 해결하도록 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STEAM 태도 검사의 사전·사후 점수 차에 의한 대응 표본 t-검정에서 모두 유의미한 통계적 검정 결과를 나타내었다(p<.05). 드론을 활용한 HTE-STEAM 프로그램은 7개 하위 구인으로 구성된 STEAM 교육에 대한 태도 전반에 걸쳐 유의미한 향상 효과가 있었다. 셋째, HTE-STEAM 만족도 검사에서는 하위 구인의 평균값이 3.64~3.76을 나타내어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학생이 주어진 문제 상황을 스스로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창의융합적인 설계 및 제작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창익, 강경희, 이상칠(2013), 활동 중심 STEAM 프로그램 이 중학생들의 과학 학습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연구지, 37(2), 338-347.
  2.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15-74]. 세종: 교육부.
  3. 교육부(2016). 지능정보사회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중장기 교육정책의 방향과 전략(試案)[교육부 보도자료(2016.12.23.)]. 세종: 교육부.
  4. 교육부(2017). 고교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계획 발표[교육부 보도 자료(2017.11.27.)]. 세종: 교육부.
  5. 권성기(2001). 우리나라의 대규모 재난 사고를 주제로 한 중등과학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에 관한 연구. 교과교육공동연구소.
  6. 김미정, 홍준의(2019). 고등학생을 위한 항공기, 공항 관련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47(3), 384-392.
  7. 김영홍, 김진수(2017). 국내 STEAM 교육 연구 논문의 현황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2(1), 140-159. https://doi.org/10.35140/KIIEDU.2017.42.1.140
  8. 나정향(2019). 초등학생들의 자연재해에 대한 인식의 사회과교육적 의미.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미래창조과학부(2016).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 미래창조과학부 보도자료(2016.12.29.). 세종: 교육부.
  10. 박은정(2006). 자연재해에 관한 영상자료가 초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송진웅, 나지연(2014). 창의융합의 과학교육적 의미와 과학 교실문화의 방향. 교과교육학연구, 18(3), 827-845. https://doi.org/10.24231/RICI.2014.18.3.827
  12. 이상균(2017). 과학과 Eco-STEAM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환경소양과 STEAM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1), 62-75.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1.62
  13. 이상균, 김순식(2013). 지역체험자원을 활용한 STEAM수업이 과학적 태도와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3), 261-270. https://doi.org/10.15523/JKSESE.2013.6.3.261
  14. 이용섭, 김윤경(2012). 과학 기반 STEAM의 '날씨와 우리생활' 학습이 창의적 사고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2), 204-212. https://doi.org/10.15523/JKSESE.2012.5.2.204
  15. 장덕호(2017). 지능정보사회에서 학교교육체제 혁신 방향과 과제 탐색을 위한 시론적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5(12), 127-136. https://doi.org/10.14400/JDC.2017.15.12.127
  16. 제갈금희(2006).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의 자연재해 내용분석 및 과학교사의 인식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한국과학창의재단(2009). 국내외 수학.과학 및 창의교육 정책동향 및 교육사례 조사 분석. 서울: 한국과학창의창재단.
  18. 한국과학창의재단(2017). 융합인재교육(STEAM) 사업성과 분석 연구[AD18030006].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19. 한민경, 김수향(201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연재해 안전교육 실태 및 교사의 인식 분석: 대구 및 경북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6(1), 135-162.
  20. 한신, 김형범(2019). 초등학생을 위한 활동중심 STEAM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자외선'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19(6), 513-523.
  21. 한신, 이달희(2019).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연구.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지, 9(2), 161-171.
  22. Arcand, K. K., & Watzke, M. (2014). Here, there & everywhere: Science through metaphor, near and far. Science Communicating Astronomy with the Public Journal, 15(1), 8-9.
  23. Engelson, D. C., & Yockers, H. (1994). A guide to curriculum planning in environmental education. Milwaukee, Wisconsin: Wisconsin Department of Public Instruction.
  24.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2016). A draft of the national core curriculum for basic education. Helsinki: National Board of Education.
  25. Gill, S., Gulsvig, L., & Peek, L. (2008). Children and disasters annotated resource list. Children, Youth and Environments, 18(1), 485-510.
  26. NACCRRA. (2006a). Disaster Preparation, Child Care Bureau,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7. NACCRRA. (2006b). Is Child Care Ready?, Child Care Bureau,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8. Oh, S. H., & Kim, H. G. (2013). Effect of education of natural disaster on eco-friendly attitude of children in integrated class in the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1), 1004-1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1004
  29. Ready, D. (2014). Student mathematics performance in the first two years of teach to one: Math. New York.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30. Rubinstein, M. F. (1995). Patterns of problem solving (2nd ed). New York: Prentice-hall.
  31. Shores, E. F., Grace, C., Barbaro, M. C., & Flenner, M. (2009). Putting young children on disaster maps: The challenges of child care data integration. Journal of Emergency Management, 5, 47-56.
  32. Tan, L. T., Goh, B., Subramaniam, S., & Ramanathan, O. (2017). Engaging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authentic research projects based on environmental science theme. Singapor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33. Vihma, L., & Aksela, M. (2014). Inspiration, Joy, and Support of STEM for Children, Youth and Teachers through the Innovative LUMA Collaboration. Finnish Innovations and Technologies in Schools: A Guide towards New Ecosystems of Learning. Rotterdam, Sense Publishers.
  34. Yamamura, E. (2012). Experience of technological and natural disasters and their impact on the perceived risk of nuclear accidents after the Fukushima nuclear disaster in Japan 2011: A cross-country analysis. The Journal of Socio-Economics, 41, 360-363. https://doi.org/10.1016/j.socec.2012.04.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