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im Eung-hwan's Official Excursion for Drawing Scenic Spots in 1788 and his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1788년 김응환의 봉명사경과 《해악전도첩(海嶽全圖帖)》

  • Oh, Dayun (Fine Arts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오다연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 Received : 2019.09.20
  • Accepted : 2019.11.22
  • Published : 2019.12.20

Abstract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comprises sixty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s depicting Geumgangsan Mountain, the Haegeumgang River, and the eight scenic views of Gwandong regions, as well as fifty-one pieces of writing. It is a rare example in terms of its size and painting style. The paintings in this album, which are densely packed with natural features, follow the painting style of the Southern School yet employ crude and unconventional elements. In them, stones on the mountains are depicted both geometrically and three-dimensionally. Since 1973, parts of this album have been published in some exhibition catalogues. The entire album was opened to the public at the special exhibition "Through the Eyes of Joseon Painters: Real Scenery Landscapes of Korea" hel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2019.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was attributed to Kim Eung-hwan (1742-1789) due to the signature on the final leaf of the album and the seal reading "Bokheon(painter's penname)" on the currently missing album leaf of Chilbodae Peaks. However,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that this signature and seal may have been added later. This paper intends to reexamine the creator of this album based on a variety of related facto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duction background of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I investigated the eighteenth-century tradition of drawing scenic spots while travelling in which scenery of was depicted during private travels or official excursions. Jeong Seon(1676-1759), Sim Sa-jeong(1707-1769), Kim Yun-gyeom(1711-1775), Choe Buk(1712-after 1786), and Kang Se-hwang(1713-1791) all went on a journey to Geumgangsan Mountain, the most famous travel destination 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created paintings of the mountain, including Album of Pungak Mountain in the Sinmyo Year(1711) by Jeong Seon. These painters presented their versions of the traditional scenic spots of Inner Geumgangsan and newly depicted vistas they discovered for themselves. To commemorate their private visits, they produced paintings for their fellow travelers or sponsors in an album format that could include several scenes. While the production of paintings of private travels to Geumgangsan Mountain increased, King Jeongjo(r. 1776-1800) ordered Kim Eung-hwan and Kim Hong-do, court painters at the Dohwaseo(Royal Bureau of Painting), to paint scenic spots in the nine counties of the Yeongdong region and around Geumgangsan Mountain. King Jeongjo selected these two as the painters for the official excursion taking into account their relationship, their administrative experience as regional officials, and their distinct painting styles. Starting in the reign of King Yeongjo(r. 1724-1776), Kim Eung-hwan and Kim Hong-do served as court painters at the Dohwaseo,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as