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선유(船遊)와 유산(遊山)으로 본 정수영(鄭遂榮)의 《한임강유람도권》 고찰

A Study on Jeong Su-yeong's Handscroll of a Sightseeing Trip to the Hangang and Imjingang Rivers through the Lens of Boating and Mountain Outings

  • 한상윤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 투고 : 2019.03.20
  • 심사 : 2019.11.22
  • 발행 : 2019.12.20

초록

본 논문은 지우재(之又齋) 정수영(鄭遂榮)(1743~1831)의 《한임강유람도권(漢臨江遊覽圖卷)》이 한양 근교 지역의 여러 곳을 선유(船遊)와 유산(遊山) 여행하면서 화가의 주관적인 시각이 잘 담긴 사적인 여행 기록이라는 점을 밝힌 연구이다. 이 작품은 정수영이 1796년 무렵, 각 지역을 여행하고 총 16m 길이의 긴 화권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처럼 독립된 경관으로 나뉜 작품을 긴 두루마리의 형태로 계속 이어 붙인 점은 《한임강유람도권》이 특별한 여행이 아닌 여행에서 마주한 주관적 경험을 담았음을 보여준다. 《한임강유람도권》은 장소에 따라 선유와 유산의 두 가지 여행 형태로 구분된다. 선유 여행 지역은 넓게 한강과 임진강 수계에 포함되며, 유산 여행 장소는 북한산과 관악산 일대, 도봉산 지역이다. 정수영은 넓은 범위의 장소를 한 번이 아닌 여러 번에 걸쳐서 여행했음이 확인된다. 특히 한강 수계의 장소에서 그려진 순서가 실제 위치와 다른 점은 이곳이 다른 시간대에 이루어졌을 것이라는 사실을 뒷받침해준다. 한강변 및 남한강변은 두 차례에 걸쳐 여행한 후, 제14장면까지 그렸다. 이 중 1차 선유 여행은 첫 장면에서 제8장면까지, 2차 선유 여행은 제9장면부터 제14장면까지인 점이 확인된다. 화권의 전체 길이 상 절반을 차지하는 양으로 한양에서 가까운 근교 지역이 많이 남겨진 것을 알 수 있다. 한강 수계의 1차 선유 여행은 잘 알려진 곳보다 자신의 여행 과정에서 눈으로 직접 마주한 풍경을 표현하였다. 용문산이나 청심루, 신륵사와 같이 여주 팔경에 속하는 곳도 그렸으나 흔히 명소를 표현하는 방식이 아닌, 자기의 눈에 들어온 잘 그려지지 않았던 장소를 수평시점으로 묘사하였다. 2차 선유 여행에서는 친구의 별업을 그리고, 친구들과 함께 한 순간을 담았다. 이에 더해 1차 여행에서 그린 청심루와 신륵사를 시점과 구도를 달리해 표현하였다. 정수영은 이미 그린 장소도 다른 시점과 각도에서 그리고자 했다. 한강 수계의 1, 2차 선유 여행은 길을 그대로 표현한 곳이 많아 현장감 있는 표현이 돋보이며, 배에서 경물을 수평적 바라보는 정수영의 시선이 잘 느껴진다. 임진강 수계에서는 영평천과 한탄강의 장소가 먼저 그려지고, 화권의 가장 마지막 부분은 임진강 물길에 있는 곳이 그려졌다. 이곳은 다양한 시점으로 표현되었는데, 여기서만 나타나는 특징적인 점이다. 정수영은 영평천에 있었던 장소에서 이어지는 물길의 흐름을 보여주기 위해 부감시점으로 표현했지만, 백운담에서 수평시점으로 바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은 바위에 대한 관심의 표현으로 보인다. 그가 보여주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자유롭게 시점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한탄강변에 위치한 화적연은 주변의 모습과 바위가 한눈에 들어오도록 부감시점이 사용되었다. 임진강변에서는 우화정 주변의 모습이 부감시점과 파노라마 형식으로 잘 드러나며, 이보다 상류에 위치한 토산의 삼성대와 낙화암은 위로 올려다보는 시점[앙시(仰視)]으로 표현되었다. 유산 여행의 장소에서는 주로 정자와 암자가 그려졌다. 먼저 북한산의 재간정은 한강 수계의 선유 여행 경로와 이어지지 않으며, 다른 유산 여행과도 화권에서 분리되어 있기에 이전까지 정확한 장소가 밝혀지기 어려웠다. 필자는 한양 근교 중 재간정이라는 이름을 찾아 북한산 우이동구곡 중 한 곳과 손가장의 재간정으로 추정해보았다. 몇몇 기록들의 재간정에 대한 묘사가 비슷한 것은 두 곳 모두 북한산의 계곡에 위치했기 때문이다. 관악산 일대는 취향정과 일간정 두 정자와 관악산 줄기인 검지산이 그려졌다. 일간정은 관악산에서 잘 알려진 신위의 정자였으나, 정수영은 신위와 연관시키지 않고 객관적인 지리정보만 표기하였다. 취향정과 검지산에서는 담장이 묘사되어 있다. 정수영은 담장을 그리면서 <취향정>에서는 담장 안을 주제로, <검지산>은 담장 밖을 중심으로 다르게 그렸다. 도봉산에서는 망월암과 옥천암 두 암자를 담았다. 이 부분도 어느 곳을 그린 것인지 알려지지 않았으나 임천상의 『궁오집』을 통해 도봉산을 그린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화가들이 그린 도봉산은 도봉서원과 만장봉을 부각시켜 드러낸 것에 반해 정수영은 암자 두 곳을 표현했다. <망월암>에는 영산전과 천봉탑비가 그려지고, <옥천암>에서는 대웅전이 정면으로 배치되었다. 정수영은 화면에 암자 건물과 함께 도봉산의 봉우리 모습을 그렸으나 봉우리의 명칭은 적지 않았다. 이를 통해 도봉산의 봉우리를 배경으로만 나타내고자 했던 것이 간취된다. 《한임강유람도권》은 정수영의 개인적인 시각이 잘 반영되어 있으며, 그가 지나온 여행의 흔적들을 담고 있는 기록이라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 작품이다.