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단삼은 대한민국약전 제 11개정(KP 11)1)에 수재된 약재 중 하나로 Salvia miltiorrhizaBunge를 기원식물로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1,2), 뿌리의 색이 붉어서 식물명과 한약명이 단삼이라 불리며, 뿌리에는 특유의 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쓴맛이 있다3). 단삼은 중국이 원산지이며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진흙을 제거하고 쇄건한 것을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며4), 活血祛瘀, 調經止痛, 養血安神, 凉血消癰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단삼은 중국의 요녕, 하북, 하남, 산동, 산서, 강소, 안휘, 절강, 강서, 복건, 호북, 호남, 광서, 섬서, 영하, 감숙, 사천, 귀주 등지에 분포하며, 강소 안휘, 하북, 사천 등지에서 주로 생산되고, 야생품도 일부 있지만 재배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6,7).단삼은 재배한지 2~3년 된 것을 가을철에 캐내서 경엽과 흙, 수염뿌리 등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려서 약재로 활용하는데 중국 각지에서 소비되고 있으며, 그 중 사천지역 가을철에 수확한 것이 품질이 가장 우수하다고 보고된 바 있다8).
그러나 단삼은 KP 111)에 수재된 주요 한약재이며, 수요가 많으나, 현재 재배는 가능(인삼특작부)하나 가격경쟁에 밀려 상품화를 하지 못하고 있어, 중국으로부터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실정으로 유효성분 함량이 높은 고품질 단삼을 유통하기 위해서는 산지별 단삼의 유효성분 함량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10개 성 13개 지역(요녕, 하북,사천중강, 사천면양, 섬서상락, 섬서, 절강, 안휘박주 1, 안휘박주 2, 하남, 하남오현, 산동, 강소)의 재배 단삼을 공시하여 내부형태학적인 비교와 주요성분인 탄시논 IIA(Tanshinone IIA, C19H18O3, 丹参酮 IIA)와 살비아놀산 B(Salvianolic acid B, C36H30O16, 丹酚酸 B)의 이화학적 패턴 분석을 통해 우수한 품질의 단삼 한약재 확보 및 정·위품 감별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Ⅱ. 재료 및 방법
1. 재료
실험에 사용한 단삼(S. miltiorrhizaBunge)은 2011년 10월~2012년 10월까지 중국 10개 성 13개 지역의 재배지를 직접 방문하여 2년생을 채집하였고, 반그늘에서 2주간 완전 건조 한 다음 채집품의 기원 및 품질 감정은 성도중의약대학 중약재연구소에서 실시하였고, 시료는 성도중의약대학 중약재연구소(code 1~13)에 보관하였다(Table 1).
Table 1. The list of S. miltiorrhiza from cultivation 13 regions in china
2. 방법
1) 엠베딩액 고정법을 이용한 내부형태 관찰
완전히 건조된 단삼을 증류수에 담근 다음 수분이 조직 속에 충분히 스며들게 한 후, 시료의 표면에 남아 있는 물기를 적당히 제거하고 알맞게 잘라서 냉동판위에 올려놓고 엠베딩액으로 고정해서 얼린 후 엠베딩액으로 완전히 감싸서 얼린 시료의 온도를 –10°C로 조정하고 마이크로톰으로 두께 18 ㎛로 횡절한 것을 증류수에 담갔다. 이 중 형태가 온전한 것을 선택하여 슬라이드글라스에 올려놓고 물기를 조금 제거한 다음 염색액을 적절히 가해서 골고루 섞은 후 팽윤제(글리세린 : 물 = 1 : 1) 적당량을 가하고 커버글라스를 조심히 덮은 후 필요 없는 물기를 제거하고 광학현미경(Imager A1, Zeiss, Germany)으로 관찰하고 촬영하였다.