a senior and a junior and as colleagues, and served as chalbang(chief in large of post stations) in the Yeongnam region. While Kim Hong-do was proficient at applying soft and delicate brushstrokes, Kim Eung-hwan was skilled at depicting the beauty of robust and luxuriant landscapes. Both painters produced about 100 scenes of original drawings over fifty days of the official excursion. Based on these original drawings, they created around seventy album leaves or handscrolls. Their paintings enriched the tradition of depicting scenic spots, particularly Outer Inner Geumgang and the eight scenic views of Gwandong around Geumgangsan Mountain during private journeys in the eighteenth century. Moreover, they newly discovered places of scenic beauty in the Outer Geungang and Yeongdong regions, establishing them as new painting themes.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consists of four volumes. The volumes I, II include twenty-nine paintings of Inner Geumgangsan; the volume III, seventeen scenes of Outer Geumgangsan; and the volume IV, fourteen images of Maritime Geumgangsan and the eight scenic views of Gwandong. These paintings produced on silk show crowded compositions, geometrical depictions of the stones and the mountains, and distinct presentation of the rocky peaks of Geumgangsan Mountain using white and grayish-blue pigments. This album reflects the Joseon painting style of the mid- and late eighteenth century, integrating influences from Jeong Seon, Kang Se-hwang, Sim Sa-jeong, Jeong Chung-yeop(1725-after 1800), and Kim Hong-do. In particular, some paintings in the album show similarities to Kim Hong-do's Album of Famous Mountains in Korea in terms of its compositions and painterly motifs. However, "Yeongrangho Lake," "Haesanjeong Pavilion," and "Wolsongjeong Pavilion" in Kim Eung-hwan's album differ from in the version by Kim Hong-do. Thus, Kim Eung-hwan was influenced by Kim Hong-do, but produced his own distinctive album.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includes scenery of "Jaundam Pool," "Baegundae Peak," "Viewing Birobong Peak at Anmunjeom groove," and "Baekjeongbong Peak," all of which are not depicted in other albums. In his version, Kim Eung-hwan portray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features in each scenic spot in a detailed and refreshing manner. Moreover, he illustrated stones on the mountains using geometric shapes and added a sense of three-dimensionality using lines and planes. Based on the painting traditions of the Southern School, he established his own characteristics. He also turned natural features into triangular or rectangular chunks. All sixty paintings in this album appear rough and unconventional, but maintain their internal consistency. Each of the fifty-one writings included in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is followed by a painting of a scenic spot. It explains the depicted landscape, thus helping viewers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the painting. Intimately linked to each painting, the related text notes information on traveling from one scenic spot to the next, the origins of the place names, geographic features, and other related information. Such encyclopedic documentation began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and was common in painting albums of Geumgangsan Mountain in the mid- nineteenth century. The text following the