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Handscroll of a Sightseeing Trip to the Hangang and Imjingang Rivers by Jeong Su-yeong (1743~1831, pseudonym: Jiwujae) is a record of his private journeys to several places on the outskirts of Hanyang (present-day Seoul) and that it successfully embodies the painter's subjective perspective while boating on these rivers and going on outings to nearby mountains. Around 1796, Jeong Su-yeong traveled to different places and documented his travels in this 16-meter-long handscroll. Several leaves of paper, each of which depicts a separate landscape, are pieced together to create this long handscroll. This indicates that the Handscroll of a Sightseeing Trip to the Hangang and Imjingang Rivers reflected the painter's personal subjective experiences as he went along his journey rather than simply depicts travel destinations. The Handscroll of a Sightseeing Trip to the Hangang and Imjingang Rivers features two types of travel: boating and mountain outings on foot. Traveling by boat takes up a large portion of the handscroll, which illustrates the channels of the Hangang and Imjingang Rivers. Mountain outings correspond to the sections describing the regions around Bukhansan, Gwanaksan, and Dobongsan Mountains. Jeong Su-yeong traveled to this wide span of places not just once, but several times. The fact that the Hangang River system are not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their actual locations shows that they were illustrated at different points. After visiting the riversides of the Hangang and Namhangang Rivers twice, Jeong Su-yeong delineated them in fourteen scenes. Among them, the first eight illustrate Jeong's initial trip by boat, while the other six scenes are vistas from his second trip. These fourteen scenes occupy half of this handscroll, indicating that the regions near the Hangang River are painted most frequently. The scenes of Jeong Su-yeong's first boating trip to the system of the Hangang River portray the landscapes that he personally witnessed rather than famous scenes. Some of the eight scenic views of Yeoju, including Yongmunsan Mountain, Cheongsimru Pavilion, and Silleuksa Temple, are included in this handscroll. However, Jeong noted spots that were not often painted and depicted them using an eye-level perspective uncommon for illustrating famous scenic locations. The scenes of Jeong's second boating trip include his friend's villa and a meeting with companions. Moreover, Cheongsimru Pavilion and Silleuksa Temple, which are depicted in the first boating trip, are illustrated again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nd in unique compositions. Jeong Su-yeong examined the same locations several times from different angles. A sense of realism is demonstrated in the scenes of Jeong's first and second boating trips to the channels of the Hangang River, which depict actual roads. Furthermore, viewers can easily follow the level gaze of Jeong from the boat. The scenes depicting the Imjingang River begin from spots near the Yeongpyeongcheon and Hantangang Rivers and end with places along the waterways of the Imjingang