2) TLC를 이용한 주요 지표물질의 이화학적 패턴 분석
① KP 111)에 수재되어 있는 확인시험
단삼가루 2 g을 달아 메탄올 10 mL를 넣고 1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검액으로 사용하였다. 탄시논 IIA표준품 1 mg을 메탄올 1 mL에 녹여 표준액으로 하였다. 검액 및 표준액 20 \(\mu\)L을 박층크로마토그래프용실리카겔(형광제 첨가)을 써서 만든 박층판에 각각 점적한 후 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4 : 1을 전개용매로 하여 약 10 cm 전개시킨 다음 박층판을 바람에 말린 후 자외선 254 nm 확인하였고, 또한 분무용 황산시액을 고르게 뿌린 다음 105°C에서 5분간 가열한 후 검액과 표준액에서 얻은 반점을 두 가지 확인시험법을 비교 하였다.
② 중화인민공화국약전 2015년판 (Ch. P. 2015)8)에 수재되어 있는 확인시험
단삼가루 0.2 g을 달아 75% 메탄올 25 mL를 넣고 1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다음 여액이 1 mL 될 때까지 농축한 것을 검액으로 사용하였다. 탄시논 IIA 표준품은 에틸아세테이트를 넣어 2 mg/mL의 용액을 제조하였고, 살비아놀산 B 표준품은 75% 메탄올을 넣어 2 mg/mL의 용액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상술한 3종의 용액을 각각 5 \(\mu\)L씩 취해서 동일한 실리카겔 GF254 박층판 위에 구별해서 점적한 후 톨루엔 : 클로로포름 : 에틸아세테이트 : 메탄올 : 포름산(2 : 3 : 4 : 0.5 : 2)으로 전개한 후 바람에 말린 다음 자외선 254 nm에서 검액과 표준액에서 얻은 반점을 비교 하였다.
3) HPLC를 이용한 단삼의 지표성분 비교 분석
① 탄시논 IIA의 정량 분석
Ch. P. 20158)에 수재되어 있는 단삼항의 정량시험법을 응용하여 실시하였다. 탄시논 IIA의 표준품은 메탄올을 가해 16 \(\mu\)g/mL의 용액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3호체를 통과한 단삼의 가루를 약 0.3 g을 정밀하게 달아 메탄올 50 mL을 첨가하였고, 1시간 동안 환류추출한 후 다시 메탄올을 50 mL 넣은 후 골고루 흔들어서 여과한 것을 검액으로 사용하였다. HPLC분석조건은 Table 2에 나타내었다.
Table 2. HPLC analysis condition of Tanshinone IIA
② 살비아놀산 B의 정량 분석
Ch. P. 20158)에 수재되어 있는 단삼항의 정량시험법을 응용하여 실험하였다. 살비아놀산 B의 표준품은 75% 메탄올 넣어 0.14 mg/mL의 용액을 제조하여 표준액으로 사용하였다. 3호체를 통과한 단삼의 가루를 약 0.2 g을 정밀하게 달아 75% 메탄올 50 mL를 가하여 1시간 동안 환류추출 한 후 75% 메탄올을 50 mL 넣어 골고루 흔들어 여과한 것을 검액으로 사용하였다. HPLC 분석조건은 Table 3에 나타내었다.
Table 3. HPLC analysis condition of Salvianolic acid B
Ⅲ. 결과
1. 중국 재배지역별 내부 형태 비교
중국 13개 재배지역에서 채집한 단삼의 횡단면 코르크층, 형성층 및 유관속의 관찰한 결과는 Fig. 1~3으로 나타내었다. 단삼의 코르크층을 관찰한 결과 코르크층은 4~6열의 세포로 이루고 있으며, 근두부와 아래부분을 제외한 중간부위를 사용한 13개 지역의 채집한 모든 단삼 시료에서 4~6열의 범위에 들어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중간 부위가 근두부나 뿌리의 생장점 부위에 비해 모든 조직을 볼 수 있는 부위임을 확인하였다(Fig. 1.). 단삼의 형성층을 관찰한 결과 때때로 낙피층 조직이 남아 있는 것을 관찰되었고, 피층의 폭은 넓고, 인피부는 반월형또는 형성층을 이루고 있으나, 경계는 뚜렷하지 않았다(Fig. 2.). 단삼의 형성층을 관찰한 결과 목질부에는 8~10개의 유관속이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도관은 형성층 근처에 비교적 많이 분포하고 있는데, 중앙으로 갈수록 1줄이 되는 모양을 관찰되었다(Fig. 3.).
