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벼 무논직파 재배 안정성 확보를 위한 조건 및 재배적지 설정

Proper Growing Regions and Management Practices for Improving Production Stability in Direct-seeded Rice Cultivation

  • 황운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정재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이현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양서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이충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임연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조승현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
  • 민현경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
  • 김상국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
  • 남진우 (경상남도 농업기술원) ;
  • 최예슬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
  • 조윤상 (강원도 농업기술원) ;
  • 최경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투고 : 2019.11.06
  • 심사 : 2019.11.30
  • 발행 : 2019.12.31

초록

벼 직파재배의 재배안정성 확보 및 재배면적 확대를 위해 적정파종시기 및 잡초성벼 방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농가에서는 여전히 볍씨 조기파종에 따른 입모 불안정과 잡초성벼 발생의 문제점이 크게 나타나고 있어 직파재배 면적 확대의 문제점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잡초성벼 방제 후 적정 파종시기 및 수확시기 분석을 통해 직파재배 안정성이 확보되는 지역, 직파재배가 어려운 지역 및 불가능한 지역으로 구분하여 벼 직파재배의 안정성을 확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 지역별로 잡초성벼를 경종적으로 방제 후 벼 직파재배가 가능한 시기는 영남 남부지역이 5월 15일 전후, 호남 남부지역은 5월 17일~19일 경이었으며 중부 서해안 지역은 5월 20일이 지나야 파종이 가능하며 강원도 지역은 5월 하순 경에나 가능하였다. 2. 벼 직파재배 시 입모확보를 위한 적정 파종시기를 분석한 결과, 대체로 5월 하순이 되어 파종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지역별 벼 직파재배 가능성을 생육온도 따른 지역별 벼출수기 변화 및 적산온도에 따라 분석한 결과 두 가지 분석에서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4. 그 결과, 벼 직파재배를 회피하여야 할 지역은 강원도의 대부분 지역과 충북과 경북 북부 지역 및 영호남 지역의 일부분인 중간지가 이에 해당되었다. 또한 조생종 또는 중생종 재배만 가능한 지역은 경기도 내륙평야지 및 해안지, 충남 서해안지 및 충남과 영남 중북부 내륙평야지의 일부가 해당되었으며 직파안정 재배가 가능한 지역은 남부 평야지의 대부분과 지대가 낮은 중부 내륙평야지의 일부가 이에 해당되었다.

Wet direct-seeding (WDS) is an important method for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rice production in South Korea. We analyzed the optimum direct-seeding date to establish the rice standing rate in each area and selected suitable areas for WHS by considering the heading stage limit date for improving cultivation safety. As a result, the rice direct-seeding date to control weedy rice was around 5.15, 5.17-5.19, and after 5.20 in southern Youngnam, southern Honam, and the Middle Coast areas, respectively. However, the optimum seeding date for good standing rice was in late March in most areas. Analyzing by area, most of the southern plains and parts of the central inland plain are suitable for WHS. However, most parts of Gwangwon-do, and the northern parts of Chungbuk, Gyeongbuk, and Yeonghonam areas are not suitable for WHS, and should therefore avoid WHS.

키워드

참고문헌

  1. Back, N. H, M. K. Choi, H. K. Park, J. G. Nam, J. C. Ko, S. S. Kim, B. K. Kim, and J. G. Kim. 2007. Critical date of wet direct seeding of rice after barly cropping at Honam plain area. Korean. J. Crop Sci. 52(2) : 208-212.
  2. Cho, Y. S. 2013. Characteristics of Germination and Seeding Growth of Red Rice by Temperatures and seeding depths. Korean J. Crop Sci. 58(3) : 319-323. https://doi.org/10.7740/kjcs.2013.58.3.319
  3. Choi, D. H, S. H. Yun, and M. E. Park, 1994. Sowing time of rice direct by analysis of emergence at $13^{\circ}C$ of mean temperature condition. Korean. J. Crop Sci. Symposium. pp. 76-77.
  4. Chung, N. J. and N. C. Paek, 2003. Photoblastism and ecophysiology of seed germination in weedy rice. Agron. J. 95 : 184-190. https://doi.org/10.2134/agronj2003.0184
  5. Hwang, J. D, D. K. Shin, K. Y. Lee, S. T. Park, and S. C. Kim. 1998. Analysis of sowing limited date of flooded rice direct in East coast. Korean. J. Crop Sci. Symposium. pp. 95-96.
  6. Hwang, W. H., J. H. Jeong, K. J. Choi, H. S. Lee, and S. Y. Yang. 2018. Optimum seeding date of Wet Hill Seeding on puddled soil after weedy rice control on Southern plain areas of South Korea. Korean. J. Crop Sci. 63(4) : 273-281. https://doi.org/10.7740/KJCS.2018.63.4.273
  7. Jeong, N. J, K. J. Choi, J. I. Lee, W. H. Wang, and W. S. Kang. 2001. Pavement survival and related traits of weedy rice in rice cultivation in weed rice. Korean. J. Crop Sci. Symposium. pp. 141-142.
  8. Jeong, N. J, K. J. Choi, W. H. Wang, and W. S. Kang. 2000. Effect of MH (Maleic Hydrazide) treatment to control weedy rice on heading and ripening characters of rice. Korean. J. Crop Sci. Symposium. pp. 151-152.
  9. Kim, S. K, S. P. Lee, W. H. Lee, G. S. Lee, and B. S. Choi. 1992. Growth and yield of direct seeded rice in different seedin date. Korean. J. Crop Sci. 37(5) : 442-448.
  10. Kim, W. S, J. R. Choi, and G. W. Song. 1997. Effects of seeding dates on growth and grain yield of direct seeding rice on flooded paddy surface in southern alpine area. Korean. J. Crop Sci. 42(6) : 699-705.
  1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4.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research. http://kosis.kr
  12. NICS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2018. Symposium for rice direct seeding core technology and expand of direct seeding cultivation area. p. 5.
  13. Shon, J. Y, C. G. Lee, J. H. Kim, Y. H. Yun, W. H. Wang, and K. J. Choi. 2012. Comparisons of growth, heading and grain filling characteristics between wet hill seeding and transplanting in rice. Korean. J. Crop Sci. 57(2) : 151-159. https://doi.org/10.7740/kjcs.2012.57.2.151
  14. So, C. H, J. I. Yun, Y. D. Ro, M. S. Kim, and S. H. Geon. 1995. Effect of soil temperatureson seeding emergence in direct seeding on dry paddy. Korean. J. Crop Sci. 40(5) : 580-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