River. Here, diverse perspectives were applied, which is characteristic of Imjingang River scenes. Jeong Su-yeong employed a bird's-eye perspective to illustrate the flow of a waterway starting from the Yeongpyeongcheon River. He also used an eye-level perspective to highlight the rocks of Baegundam Pool. Thus, depending on what he wished to emphasize, Jeong applied different perspectives. Hwajeogyeon Pond located by the Hantangang River is illustrated from a bird's-eye perspective to present a panoramic view of the surroundings and rocks. Similarly, the scenery around Uhwajeong Pavilion by the Imjingang River are depicted from the same perspective. A worm's-eye view was selected for Samseongdae Cliff in Tosangun in the upper regions of the Imjingang River and for Nakhwaam Rock. The scenes of Jeong Su-yeong's mountain outings include pavilions and small temple mainly. In the case of Jaeganjeong Pavilion on Bukhansan Mountain, its actual location remains unidentified since the pavilion did not lead to the route of the boating trip to the system of the Hangang River and was separately depicted from other trips to the mountains. I speculate that Jaeganjeong Pavilion refers to a pavilion either in one of the nine valleys in Wooyi-dong at the foot of Bukhansan Mountain or in Songajang Villa. Since these two pavilions are situated in the valleys of Bukhansan Mountain, their descriptions in written texts are similar. As for Gwanaksan Mountain, Chwihyangjeong and Ilganjeong Pavilions as well as Geomjisan Mountain in the Bukhansan Mountain range are depicted. Ilganjeong Pavilion was a well-known site on Gwanaksan that belonged to Shin Wi. In this handscroll, however, Jeong Su-yeong recorded objective geographic information on the pavilion rather than relating it to Shin Wi. "Chwihyangjeong Pavilion" is presented within the walls, while "Geomjisan Mountain" is illustrated outside the walls. Handscroll of a Sightseeing Trip to the Hangang and Imjingang Rivers also includes two small temples, Mangwolam and Okcheonam, on Dobongsan Mountain. The actual locations of these are unknown today. Nevertheless, Gungojip (Anthology of Gungo) by Yim Cheonsang relates that they were sited on Dobongsan Mountain. Compared to other painters who stressed Dobong Seowon (a private Confucian academy) and Manjangbong Peak when depicting Dobongsan Mountain, Jeong Su-yeong highlighted these two small temples. Jeong placed Yeongsanjeon Hall and Cheonbong Stele in "Mangwolam small temple" and Daeungjeon Hall in front of "Okcheonam small temple." In addition to the buildings of the small temple, Jeong drew the peaks of Dobongsan Mountain without inscribing their names, which indicates that he intended the Dobongsan peaks as a background for the scenery. The Handscroll of a Sightseeing Trip to the Hangang and Imjingang Rivers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embodies Jeong Su-yeong's personal perceptions of scenic spots on the outskirts of Hanyang and records his trips to these places.