1. Anhui Bozou 1, 2. Henan, 3. Shandong, 4. Henan Wenxian, 5. Zhejiang, 6. Hebei, 7. Liaoning, 8. Shanxi, 9. Shaanxi Shangluo, 10. Sichuan Zhongjiang, 11. Sichuan Minyang, 12. Anhui Bozou 2, 13. Jiangsu
Fig. 1. In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rk layer of S. miltiorrhiza from cultivation 13 regions in china.
1. Anhui Bozou 1, 2. Henan, 3. Shandong, 4. Henan Wenxian, 5. Zhejiang, 6. Hebei, 7. Liaoning, 8. Shanxi, 9. Shaanxi Shangluo, 10. S ichuan Zhongjiang, 11. Sichuan Minyang, 12. Anhui Bozou 2, 13. Jiangsu
Fig. 2. In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ambium of S. miltiorrhiza from cultivation 13 regions in china.
1. Anhui Bozou 1, 2. Henan, 3. Shandong, 4. Henan Wenxian, 5. Zhejiang, 6. Hebei, 7. Liaoning, 8. Shanxi, 9. Shaanxi Shangluo, 10. Sichuan Zhongjiang, 11. Sichuan Minyang, 12. Anhui Bozou 2, 13. Jiangsu
Fig. 3. In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vascular bundles of S. miltiorrhiza from cultivation 13 regions in china.
2. TLC를 이용한 주요 지표물질의 이화학적 패턴 비교
1) KP 111)에 수재되어 있는 확인시험
중국 13개 재배지역에서 채집한 단삼을 KP 111)에서 언급하고 있는 박층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실시하여 탄시논 IIA의 TLC 패턴을 비교분석하였다. 자외선 254 nm의 확인시험법에서 모든 검액에서 얻은 여러 개의 반점 중 1개의 반점은 Rf 0.9 부근에서 표준품과 같은 동일한 위치에서 반점이 나타났다(Fig. 4A). 분무용 황산시액을 사용한 확인시험법에서 Fig. 4A 와 같이 모든 검액에서 얻은 여러 개의 반점 중 1개의 반점은 Rf 0.9 부근에서 표준품과 같은 동일한 위치에서 갈색 반점이나타났다(Fig. 4B). 산동 지역에서 가장 진한 반점을 확인하였고, 요녕 지역에서는 매우 희미한 반점을 확인하였다.
A : UV 254nm exposed, B: dilute sulfuric acid sprayed.
S : Tanshinone IIA, 1 : Anhui Bozou 1, 2 : Henan, 3 : Shandong, 4 : Henan Wenxian, 5 : Zhejiang, 6. Hebei, 7 : Liaoning, 8 : Shanxi, 9 : Shaanxi Shangluo, 10 : Sichuan Zhongjiang 11 : Sichuan Mianyang, 12 : Anhui Bozou 2, 13 : Jiangsu
Fig. 4. TLC chromatogram of S. miltiorrhiza on the KP method.
2) Ch. P. 20158)에서 언급하고 있는 확인시험
중국 13개 재배지역에서 채집한 단삼을 Ch. P. 20158)에서 언급하고 있는 탄시논 IIA와 살비아놀산 B의 자외선의 주파장을 달리하여 TLC 패턴을 비교분석하였다. 자외선의 주파장 254, 365 nm 을 쪼였을 때 탄시논 IIA는 Rf 0.9 부근에서 모두 표준품과 동일한 위치에서 1개의 반점을 확인하였고, 살비아놀산 B는 Rf 0.7 부근에서 모두 표준품과 동일한 위치에서 1개의 반점을 확인하였다. 산동 지역에서 매우 진하게 반점이 나타난 반면에 섬서상락 지역은 매우 희미하게 나타났다(Fig. 5A, 5B).