painting of Baekhwaam Hermitage in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documents the reconstruction of the Baekhwaam Hermitage in 1845, which provides crucial evidence for dating the text. Therefore, the owner of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might have written the texts or asked someone else to transcribe them in the mid- or late nineteenth century. In this paper, I have inferred the producer of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to be Kim Eung-hwan based on the painting style and the tradition of drawing scenic spots during official trips. Moreover, its affinity with the Handscroll of Pungak Mountain created by Kim Ha-jong(1793-after 1878) after 1865 is another decisive factor in attributing the album to Kim Eung-hwan. In contrast to the Album of Famous Mountains in Korea by Kim Hong-do,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exerted only a minor influence on other painters. The Handscroll of Pungak Mountain by Kim Ha-jong is the sole example that employs the subject matter from the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and follows its painting style. In the Handscroll of Pungak Mountain, Kim Ha-jong demonstrated a painting styl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at in the Album of Seas and Mountains that he produced fifty years prior in 1816 for Yi Gwang-mun, the magistrate of Chuncheon. He emphasized the idea of "scholar thoughts" by following the compositions, painterly elements, and depictions of figures in the painting manual style from Kim Eung-hwan's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Kim Ha-jong, a member of the Gaeseong Kim clan and the eldest grandson of Kim Eung-hwan, is presumed to have appreciated the paintings depicted in the nature of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which had been passed down within the family, and newly transformed them. Furthermore, the contents and narrative styles of Yi Yu-won's writings attached to the paintings in the Handscroll of Pungak Mountain are similar to those of the fifty-one writings in Kim Eunghwan's album. This suggests a possible influence of the inscriptions in Kim Eung-hwan's album or the original texts from which these inscriptions were quoted upon the writings in Kim Ha-jong's handscroll. However, a closer examination will be needed to determine the order of the transcription of the writings. The Album of Complete View of Seas and Mountains differs from Kim Hong-do's paintings of his official trips and other painting albums he influenced. This album is a siginificant artwork in that it broadens the understanding of the art world of Kim Eung-hwan and illustrates another layer of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s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해악전도첩(海嶽全圖帖)》은 금강산과 해금강, 관동팔경을 그린 60점의 실경산수화와 51편의 기문(記文)으로 이루어진 화첩으로 규모와 화풍에 있어 보기 드문 작품이다. 그림의 특징은 화면을 가득 채운 구성과 남종화풍을 따르면서도 거칠고 파격적인 화법, 산석(山石)의 기하학적이고 입체적인 표현 등이다. 1973년의 특별전, '한국미술이천년(韓國美術二千年)'을 처음으로 화첩의 일부만 공개되었던 작품은 2019년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우리 강산을 그리다: 화가의 시선, 조선시대 실경산수화'에서 그 전모가 공개되었다. 《해악전도첩》이 김응환(金應煥)(1742~1789)의 작품으로 알려진 것은 화첩의 마지막 장에 쓰여진 관지(款識)와 현재 행방이 묘연한 <칠보대>에 찍힌 '복헌'이라는 도장 때문이었다. 그러나 김응환을 지시하는 관지와 도장은 모두 후대에 더해졌을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화첩을 둘러싼 여러 요소를 고찰하여 제작자를 재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악전도첩》 제작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18세기 금강산 기행사경도의 전통과 봉명사경을 살펴보았다. 