키워드

참고문헌

  1. 呂春永, 軒適集
  2. 任天常, 窮悟集
  3. 鄭來僑, 浣巖集
  4. 성해응 지음, 박동욱 옮김, 동국산수기, 서울: 한양대학교출판부, 2012.
  5. 유몽인, 최익현 외 지음, 전송열, 허경진 옮김, 조선선비의 산수기행, 파주: 돌베개, 2016.
  6. 이기봉, 조선의 지도 천재들, 서울: 새문사, 2011.
  7. 이기봉, 고지도를 통해 본 경기지명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2011.
  8. 이기봉, 고지도를 통해 본 서울지명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2011.
  9. 이종묵, 조선의 문화공간 2(조선중기: 귀거래와 안분), 서울: 휴머니스트, 2006.
  10. 이종묵, 조선의 문화공간 3(조선중기: 나아감과 물러감), 서울: 휴머니스트, 2006.
  11. 이종묵, 조선의 문화공간 4(조선후기: 내가 좋아하는 삶), 서울: 휴머니스트, 2006.
  12. 이종묵, 조선시대 경강의 별서(남호편), (서호편), (동호편), 파주: 경인문화사, 2016.
  13. 이태호, 옛 화가들은 우리 땅을 어떻게 그렸나 : 아름다운 우리 땅 우리 순례, 서울: 마로니에북스, 2015
  14. 정병삼, 홍대한, (봉미산) 신륵사, 서울: 대한불교진흥원, 2011.
  15. 정치영, 사대부, 산수 유람을 떠나다,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6. 정치영, 박정혜, 김지현 공저, 조선의 명승,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7. 고연희, 조선 후기 地圖와 繪畫로 찾아가 본 道峯山, 한국고지도연구 9, 2017.
  18. 권경록, 18세기 '삼각산'의 문화지형과 공간의 재발견 - 柳匡天과 申命顯의 山水遊記를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47, 2011.
  19. 김미정, 之又齋 鄭遂榮의 괴석.화훼도 고찰, 명지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8.
  20. 김영진, 鄭遂榮의 之又齋詩稿, 고전과 해석 6, 2009.
  21. 노재현, 박태희, 누정 제영시와 고지도에 투영된 청심루와 여주팔경의 경관구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 2011.
  22. 박은순, 朝鮮時代 樓亭文化와 實景山水畫, 미술사학연구 250.251, 2006.
  23. 박은순, 충주, 남한강 유역 문화의 인문학적 접근 : 朝鮮時代 南漢江 實景山水畫 硏究, 온지논총 26, 2010.
  24. 박정애, 之又齋 鄭遂榮의 山水畫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0.
  25. 박정애, 지우재 정수영의 산수화 연구, 미술사학연구 235, 2002.
  26. 박정애, 鄭遂榮의 '之又齋山水十六景帖' 연구, 미술사논단 21, 2005.
  27. 서영일, 남한강 수로의 물자유통과 흥원창, 사학지 37, 2005.
  28. 오상학, 鄭尙驥의 <東國地圖>에 관한 연구 - 제작배경과 寫本들의 系譜를 중심으로, 지리학논총 24, 1994.
  29. 이기봉, 정상기의 동국지도 제작 과정에 관한 연구 - 동국여지승람과 해동지도 계통의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규장각30, 2007.
  30. 이기봉, 정상기의 '동국지도' 수정본 계열의 제작 과정에 관한 연구, 문화역사지리 20, 2008.
  31. 이상균, 조선시대 사대부의 유람 양상, 정신문화연구 34, 2011.
  32. 이수미, 조선시대 漢江名勝圖 연구, 서울학연구 6, 1995.
  33. 이종묵, 봉은사 일대의 풍광과 그 제영, 한국한시연구 4, 1996.
  34. 이종묵, 관악산 자하동의 역사와 자하 신위, 문헌과 해석 31, 2005.
  35. 이종묵, 홍양호와 홍경모의 글로 남은 우이구곡의 기억, 인문과학연구 16, 2011.
  36. 이종묵, 남한강 기행-동호에서 여강까지, 문헌과 해석 58, 2012.
  37. 이종묵, 조선 후기 楮子島의 문화사, 국문학연구 30, 2014.
  38. 이태호, 之又齋 鄭遂榮의 繪畫 : 그의 在世年代와 作品槪觀, 미술자료 34, 1984.
  39. 이태호, 새로 공개된 謙齋 鄭歚의 1742년작 <漣江壬戌帖> -蘇東坡 赤壁賦의 조선적 형상화-, 동양미술사학 2, 2013.
  40. 이태호, 겸재 정선, 가을 임진강을 그리다 - 1742년 작 '연강임술첩' 신화첩본에 대하여, 조선후기산수화전, 서울: 동산방화랑, 2011.
  41. 장진아, 朝鮮後期 文人眞景山水畫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97.
  42. 조규희, 조선 후기 한양의 명승명소도와 國都 명승의 재인식, 한국문학과 예술 10, 2012.
  43. 최열, 조선문인화의 절정 정수영, 200년 만의 복권, 내일을 여는 역사 54, 2014.
  44. 경기도박물관, 임진강, 용인: 경기도 박물관, 2009.
  45. 경기도박물관, 조선 근본의 땅, 경기, 용인: 경기도 박물관, 2014.
  46. 국립민속박물관, 한강 : 한민족의 젖줄, 서울: 국립 민속 박물관, 2000.
  47.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동원컬렉션 명품선 1,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2012.
  48. 국립중앙박물관, 서화유물도록 제21집: 조선시대 지도와 회화,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2013.
  49. 국립중앙박물관, 지도예찬 : 조선지도 500년,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2018.
  50. 국립중앙박물관, 한국서화도록 제26집: 조선시대 실경산수화1,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2018.
  51. 국립중앙박물관, 우리 강산을 그리다 : 화가의 시선, 조선시대 실경산수화,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2019.
  52. 국립청주박물관, 남한강문물 : 충북문화의 원류를 찾는 물길답사, 청주: 국립청주박물관,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