A. UV 254 exposed, B. 365nm exposed.
S1 : Tanshinone IIA, S2 : Salvinolic Acid B, 1 : Anhui Bozou 1, 2 : Henan Wenxian, 3 : Shandong, 4 : Henan Wenxian, 5 : Zhejiang, 6. Hebei, 7 : Liaoning, 8 : Shanxi, 9 : Shaanxi Shangluo, 10 : Sichuan Zhongjiang 11 : Sichuan Mianyang, 12 : Anhui Bozou 2, 13 : Jiangsu
Fig. 5. TLC chromatogram of S. miltiorrhiza on the ChP method.
3. HPLC를 이용한 단삼의 지표성분 비교
중국 10개 성 13개 재배지역에서 채집한 단삼을 Ch. P. 20158)에 수재되어 있는 정량시험법을 응용하여 탄시논 IIA와 살비아놀산 B를 분석하였다.
탄시논 IIA표준품의 RT는 41.101분으로, 중국 13개 지역 단삼의 RT는 대부분 41.175~41.224분에서 검출되는 피크를 확인하였다. 표준품과 중국 13개 지역 단삼의 비교하였을 때 평균 41.188분에서 주요 피크가 검출되어 탄시논 IIA임을 확인 하였다. 중국 13개 지역 단삼의 탄시논 IIA 함량은 0.050% ∼0.535%(±0.139)의 넓은 범위로 지역에 따라 함량차이를 보였으며, 산동 지역은 0.535%로 가장 높은 함량과 하북 지역에서는 0.050%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Table 3).
살비아놀산 B 표준품의 RT는 16.056분으로 중국 13개 지역 단삼의 RT는 16.170~16.578분에서 검출되는 피크를 확인하였다. 표준품과 중국 13개 지역 단삼의 비교하였을 때 평균 16.356분에서 주요한 피크가 검출되어 살비아놀산 B임을 확인하였다. 중국 13개 지역 단삼의 살비아놀산 B 함량은 0.825%~2.720%의 넓은 범위로 지역에 따라 함량차이를 보였으며, 요녕지역은 2.72 %로 가장 높은 함량과 강소지역에서는 0.825%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Table 4).
Table 4. Ingredient content of tanshinone IIA and salvianolic acid B of S. miltiorrhiza from cultivation 13 regions in china.
RT : Retention time , Standard 1 : Tanshinone IIA, Standard 2 : Salvianolic acid B
Ⅳ. 고찰
단삼은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뿌리와 근경을 건조하여 쓰고, 성미는 苦微寒하며 凉血消癰, 活血祛瘀, 養血安神 및 調經止痛의 효능이 있다9). 또한 癥瘕積聚, 痛經, 經閉, 心腹疼痛, 跌打損傷, 月經不調, 煩燥不安, 産後瘀滯腹痛 및 心煩失眠 등을 치료 한다10). 현재 KP 111)에서는 “이 약은 단삼 S. miltiorrhizaBunge (꿀풀과 Labiatae)의 뿌리이다”라고 명시하고 있으며, 확인시험으로는 탄시논 IIA과 정량법에서는 salvionolic acid B의 함량이 4.1% 함유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Ch. P. 20158)에서는 “이 약은 순형과 (唇形科 Labiatae) 식물인 丹参 S. miltiorrhiza Bunge의 뿌리와 뿌리줄기를 말린 것이다”라고 명시하고 있어 기원을 동일한 것으로 언급하고 있다.
