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Suggestion of Integrated Collaboration System to Revitalize Community-Based National Science Museums

지역사회 기반 전국과학관 활성화를 위한 통합이용제도 개발 및 제언

  • Received : 2019.11.30
  • Accepted : 2019.12.26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In order for the science museum to play a role as a foundation for strengthening the national creative capability, which is the core of the advanced national development paradigm, it is important to gather the capacities of the nation's science museums and establish a platform to cooperate in a shared value system. Science museum is an independent operating system, and there is a lack of strong connections among national, public and private science museums. The existing integrated collaboration system of science museums-centered can be studied first and promoted to develop programs for the free school year according to a specific topic. The same system of science museum-inclusion which link local cultural institutions or cultural places as science culture program were also studied to do the same purpose. On the basis of problems drawn from studies of integrated collaboration systems of each participating science museum, we proposed a convergence integrated collaboration systems of science museum-centered and science museum-inclusion.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practitioners of 7 representing science museums including 5 national ones. In order to suggest improvements, we also contacted five international science museums to collect the exemplary cases.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science museum-inclusion integrated collaboration systems consider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science museum-centered integrated collaboration systems for free school semesters, were developed and tried by practitioner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integrated collaboration system can be more activated for the community. This suggests that support from the national level or at the level of regional autonomy is essential and the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is necessary for the integrated collaboration system program. Finally, professional experts such as program development or commentator can be a decisive role.

과학관이 선진국형 국가발전 패러다임의 핵심인 국가 창의역량 강화를 위한 기반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국가 전체 과학관의 역량을 모으고, 공유된 가치체계 속에서 협력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현재 국내 과학관은 독자적 운영체제로 국·공·사립 과학관간의 유기적인 연계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관을 중심으로 하여 특정한 주제에 따라 자유학년제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과 과학관을 포함하여 지역의 문화기관 또는 문화장소 등을 연계한 과학문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기존의 통합이용제도를 수행하고 있는 수개의 과학관에서의 개발 및 운영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도출된 문제점을 기반으로 개선을 통해 과학관중심 또는 과학관포함의 지역사회 기반 통합이용제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국내의 7개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개선사항을 제시하기 위해서 국외의 5개의 모범적인 통합이용제도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개선사항에 참고하였다.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과학관중심으로 자유학년제용 통합이용제도 또는 문화적인 특성을 고려한 과학관포함 과학문화 통합이용제도는 이 연구에 참여한 과학관 실무자들에 의해서 개발되어 일부는 실제 운영 되었으며 지역기반 국공사립의 과학관의 연계를 활성화 하는데 통합이용제도 프로그램이 결정적인 기능을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제언으로는 국가차원에서 또는 지방자치제에의 차원에서의 지원이 필수적이며, 교육과정과의 연계가 통합이용제도 프로그램, 이를 개발하고 해설을 하는 전문 인력 배치 또한 중요한 요소로 파악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성(2006). 박물관 협력망 운영활성화 방안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정책연구보고서.
  2. 권영득(2006). 민속생활사박물관 협력망사례로 본 박물관 활성화 방안연구: 박물관 교육과 유물정리 지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노용, 이주연, 류지영, 이선아(2007). 박물관 교육의 기본. 서울: 미진사.
  4. 박영신(2015). 상황학습을 통한 과학 도슨트의 전문성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98-113.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1.98
  5. 박영신(2018). 전국 과학관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책연구보고서.
  6. 박영신, 유지연(2017). 국내 과학관 전시물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NOS) 특징 분석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 및 이의 적용.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2), 104-121.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2.104
  7. 박영신, 이정화(2011). 과학관 도슨트 양성 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및 발전 방향 모색. 한국지구과학회지, 32(7), 881-991. https://doi.org/10.5467/JKESS.2011.32.7.881
  8. 박정의, 김형훈(2012). 과학문화를 위한 과학관의 역할과 발전방안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11, 61-71.
  9. 송성수(2009). 과학기술과 문화가 만날 때: 과학기술문화론 탐구. 서울: 한울출판사.
  10. 송성수(2010). 과학관의 사례와 발전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자료.
  11. 송우용(2014). 전국 과학관 협력 네트워크 강화 방안 연구. 미래창조과학부 정책연구보고서.
  12. 송우용(2016). 전국과학관 연계활성화 및 지원전략 마련 연구. 미래창조과학부 정책연구보고서.
  13. 신영준(2012). 공.사립 과학관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책연구보고서.
  14. 신영준, 신명경, 전영석, 정광훈, 임두원, 문만용, 임지은, 이봉우(2013). 국내 중소 과학관 현황 분석: 과학관의 조직, 운영,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359-372.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2.359
  15. 윤병화(2012). 학예사를 위한 박물관학. 파주: 예문사.
  16. 윤영두, 최훈(2015). 융합교육에 있어서 과학관의 역할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전문지, 19(6), 1353-1358.
  17. 이재환(2007). 전국 과학관 협회 국내외 네트워크 구축방안. 과학기술부 정책연구보고서.
  18. 정세환, 박영신(2015). 비형식교육기관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무인도를 이용한 체험활동 프로그램 사례.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281-296.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3.281
  19. 최형빈, 염범석, 이유, 오수연(2016). 천문과학관의 전시 자료와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관련성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2), 173-185.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2.173
  20. Alpert, C. L. (2009). Broadening and deepening the impact: A theoretical framework for partnerships between science museums and STEM research centres. A Journal of Knowledge, Culture and Policy, 23(3-4), 267-281.
  21. Bruyas, A-M. & Riccio, M (eds) (2013) Science Centres and Science Events. Milano: Springer Milan.
  22. Grenier, R. S. (2009). The role of learning in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in museum docents. Adult Education Quarterly, 59(2), 142-157. https://doi.org/10.1177/0741713608327369
  23. Hooper-Greenhill, E. (2007). Museums and Education: purposes, pedagogy, performance. Routledge Press, London and New York.
  24. Park, Y. S., Park, J. H., & Ryu, H. S. (2014).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EAM program developed by docents and its educational impact in the natural history museu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7(1), 75-90. https://doi.org/10.15523/JKSESE.2014.7.1.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