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시철도역 이용수요 추정 및 이동편의시설 규모 예측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stimation of Demand for Urban Railway Stations and Forecast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Size Prediction

  • 김황배 (남서울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 이상화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 배춘봉 (남서울대학교 첨단교통환경연구소)
  • 투고 : 2019.11.09
  • 심사 : 2019.11.18
  • 발행 : 2019.12.01

초록

도시철도 출입구 규모는 이용자의 수요에 따라 산정되어야 하나, 우리나라는 일률적인 값을 적용, 출입구 위치에 따라 이용자의 편차가 많이 발생하여 불편을 겪는다. 최근 교통약자편의증진법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등의 이동편의시설의 설치가 의무화되고 있지만 기존 역의 경우 이용자 수요와 상관없이 설치 가능한 곳에 주로 배치가 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용이 많이 불편하다. 이동편의시설 위치 및 규모가 역 설계 또는 건설시 반영될 수 있도록 본 연구에서는 역 출입구별 이용수요를 예측하여 출입구의 이동편의시설 규모 산정 모형을 정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역별 승하차 이용수요, 철도역 주변 용도별 건물 연상면적을 활용하여 1일 수요 예측을 위한 다중회귀모형식을 수립하였다. 추정된 모형의 검증을 위해 동대문역과 종각역의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국내외 에스컬레이터 산정식을 활용하여 출입구별 에스컬레이터 설치 규모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단일역을 대상으로 이용수요를 추정하는 것이 좀 더 정확하였으며, 종각역은 1번 출구에 상하행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나, 4번 출구에 설치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2018년 게재한 도시철도역 출입구 유출입 이용자 추정 모형 수립 논문의 발전된 형태로 향후 역 신설시 또는 이동편의시설물 설치 및 확장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더불어 현재 무분별하게 설치하는 에스컬레이터 설치 기준의 기초가 될 것으로 보인다.

The size of the subway entrance should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user's demand, but Korea has the same size for each entrance by applying a uniform value. Recently, the installation of mobile convenience facilities such as escalators, elevators, etc. is mandated by the traffic weakness promotion law, but it is inconvenient to use the existing stations because it is mainly arranged in the place where it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user demand.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model for estimating the size of mobile convenience facilities by predicting the use demand of each station entrance so that the location and size of mobile facilities can be reflected in the design or construction of the station. To this end, a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established to forecast daily demand by utilizing the demand for getting on and off by station and the building association area for each purpose around the railway station. The actual data of Dongdaemun and Jonggak Stations were used to verify the estimated model. In addition, the escalator installation scale was compared / analyzed by doorway using domestic and overseas escalator equations. As a result, it was more accurate to estimate the usage demand for a single station. Also, Jonggak Station has an up and down escalator installed at exit 1, but it was analyzed that it is appropriate to install at exit 4. This study is an advanced form of the essay model for estimating the users of the entrance and exit users of urban railway stations published in 2018. In addition, it seems to be the basis of the current escalator installation criteria.

키워드

참고문헌

  1. Kim, H. B., Lee S. H. and Bae, C. B. (2019). "Establishment Model of Entrance and Exit User of Urban Railway Station." J. Korean Soc. Civ. Eng., KSCE, Vol. 39, No. 1, pp. 83-84 (in Korean).
  2. KONE Corporation (2009). People flow in transit stations, pp. 29-33.
  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5). Complex transfer center design and layout criteria, pp. 17-27 (in Korean).
  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8). Design guidelines for subway stations and transit convenience facilities, pp. 12-13 (in Korean).
  5. Network Rail (2016). Station capacity planning guidance, pp. 27-29.
  6. Shin, Y. S. (2000). Study on transportation provision and facility maintenance guide,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00-13 Research Series, p. 9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