단삼 뿌리에 함유된 주요성분으로는 tanshinone I, IIA, IIB 등을 포함한 diterpene 화합물과 danshensu (salvianic acid A), protocatechuic aldehyde 등을 포함하는 phenolic 화합물 등 그 외에 tannin, baicaline, \(\beta\)-sitosterol, ursolic acid, vitamin E 등이 함유되어 있다11). 주요성분인 tanshinone은 cytoplasm에서 melvalonate pathway 및 plastid의 methylerythritol phosphate pathway에 의해 생합성 되고12,13), rosmarinic acid와 salvianolic acid B는 tyrosine derived pathway 및 phenylpropanoid pathway를 통하여 L-phenylalanine, L-tyrosine이 대사과정을 거쳐 rosmarinicacid 및 salvianolic acid B로 전환된다고 보고하였다14-16). 지금까지 관한 단삼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보고는 어혈, 고혈압, 관상동맥, 경화성 심장병 등에 효능17), 세포내 지방의 축적비율을 낮추는 작용18), 동맥경화 개선작용19), 항염증 활성20), 뇌세포보호 작용21), 항산화작용22), 간세포보호 작용23), 항균력24), 항혈전25), 항동맥경화26), 항비만27)및 항종양28)등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외에도 국내 일부 지역에서 단삼 생산을 위하여 재배방법 개발을 위한 종자채종을 위한 개화결실 특성29)및 재식밀도와 피복재료 선발30)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품질의 단삼 확보를 위해 중국 10개 성 13개 지역의 단삼을 채집하여 KP 111)과 Ch. P. 20158)에 제시되어 있는 단삼에 대한 내부형태학적 감별 및 이화학적 감별을 수행하였다. 단삼의 지역별 내부형태를 확인한 결과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볼 때 코르크층은 4~6열의 코르크세포로 되어 있었다. 피부는 넓고 사부는 반달모양이고, 형성층은 고리를 이루고 속간형성층은 그렇게 뚜렷하지 않았다. 목부는 8~10 묶음으로 방사상을 이루는 것을 확인하였고, 도관은 형성층 부근에 많이 모여 있고 중앙으로 갈수록 1열로 배열하고 있었다. 또한 목부섬유는 묶음으로 되어 중앙의 1차 목부 주위에 분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도 KP 111)및 Ch. P. 201588)단삼항의 내용과 일치하였다.
생약을 확인을 위해 패턴인식법은 적용할 경우 가장 중요한 단계는 대표성을 가진 표준군을 구성하는 것이다31). 박층크로마토그래프법은 현장이나 초기 스크리닝 단계에서 빠르고 간편한 방법으로32,33), 시료를 적절한 시약으로 전 처리한 후 TLC plate상에 점적하여 적합한 전개 용매로 전개시켜 결과물을 자연광이나 자외선 하에서 특정 성분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다34). 또한 여러 개의 시료들을 동시에 쉽게 비교할 수 있다는 것이 매우 큰 장점 가지고 있다35). 본 연구에서는 KP 111)의 확인시험에서는 중국 13개 지역의 단삼은 탄시논 IIA만을 TLC 패턴의 같은 위치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산동 지역에서 가장 진한 반점을 나타났고, 섬서상락 지역에서 매우 희미한 반점을 확인하였다. 기존 Ch. P. 20158)에 수재되어 있는 확인시험 중 자외선의 파장을 254 nm에서 365 nm로 조건을 변경하여 TLC 패턴을 비교한 결과 표준품과 동일한 위치에서 탄시논 IIA와 살비아놀산 B의 TLC 패턴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었고, 탄시논 IIA는 요녕 지역에서는 가장 진한 반점을 나타났고, 강서 지역에서는 희미한 반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탄시논 IIA와 살비아놀산 B는 254 nm에서 보다 365 nm에서 더 선명한 반점으로 동시에 확인 분석할 수 있는 정확하고 신속한 실험법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단삼의 품질 표준화를 위해서는 유효성분을 지표로 하는 함량시험법의 확립이 가장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36). 단삼의 성분 중 가장 보고가 많은 것은 abietanetype의 diterpenoid pigment로 이 중 탄시논 IIA는 가장 함량비가 높은 물질로 알려져 있다36). 