정선(鄭敾)(1676~1759)의 《신묘년풍악도첩(辛卯年楓嶽圖)帖》(1711)을 비롯하여 심사정(沈師正)(1707~1769), 김윤겸(金允謙)(1711~1775), 최북(崔北)(1712~1786 이후), 강세황(姜世晃)(1713~1791) 등은 조선 후기 최고의 여행지였던 금강산을 유람하고 기행사경도를 제작하였다. 화가들은 이전의 전통을 계승하여 내금강의 명승명소를 주로 그렸고, 자신들이 경험한 장소를 새롭게 시각화하였다. 이러한 기행사경도는 여행을 기념하며 동행자나 후원자를 위해 여러 장면을 담을 수 있는 화첩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개별적인 금강산 기행사 경도의 제작이 증가하는 가운데 1788년에 정조(正祖)(재위 1776~1800)가 도화서 화원인 김응환과 김홍도(金弘道)(1745~1806 이후)에게 영동9군과 금강산의 명승(名勝)을 그려오도록 명한 일은 공적 업무였다. 정조는 이들의 관계 및 지방관으로서의 경력, 서로 다른 화풍 등을 고려해 봉명사경의 화원으로 선발하였다. 김응환과 김홍도는 영조(英祖)(재위 1724~1776)조부터 도화서 화원으로 활동하며 선후배이자 동료로서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나아가 이들은 영남 지역의 찰방(察訪)으로서 지방관의 업무를 수행한 경험이 있었다. 두 화원의 화풍은 서로 달라 김홍도는 부드럽고도 섬세하게 필선을 운용한 반면, 김응환은 굳세면서도 울창한 풍치를 잘 표현했다. 두 명의 화원은 각자의 개성으로 봉명사경 기간 동안 100여 폭의 초본을 그렸고, 이를 선별하여 60~70여 폭의 화첩 혹은 두루마리를 완성하였다. 이들의 그림은 18세기 전중반에 내금강과 관동팔경 위주로 제작된 금강산 기행사경도의 전통을 더욱 풍부하게 했고 영동과 외금강의 명승명소를 새롭게 발견하며 소재를 확장시켰다. 현재 《해악전도첩》은 원(元), 형(亨), 이(利), 정(貞) 4책으로 이루어졌는데, 원(元), 형(亨)책은 내금강의 그림 29점이며 이(利)책은 외금강의 장면 17점, 정(貞)책은 해금강과 관동팔경 14점으로 구성되었다. 비단 위에 그려진 각 그림은 기하학적으로 산석을 표현했으며, 연백으로 금강산의 암봉을 흰색 혹은 회청색으로 표현했다. 《해악전도첩》의 구도와 화법은 정선, 강세황, 심사정, 정충엽(鄭忠燁)(1725~1800 이후), 김응환, 김홍도의 화법과 비교할 수 있어 18세기 후반의 시대 양식을 갖는다. 특히 화첩의 일부 그림은 김홍도의 《해동명산도첩(海東名山圖帖)》(1788)과 구성 및 회화적 모티프가 매우 유사하여 두 화첩간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반면에 <영랑호>, <해산정>, <월송정> 등은 김홍도의 그림과는 구별된다. 이를 통해 화가가 김홍도와 영향을 주고받으면서도 자신만의 개성적인 화첩을 제작했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해악전도첩》에는 다른 화첩에는 등장하지 않는 <자운담>, <백운대>, <안문점망비로봉>, <백정봉>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장면마다 경물의 특징을 구체적이고 참신하게 묘사하였다. 특히, 화가는 산석을 기하학적으로 표현하고 선과 면을 도드라지게 하여 입체감을 강조하였다. 그는 남종화풍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화법을 확립했고 이를 자유자재로 운용하면서 화면에 동적인 리듬감을 부여했다. 이처럼 60점의 그림은 거칠고 파격적으로 보이지만 나름의 질서 안에서 일관성을 견지하고 있다. 본고는 화법과 봉명사경의 정황을 종합해 《해악전도첩》의 제작자를 김응환으로 추론하였다. 나아가 김하종(金夏鍾)(1793~1878 이후)의 《풍악권(楓嶽卷)》(1865년 이후)과의 친연성은 《해악전도첩》의 화가를 김응환으로 추정한 또 하나의 이유였다. 《해악전도첩》은 김홍도의 《해산첩》과는 달리 후대에 미친 영향력이 미비한데 김하종의 《풍악권》만이 《해악전도첩》의 소재와 화법을 따르고 있다. 김하종은 《풍악권》에서 50년 전, 춘천부사 이광문(李光文)(1778~1838)을 위해 제작한 《해산도첩》(1816)과는 전혀 다른 화법을 구사했다. 그는 김응환의 《해악전도첩》과 유사한 구성과 회화적 요소, 화보식 인물표현을 따르면서 사의적인 분위기를 강조하였다. 개성김씨의 일원이자 김응환의 종손인 김하종은 가문에 전해지는 《해악전도첩》류의 그림을 감상했고 이를 새롭게 번안했다고 추측된다. 화첩에 포함된 51편의 기문은 그림 다음 장에서 그려진 장소를 설명하고 있어 각 그림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 도움을 준다. 기문은 그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앞의 장소로부터의 이동 정보, 이름의 유래, 지형적 특징, 관련 정보 등이 서술되었다. 이와 같은 백과사전식 혹은 지리지와 같은 기문은 19세기 전반에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금강산 화첩류에 더해졌다. 《해악전도첩》의 백화암 기문에는 1845년의 암자에 대한 중건 내용이 기록되어, 기문의 연대를 추정하는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김하종에게 《풍악권》을 주문한 이유원(李裕元)(1814~1888)도 각 그림에 글을 붙였는데 이 글들은 김응환의 화첩에 포함된 기문 51편과 내용 및 서술방식이 흡사하다. 이유원의 기문은 《해악전도첩》의 기문이나 그 초고(원본)와 관련성이 높지만 두 화첩의 기문 필사의 선후관계를 판정하는 데에는 좀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해악전도첩》은 김홍도의 봉명사경 초본 및 김홍도의 영향으로 제작된 19세기의 금강산 화첩과는 구별된다. 이 화첩은 화원 김응환의 회화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지평을 넓히고 18세기 후반 실경산수화의 또 다른 층위를 보여주고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Keywords

References

  1. 正祖實錄
  2. 內閣日曆
  3. 承政院日記
  4. 姜世晃, 豹菴稿
  5. 成大中, 靑城集
  6. 吳載純, 海山日記, 醇庵集
  7. 李晩秀, 履園遺稿
  8. 李裕元, 嘉梧藁略
  9. 李裕元, 林下筆記
  10. 李麟祥, 凌壺集
  11. 洪敬謀, 冠巖全書
  12. 강관식, 조선후기 궁중화원 연구(상), 서울: 돌베개, 2001.