탄시논 IIA와 살비아놀산 B의 함량을 더 자세히 확인하기 위하여 기기분석인 방법을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도 HPLC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탄시논 IIA는 산동(0.535%) > 안휘박주1(0.259%) > 절강(0.196%) > 하남 (0.186%) > 사천중강(0.171%)> 사천면양(0.164%) = 안휘박주2 (0.164%) > 하남온현(0.080%) > 산서(0.070%) > 강소(0.062%) > 요녕(0.060%) = 섬서상락(0.060%) > 하북(0.050%) 순으로 산동 지역에서 0.535%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하북 지역에서 0.050%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나 약 10.7배 정도 함량 차이를 보였다. 살비아놀산 B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요녕(2.720%) > 하북(1.878%) > 사천중강(1.823%) > 사천면양(1.817%) > 섬서상락(1.616%) > 섬서(1.612%)> 절강(1.611%) > 안휘박주1(1.456%) > 하남(1.325%) > 하남온현(1.243%) > 안휘박주2(1.118%) > 산동(0.896%) > 강소(0.825%) 순으로 요녕 지역에서 2.72 %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강소 지역에서 0.825%로 가장 낮은 함량으로 약 3배 정도 함량 차이를 보였다. 이 결과에 따르면 재배지역별로 단삼의 TLC 패턴(Fig. 4, 5)과도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요녕 및 산동 지역의 재배 단삼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 주요성분 함량에 차이가 나는 것은 각 재배지역의 재배환경의 매우 다름이 그 원인으로 사료되며 유효적절한 재배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우수한 품질의 단삼 약재 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Ⅴ. 결론
우수한 품질의 약재 확보를 위해 중국 10개 성 13개 지역의 단삼을 채집하여 KP 111)과 Ch. P. 20158)에 제시되어 있는 현미경 검경, TLC를 이용한 확인시험 및 HPLC를 이용한 정량법 등을 응용하여 내부형태 및 지표성분인 탄시논 IIA와 살비아놀산 B의 확인 및 함량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중국 재배지별 단삼의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코르크층은 4~6열의 세포로 되어 있었고, 피층의 폭은 넓고, 인피부는 반월형이었으나, 형성층을 이루고 있으나 경계는 뚜렷하지 않았다. 목질부에는 8~10개의 유관속이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었고, 도관은 형성층 근처에 많은 분포로 중앙으로 갈수록 1줄이 되는 모양을 관찰되었다.
2.중국 재배지별 단삼의 TLC 확인시험에서 탄시논 IIA는 Rf 0.9 부근에서 표준품과 동일한 위치에서 반점을 확인하였고, 탄시논 IIA함량은 0.05%~0.535%의 넓은 범위로 지역에 따라 함량차이를 보였으며, 산동 지역에서 0.535%로 가장 많은 함량과 하북 지역에서 0.050%로 가장 적은 함량을 확인하였다.
3.중국 재배지별 단삼의 TLC 확인시험에서 살비아놀산 B는 Rf 0.7 부근에서 표준품과 동일한 위치에서 반점을 확인하였고, 살비아놀산 B 함량은 0.825%~2.72%의 넓은 범위로 지역에 따라 함량차이를 보였으며, 요녕지역에서 2.72%로 가장 많은 함량과 강소지역에서 0.825%로 가장 적은 함량을 보였다.
이상으로 중국 재배지별 단삼의 내부형태학적인 비교와 주요성분인 탄시논 IIA와 살비아놀산 B의 이화학적 패턴 분석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단삼 한약재 확보 및 정·위품 감별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18년도 중부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
References
-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he Korean Pharmacopoeia 11st edition. The KFDA Notification No. 2017-6355. 2016 Jul 31th.
- Ahn DK. Illustrated Book of Korean Medicinal Herbs. Seoul : Kyohaksa. 1999 : 532.
- Mok JS, Kim YM, Kim SH, Chang DS. Antimicrobial property of the ethanol extract from Salvia miltiorrhiza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1995 ; 10 : 23-8.
- Herbology editorial committee of Korean medicine schools. Herbology. Seoul : Yeonglimsa. 2006 : 461-2.
- Han WS, Jeong SI.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Salvia militorrhiza Bunge. J Mokwon Institute Natural Science. 2000 ; 9 : 11-4.
- Xiao PG. The New Book of Chinese Medicine 1st. Beijing : Chemical Industry Press. 2002 : 212-29.
- Hubei Institute of Chinese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Cultivation Techniques of Medicinal Plants in Enshi, Hubei Province. Wuhan : Hubei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2006 : 59-63.
- Chinese Pharmacopoeia Committee. Pharmacopoeia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5 edition, Part I. Beijing : China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2015 : 70-1.
- Kim HE, Min SY, Kim JH. In Vitro Study of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Effects of Salvia Miltiorrhiza (SM) Extracts Using 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 J Korean Oriental Med. 2008 ; 29 : 88-99.
- Editorial department. Chinese Medicine Dictionary. Seoul : Jungdam Press. 1998 : 1117-26.
- Fugh-Berman A. Herbs and dietary supplements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Preventive Cardiology. 2000 ; 3 : 24-32. https://doi.org/10.1111/j.1520-037X.2000.80355.x
- Laule O, Furholz A, Chang HS. Zhu T, Wang X, Heifetz PB, Gruissem W, Lange BM. Crosstalk between cytosolic and plastidal pathways of isoprenoid biosynthesis in Arabidopsis thaliana. Proc Nat Acad Sci. 2003 ; 100 : 6866-71. https://doi.org/10.1073/pnas.1031755100
- Lichtenhaler HK. Non-mevalonate isoprenoid biosynthesis : enzyme, genes and inhibitors. Biochem Soc Trans. 2000 ; 28 : 785-9. https://doi.org/10.1042/bst0280785
- Petersen M. Cytochrome P450-dependent hydroxylation in the biosynthesis of resemarinic acid in Coleus. Phytochem. 1997 ; 45 : 1165-72. https://doi.org/10.1016/S0031-9422(97)00135-0
- Petersen M, Abdullah Y, Benner J, Eberle D, Gehlen K, Hucherig S, Janiak V, Kim KH, Sander M, Weitzel C, Wolters S. Evolution of rosemarinic acid biosynthesis. Phytochemistry. 2009 ; 70 : 15-6.
- Petersen M, Simmonds MS. Rosemarinic acid. Phytochemistry. 2003 ; 62 : 121-5. https://doi.org/10.1016/S0031-9422(02)00513-7
- Fang ZY, Lin R, Yuan BX, Yang GD, Liu Y, Zhang H. Tanshinone IIA downregulates the CD40 expression and decreases MMP-2 activity on atherosclerosis induced by high fatty diet in rabbit.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08 ; 115 : 217-22. https://doi.org/10.1016/j.jep.2007.09.025
- Lee YJ, Lee SY. Pharmacognosy. Paju : Dongmyeungsa. 1992 : 131-7.
- Ji W, Gong BQ. Hypolipidemic activity and mechanism of purified herbal extract of Salvia miltiorrhiza in hyperlipidemic rats. Journal of Ethno- pharmacology. 2008 ; 119 : 291-98. https://doi.org/10.1016/j.jep.2008.07.013
- Jeon SJ. Studies on the chemical analysis and anti-inflammatory acitivities of the components isolated from the Salvia miltiorrhiza Bunge. Andong National University. 2007.