  13. 간송미술문화재단, 澗松文華: 진경산수화, 서울: 간송문화재단, 2014.
  14. 국립중앙박물관, 韓國美術二千年,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1978.
  15. 국립중앙박물관, 아름다운 金剛山, 서울: 한국박물관회, 1999.
  16. 국립중앙박물관, 우리 강산을 그리다: 화가의 시선, 조선시대 실경산수화,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2019.
  17. 국립춘천박물관, 우리 땅, 우리의 진경, 서울: 통천문화사, 2002.
  18. 박동욱.서신혜 역주, 강세황 산문집, 서울: 소명출판, 2008.
  19. 박은순, 金剛山圖 연구, 서울: 일지사, 1997.
  20. 안대회, (국역)임하필기, 서울: 한국고전번역원, 1999.
  21. 안휘준, 한국회회사, 서울: 일지사, 1980.
  22. 안휘준 책임 감수, 山水畫(下), 서울: 중앙일보사, 1981.
  23. 예술의 전당, 葦滄 吳世昌, 서울: 예술의전당, 1996.
  24. 이풍익, 동유첩, 서울: 성균관대박물관, 1994.
  25. 유복렬 편저, 韓國繪畫大觀, 서울: 문교원, 1969.
  26. 劉在建, 里鄕見聞錄, 서울: 아세아문화사, 1974.
  27. 정치영, 사대부, 산수유람을 떠나다,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28. 진준현, 단원 김홍도 연구, 서울: 일지사, 1999.
  29. 김울림, 김홍도.김응환의 봉명사경(1788)과 海東名山圖草本帖, 2019 한국미술사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동아시아의 미술과 여행, 2019.
  30. 김현정, 19世紀 朝鮮 紀行寫景圖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6.
  31. 박수희, 朝鮮 後期 開城 金氏 畫員 硏究, 미술사학연구 256, 2007. https://doi.org/10.31065/AHAK.256.256.200712.003
  32. 박은순, 金夏鍾의 海山圖帖, 美術史論壇 4, 1997.
  33. 오다연, 여정의 편집, 김하종의 海山圖帖, 2019 한국미술사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동아시아의 미술과 여행, 2019.
  34. 오주석, 畫仙 金弘道, 그 人間과 藝術, 탄생 250주년기념 특별전 논고집 단원 김홍도, 서울: 삼성문화재단, 1995 .
  35. 윤승희, 조선 후기 芥子園畵傳 初集의 수용과 산수화 제작과의 관계, 미술사학연구 295, 2017.
  36. 이경화, 녹의원에서 감상한 김응환의 <강산승람도>, 문헌과 해석 82, 2018.
  37. 이영수, 19세기 금강산도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6.
  38. 이원복, 금강산의 옛 그림- 긍지와 어엿함, 아름다운 金剛山,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1999.
  39. 이태호, 眞宰 金允謙의 眞景山水, 孝古美術 152, 1981.
  40. 장유승, 홍경모(洪敬謨)의 생애와 저술 - 관암전서(冠巖全書)를 중심으로-, 문헌과 해석 52, 2010.
  41. 장진성, 동기창과 서양기하학, 미술사학연구 256, 2007. https://doi.org/10.31065/AHAK.256.256.200712.003
  42. 진준현, 金弘道의 金剛山圖에 대한 考察, 서울대학교박물관 연보 8, 1996.
  43. 최순우, 復軒白華詩畫合壁帖考-主로 壇園의 在世年代에 관해서, 考古美術 76, 1979.
  44. 최지은, 19세기 조선 蕤堂 金夏鍾의 실경산수화 연구-海山圖帖과 楓嶽卷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8.
  45. 한경민, 復軒 金應煥의 山水畫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85.
  46. 함영대, 19세기 관료문인의 문헌정리작업과 그 문학적 형상-李裕元의 海東樂府와 蓬萊秘書를 중심으로, 문헌과 해석 3,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