- Zhang F, Zheng W, Pi R, Mei Z, Bao Y, Gao J, Tang W, Chen S, Liu P. Cryptotanshinone protects primary rat cortical neurons from glutamate induced neurotoxicity via the activation of the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Akt signaling pathway. Exp Brain Res. 2009 ; 193 : 109-18. https://doi.org/10.1007/s00221-008-1600-9
- Kim JY, Kim HS, Kang HS, Choi JS, Yokozawa T, Chung HY. Antioxidant potential of dimethyl lithospermate isolated from Salvia miltiorrhiza (red sage) against peroxynitrile. Journal of Medicinal Food. 2008 ; 11 : 21-8. https://doi.org/10.1089/jmf.2007.040
- Yin HQ, Choi YJ, Kim YC, Sohn DH, Ryu SY, Lee BH. Salvia miltiorrhiza Bunge and its active component cryptotanshinone protects primary cultured rat hepatocytes from acute ethanol induced cytotoxicity and fatty infiltration.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2009 ; 47 : 98-103. https://doi.org/10.1016/j.fct.2008.10.018
- Mok JS, Park UY, Kim YM, Chang DS. Effects of solvents and extracting condition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Salviae miltiorrhizae radix (Salvia miltiorrhiza ) extract. J Korean Soc Food Nutr. 1994 ; 23 : 1001-7.
- Yang SA, Im NK, Lee IS. Effect of methanolic extract from Salvia miltiorrhiza Bunge on in vitro antithromboti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007 ; 39 : 83-7.
- Cheung DWS, Koon CM, Ng CF, Leung PC, Fung KP, Poon KSS, Lau CBS. The roots of Salvia miltiorrhiza (Danshen) and Pueraria lobata (Gegen) inhibit atherogenic events: a study of the combination effects of the 2-herb formula. J Ethnopharmacol. 2014 ; 143 : 859-66. https://doi.org/10.1016/j.jep.2012.08.011
- Jang T.S, Zhang H, Kim G, Kim DW, Min BS, Kang W. Bioassay-guided isolation of fatty acid synthase inhibitory diterpenoids from the roots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Arch Pharm Res. 2014 ; 35 : 481-86. https://doi.org/10.1007/s12272-012-0311-8
- Chen X, Guo J, Bao J, Lu J, Wang Y. The anticancer properties of Salvia miltiorrhiza Bunge(Danshen): a systematic review. Med Res Rev. 2014 ; 34 : 768-94. https://doi.org/10.1002/med.21304
- Kim YK, Lee SH, Han SH, Kang YG, Ahn YS, Park CB.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and seed setting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Paper presented at 2010 Annual Meeting of Korean J Med Crop Sci. 2010.
- Kim PG, Lee EJ. Ecophysiology of photosynthesis : effect of light intensity and intercellular CO2 pressure on photosynthesis. Korean J Agri Forest Meteor. 2001 ; 3 : 126-33.
- Cho CH. Discrimination of umbellierous herbal medicines by near-infrared spectrometry and pattern recognition method. Dongduk women's University. 2003 : 118.
- Deconinck E, Sacre PY, Courselle P, De Beer JO. Chromatography in the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llegal pharmaceutical preparations. J. Chromatogr. Sci. 2013 ; 51 : 791-806. https://doi.org/10.1093/chromsci/bmt006
- Kato N, Ogamo A. A TLC visualisation reagent for dimethyl amphetamine and other abused tertiary amines. Sci Justice. 2001 ; 41 : 239-44. https://doi.org/10.1016/S1355-0306(01)71907-7
- Ling BL, Baeyens WR, Del Castillo B, Stragier K, Marysael H, De Moerloose P. Use of enhancers in the HPTLC fluorescence analysis of thiols. J Pharm Biomed Anal. 1989 ; 7 : 1671-8. https://doi.org/10.1016/0731-7085(89)80181-5
- Kasar R, Gogia A, Shah K, Vetriselvan, Anand C. Critical factor that governs a successful TLC/HPTLC analysis of herbal medicinal products (HMPS). RRJPA. 2013 ; 2 : 1-8.
- Son HK, Park MJ, Lee SH, Park JH, Kang SJ, Chang SY, Lee KS. Isolatio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tanshinone IIA from the rhizomes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Kor. J. Pharmacogn. 1999 ; 30 : 158-62.